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태조
    태조 8년(925) 을유년
    태조 8년(925) 을유년
    8년 봄 3월 ○ 왕이 서경(西京)으로 행차했다. 가을 9월 병신일. 발해(渤海)의 장군인 신덕(申德) 등 5백 명이 투항해왔다. 경자일. 발해의 예부경(禮部卿) 대화균(大和鈞)과 대균로(大均老), 사정(司政) 대원균(大…
    #서경 #발해 #신덕 #예부경 #대화균 #대균로 #사정 #대원균 #공부경 #대복모 #좌우위 #대심리 #속말말갈 #당나라 #측천무후 #대조영 #요동 #예종 #발해군왕 #부여 #숙신 #오경 #거란 #대인선 #홀한성 #매조성 #장군 #능현 #고울부 #능문 #신라 #시랑 #배근 #대감 #명재 #상술 #궁식 #정서 #유금필 #후백제 #견훤 #조물군 #진호 #원윤 #왕신 #탐라 #좌수위 #모두간 #검교개국남 #박어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덕종
    덕종 2년(1033) 계유년
    덕종 2년(1033) 계유년
    2년 봄 정월 신미일. 동여진 장군 개다간(開多閒) 등 25명이 입조해왔다. ○ 철리국(鐵利國)이 사신을 보내어 좋은 말과 담비 가죽을 바치니 왕이 가상히 여겨 답례 물품을 후하게 주었다. 을해일. 송나라 사람인 유수전(劉守全) 등 1…
    #개다간 #철리국 #유수전 #황주량 #판어사대사 #최충 #우산기상시 #민가거 #예부상서 #유종 #공부상서 #이주좌 #우간의대부 #보기 #아어내 #나민 #구내 #좌우위 #맹교위 #오행 #이황 #신선립 #지인 #고음파 #대사 #고성환 #회화장군 #거어울 #김충찬 #예빈경 #지중추원사 #이우불 #간성현 #백석포 #최희목 #고요 #강남 #수을분 #귀덕장군 #고어부 #가수 #삼척현 #정위 #사어하 #감문대정 #기질화 #선송 #안동부 #합주 #회화대장군 #거이라 #신류 #대상 #고지문 #중윤 #고사 #고모한 #좌윤 #아포 #천주 #도강 #임애 #현종 #태묘 #부제 #평장사 #유소 #병부상서 #한빈경 #임유간 #어사중승 #이자연 #이부낭중 #어사잡단 #우승선 #염현 #우보궐 #이유도 #감찰어사 #요빈 #유원장군 #아각팔 #원보 #오두나 #호부상서 #형부상서 #최응 #사도 #유신성 #태부 #최승로 #대광 #최량 #삼중대광 #서희 #태사 #이지백 #이몽유 #사공 #한언공 #김승조 #최숙 #강감찬 #대승 #최항 #정광 #정주 #침구 #원영 #서경부유수 #지분사호부사 #우화 #보윤 #보실 #문사명 #문재선 #시어사 #이신 #전중시어사 #임사행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문종
    문종 5년(1051) 신묘년
    문종 5년(1051) 신묘년
    5년 봄 정월 초하루 계축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계해일. 왕이 진관사(眞觀寺) 진관사 목종 2년(999) 7월 개경(開京)의 용수산(龍首山)에 창건하여 국왕의 모후인 헌애왕태후(獻哀王太后) 황보씨(皇甫氏)의 원찰로 삼은 화엄종(華嚴宗…
    #진관사 #화엄경 #반야경 #경시서 #연등회 #봉은사 #근시 #백령진 #안찰부사 #상서병부원외랑 #유숙 #진장 #최성도 #부장 #최숭망 #상서좌복야 #이수화 #기우제 #최석 #보제사 #오백나한재 #광인관 #아골 #내사문하성 #중흥사 #대안사 #대운사 #황보연 #응양군 #대장군 #섭대부경 #진언 #좌우위 #노능훈 #신호위 #구정 #초제 #흥왕사 #대마도 #양한 #원보 #고사 #중추원사 #예부상서 #정걸 #귀주낭장 #강린 #창주별장 #강언 #최립 #귀덕장군 #두야불 #동북면병마부사 #김화숭 #합문통사사인 #서단 #서북면병마사 #박종도 #동북면병마사 #병마녹사 #윤보 #경충 #장주방어사 #김단 #삼각산 #개경 #검교공부상서 #야율수행 #동경회례사 #팔관회 #은주자사 #유종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문종
    문종 6년(1052) 임진년
    문종 6년(1052) 임진년
    6년 봄 정월 초하루 무신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갑인일. 최유선(崔惟善)을 한림학사(翰林學士)로 임명했다. 병진일. 동여진의 회화장군(懷化將軍) 포가주(包加主) 등이 와서 좋은 말을 바쳤다. 병인일. 동여진의 정보(…
    #최유선 #한림학사 #회화장군 #포가주 #정보 #마파 #정주 #영새장군 #고반지 #귀덕장군 #다로 #안서도호부 #지진 #연덕궁주 #원보 #아린 #사직단 #원리 #대안사 #이자연 #수태위 #김원정 #어사대부 #태사 #김성택 #이인현 #한위행 #양원호 #김정 #현화사 #삼사 #탐라국 #왕무숭 #중추원좌부승선 #최성절 #중추원우부승선 #전중시어사 #낙성도량 #이인정 #검교사도 #상서좌복야 #모아진 #삼살촌 #고연 #치담역 #병마녹사 #김충간 #자주방어판관 #장입신 #고지문 #통화 #현종 #산남 #피난 #상서우복야 #박섬 #상참 #문덕전 #금강도량 #진사 #장정 #비서교서랑 #악의 #육기 #합포 #삼척현 #임원수 #하주려 #안변도호판관 #김숭정 #형부상서 #이영간 #예부상서 #왕조 #호부상서 #유규 #공부상서 #김현 #산기상시 #한식 #문질 #우기리 #김열 #좌우위 #상장군 #검교태사 #최보성 #임흥 #함주 #고사문 #동여진 #동지중추원사 #조수 #소종명 #사시하 #회경전 #백고좌도량 #구정 #왕경 #수태보 #상서령 #평로진 #소강한 #흥위위상장군 #왕개 #선정전 #어사대 #우습유 #영주자사 #야율사청 #문하시랑평장사 #김영기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숙종
    숙종 6년(1101) 신사년
    숙종 6년(1101) 신사년
    6년 봄 정월 정묘일. 왕의 지시로, 구경(九經)과 제자서(諸子書) 각 한 부씩을 대성(臺省)과 추밀원(樞密院)에 나누어 소장하게 했다. ○ 태자의 생일을 창녕절(昌寧節)이라 정했다. 기사일. 문덕전(文德殿)에서 천제석도량(天帝釋道場…
    #구경 #제자서 #대성 #추밀원 #창녕절 #문덕전 #천제석도량 #신중원 #동여진 #여라불 #사온 #예부상서 #최홍사 #서북면병마사 #상서좌승 #김덕진 #동북면병마사 #요나라 #동경지례사 #예빈부사 #고극소 #송나라 #소규 #육정준 #유급 #육정걸 #병부상서 #한영 #대장군 #장홍점 #중서시랑 #김선석 #주부 #이경택 #어사대 #안산현 #형부 #주부동정 #조준명 #건덕전 #소재도량 #공목관 #이복 #사신 #이재 #내파지촌 #귀덕장군 #보마 #궁한이홀촌 #도령 #마포 #광탄촌 #장군 #골부 #이위촌 #괴부 #연등회 #봉은사 #참지정사 #신수 #공헌 #검교 태사 #수사공 #왕자 #역적 #이자의 #시어사 #왕태소 #전총 #판관 #이자 #위위소경 #김의영 #홍원사 #대장당 #구조당 #낙성식 #중광전 #왕륜사 #홍호사 #비서성 #국자감 #서적포 #회경전 #장경도량 #왕옹 #태묘 #반야도량 #검교우산기상시 #야율곡 #도종 #연국공 #야율연희 #광명사 #승려 #광기 #손필 #진사 #이진광 #장형 #유배 #오온신 #일식 #공자 #고애사 #검은 도포 #오모 #사천대 #복정 #유녹춘 #종묘 #추밀원사 #오수증 #지중군병마사사 #보제사 #묘통사 #마리지천도량 #평주 #각진 #곡주 #홍기 #공부상서 #사관 #수찬관 #대부소경 #왕공윤 #합문사 #노작공 #동로 #태일 #초제 #외제석원 #한림원 #옹화전 #상화전 #한나라 #경방 #역전 #임해원 #용왕도량 #개성 #양주 #일월사 #묘법연화경 #기우제 #인왕도량 #주전도감 #여진 #모직공 #고사모 #평로진 #추자전 #부채 #임의 #백가신 #신의보구방 #선정전 #왕하 #오연총 #태평어람 #어사대부 #윤관 #추밀원지주사 #임간 #판상서형부사 #위계정 #판한림원사 #판삼사사 #추밀원좌승선 #조규 #우부승선 #정주 #장금남 #철갑 #보살계 #개경 #서경 #내부 #대부경 #김한충 #어사중승 #고영신 #국청사 #흥왕사 #원효 #의상 #대성화쟁국사 #대성원교국사 #도병마사 #동경 #대안 #압록강 #동지추밀원사 #곽상 #허경 #서여진 #고시모 #총지사 #왕후 #구정 #인왕경도량 #남경개창도감 #문하시랑평장사 #최사추 #지주사 #소부감 #문상 #춘관정 #음덕전 #추관정 #최자호 #경기 #탁라 #성주 #배융부위 #구대 #유격장군 #노원역 #해촌처 #용산처 #삼각산 #면악 #대맥 #남경 #사직 #나준 #좌우위 #섭형부상서 #최정 #금오위 #팔관회 #법왕사 #탐라 #동․북번 #고주관내 관찰사 #고덕신 #중서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주국 #이오 #상서좌복야 #태자빈객 #유신 #한림학사승지 #김경용 #상서우복야 #이부상서 #병부시랑 #좌간의대부 #형부시랑 #우간의대부 #강증 #고공낭중 #어사잡단 #노충근 #김지화 #우보궐 #김준 #장기 #좌․우습유 #숭록경 #오전 #비단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예종
    예종 3년(1108) 무자년
    예종 3년(1108) 무자년
    3년 봄 정월 갑인일. 요나라에서 숭록경(崇祿卿) 조용의(曹勇義)를 보내 왕의 생일을 축하했다. 병진일. 요나라 사신을 위해 건덕전(乾德殿)에서 잔치를 베풀었다. 정묘일. 급사중(給事中) 이…
    #요나라 #숭록경 #조용의 #건덕전 #급사중 #이자겸 #문․무 상참관 #고주사 #호부시랑 #왕유 #송나라 #수춘궁 #집사관 #신봉루 #사면령 #참형 #교수형 #개경 #서경 #남반 #정․잡로 #동정직 #상책도감 #장고 #초입사 #책함 #의장 #책문 #안락도량도감 #태묘 #압물사 #곤성전 #숭명부 #연덕궁 #명복궁 #급사 #궁부 #서자 #산사 #의사 #진봉장리 #무산계 #승천부 #진봉호장 #명경과 #제술과 #여진 #웅주 #최홍정 #상서 #유택 #함주대도호부사 #영주 #복주 #길주 #공험진 #연등회 #봉은사 #장염 #낙기복 #소량 #이인흡 #청안군절도사 #익주관내관찰사 #봉책사 #부사 #면류관 #수레 #관복 #포백 #안장 갖춘 말 #왕우 #우이 #수태위 #중서령 #윤관 #사신 #영주성 #의주 #통태 #평융 #남계 #문하시중 #판상서이부사 #지군국중사 #오연총 #상서좌복야 #참지정사 #내시낭중 #한교여 #고신 #자줏빛 수를 놓은 안장 #말 #신묘 #영릉 #웅주성 #고취군 #대방후 #왕보 #제안후 #왕서 #경령전 #부월 #문덕전 #창릉 #유배 #도형 #참수형 #체례도감 #예사 #향관 #원리 #현릉 #숙종 #부제 #품계 #향직 #내시급사 #왕부 #구사 #견룡 #초직 #시위급사 #병마부원수 #유향 #궁검 #약사경 #재추 #근시 #문무 #회경전 #초제 #진사시 #복시 #노현용 #대성 #시신 #지제고 #보제사 #보살계 #신중원 #행영병마원수 #토산현 #감무 #고영신 #서북면병마사 #최연 #동북면병마사 #서보 #좌우위 #고의화 #병부상서 #김여진 #섭호부상서 #박신 #섭공부상서 #행영병마판관어사 #신현 #영인진 #형부상서 #김상우 #예부시랑 #동계 #문두루도량 #진정사 #사천왕도량 #비사문사 #중광전 #정주 #등주 #행영병마사 #병마판관 #왕자지 #척준경 #함주 #점군사 #유익 #장군 #송충 #신기군 #박회절 #병부시랑 #지어사대사 #상장군 #서여진 #추장 #노호 #패강도 #영평현개국백 #양구진국공신 #장령전 #행영병마판관 #사지령 #남경 #흥왕사 #대시원 #이덕우 #천흥절 #강경법회 #승가굴 #연흥전 #반야경 #재림사 #인수사 #황원도 #낙기복사 #봉성현 #재보 #최지 #약사원 #불은사 #서우 #팔관회 #법왕사 #횡선사 #검교사도 #야율영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예종
    예종 8년(1113) 계사년
    예종 8년(1113) 계사년
    8년 봄 정월 을묘일. 요나라에서 숭록경(崇祿卿) 장여회(張如晦)를 보내 왕의 생일을 축하했다. 임신일. 요나라에서 칙제사(勑祭使)로 영주관내 관찰사(永州管內觀察使) 야율고(耶律固)와 대상소경(大常少卿) 왕신(王侁)을 보내 왔다. 계…
    #요나라 #숭록경 #장여회 #칙제사 #영주관내 관찰사 #야율고 #대상소경 #왕신 #지형부사 #이재 #동북면병마사 #태부소경 #지숙연 #동북면병마부사 #칙조사 #태주관내관찰사 #소천 #우궁 #양거직 #기복 #추성봉국공신 #개부의동삼사 #검교태사 #수태위 #중서령 #상주국 #고려국왕 #왕우 #춘추석례 #금화영주집 #송나라 #허경 #검교태위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최의 #검교사도 #참지정사 #송수 #신호위 #상장군 #공부상서 #윤유지 #좌우위 #섭형부상서 #연등회 #봉은사 #왕륜사 #재 #형부 #태사 #문하시중 #김경용 #회경전 #초제 #신중원 #이자겸 #상서좌복야 #김연 #병부상서 #지추밀원사 #유자유 #상서우복야 #강증 #형부상서 #김지화 #어사대부 #문덕전학사 #예부상서 #임성개 #구요당 #여진 #오라골 #실현 #9성 #도강 #진수 #백한 #유인저 #진도현 #한백 #명주 #명주태수 #사직 #조중장 #전중감 #최계방 #수사공 #고령신 #검교사공 #동지추밀원사 #김준 #추밀원부사 #호부상서 #삼사사 #김고 #좌간의대부 #김숙평 #전중시어사 #서북면병마사 #어사잡단 #이순해 #명의태후 #개국사 #숙종 #진전 #장원정 #서두공봉관 #안직숭 #관반 #장내한 #경천사 #낙성식 #예부시랑 #이영 #천흥절 #홍관 #형부시랑 #김의원 #백좌회 #인왕경 #구정 #승려 #비서소감 #한충 #기복사 #공부시랑 #이무영 #최홍재 #한림학사승지 #시강학사 #박승중 #시정책요 #서대 #편수관 #김부철 #호부시랑 #이자함 #신년을 하례 #수태부 #판상서이부사 #오연총 #판예병부사 #이위 #판삼사사 #주국 #정당문학 #판한림원사 #추밀원사 #판공부사 #유재 #이부 상서 #좌산기상시 #사영 #섭공부상서 #김약온 #지상서도성사 #박경작 #한림학사 #왕자지 #예빈경 #추밀원지주사 #예빈소경 #김경청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인종
    인종 4년(1126) 병오년
    인종 4년(1126) 병오년
    4년 봄 정월 갑오일. 흰 무지개가 해를 꿰뚫었다. 2월 정사일. 회안백(淮安伯) 왕기(王沂)가 죽었다. 무오일. 순종(順宗)의 연복궁주(延福宮主) 김씨 연복궁주 김씨 경주 김씨 김양검(金良儉)의 딸로, 순종이 태자…
    #회안백 #왕기 #순종 #연복궁주 #연덕궁주 #내시지후 #김찬 #내시녹사 #안보린 #동지추밀원사 #지녹연 #상장군 #최탁 #오탁 #대장군 #권수 #장군 #고석 #이자겸 #척준경 #남궁 #좌복야 #홍관 #유배 #과거 #금나라 #요나라 #송나라 #이지미 #여진 #참형 #교수형 #안화사 #정응문 #이후 #문하시랑 #판병부사 #이수 #문하시랑평장사 #판예부사 #이자덕 #허재 #참지정사 #김부일 #정당문학 #판추밀원사 #김향 #김의원 #김부식 #어사대부 #추밀원부사 #연경궁 #승려 #군기소감 #최사전 #평장사 #박승중 #울진 #봉은사 #천복전 #소재도량 #검교태사 #수태보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이공수 #판이부사 #호부상서 #지문하성사 #병부상서 #전중내급사 #임원애 #이진복 #우복야 #고공현 #용호군 #임수 #전중감 #좌우위 #정유황 #합문지후 #후장 #귀중부 #도군태상황제 #곽약사 #연산 #신종 #요해 #거란 #숙왕 #사신 #객사 #요 #순 #하북 #영가 #백산 #오달 #혜노 #북요 #보제사 #불정도량 #형부시랑 #이주연 #선유사 #동첨서추밀원사 #고백숙 #홍여경 #오지충 #보주로 #보주 #경용절 #대명궁 #남경 #장의사 #연흥전 #인수사 #수창궁 #사면령 #중화전 #반야도량 #위위경 #김자류 #형부낭중 #유덕문 #보주성 #고구려 #요산 #평양 #압록강 #대요 #사을하 #김인존 #문하시중 #최유적 #한주 #지제고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인종
    인종 6년(1128) 무신년
    인종 6년(1128) 무신년
    6년 봄 정월 정해일. 왕의 몸이 불편하자 재추들과 백관들이 종묘․사직․산천․불사(佛祠)․도우(道宇)에서 병을 낫게 해달라고 기도했다. 신묘일. 억울하게 수감된 죄수들이 없는지 재심사했다. 임진일. 금나라가 소회옥(蕭懷玉)을 보내 왕…
    #종묘 #사직 #금나라 #소회옥 #인덕궁 #연덕궁 #수창궁 #태백성 #남경 #연등회 #봉은사 #보제사 #송나라 #강수 #채세장 #고종 #흥왕사 #천복원 #홍교원 #화엄도량 #홍원사 #승려 #이공수 #문하시중 #김부일 #수사도 #판상서병부사 #김향 #동중서문하평장사 #이숙 #검교사도 #수사공 #좌복야 #판예부사 #최사성 #검교사공 #판공부사 #김부식 #한림학사승지 #최사전 #상서좌복야 #참형 #교수형 #원효 #의상 #도선 #어사중승 #정응문 #선무사 #안화사 #대명궁 #순천관 #대방공 #왕보 #경산부 #최유적 #이원철 #급제 #초제 #중화전 #보살계도량 #최홍재 #문하시랑평장사 #호부상서 #좌우위 #상장군 #국신사 #형부상서 #양응성 #제주방어사 #한연 #강정 #접반소 #벽란정 #의대 #화주 #관복 #도금한 은그릇 #채색한 포백 #산차마 #주나라 #진 #진 문공 #발해 #관반소 #거란 #하동 #산북 #신종 #태상도군황제 #여진 #요나라 #회남 #양절 #외제석원 #참지정사 #왕륜사 #사신 #순 #회수 #절강 #예부시랑 #윤언이 #원수부 #압록강 #제 #서경 #이유 #천청절 #묘청 #백수한 #임원역 #임경청 #추밀원부사 #동남해 #명진현 #송변현 #아주현 #해적 #좌성 #합주 #삼기현 #귀원장 #취안장 #진주 #의령현 #화순장 #이부상서 #최유 #위위소경 #송근 #선경사 #신중원 #공부원외랑 #유원서 #합문통사 #김택 #내시낭중 #김안 #판상서형부사 #한충 #최자성 #윤보 #강후현 #좌․우산기상시 #금주관내관찰사 #사고덕 #한방 #하나라 #상나라 #태상황 #조길 #소제 #조환 #혼덕공 #중혼후 #보유 #부사 #포백 #은그릇 #추밀원 #보주 #보주성 #안북도호부 #내원성 #창주 #삭주 #승첨원 #고백숙 #선유사 #천회 #사은사 #궁구 #동경병마도부서사 #동로군사 #순검사 #김철의 #최파희 #천제성 #서하 #변신 #사하 #첨원 #춘추』 #김자류 #숭길 #직전 #동로순검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의종
    의종 2년(1148) 무진년
    의종 2년(1148) 무진년
    봄 정월 초하루 경신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 친동생 왕경(王暻) 왕경(?~?) 공예태후(恭睿太后) 임씨(任氏)가 의종을 대신하여 왕위에 세우려 했던 인물로 의종의 동생이다. 왕경은 도량이 있어 사람의 마음을 얻었다고 하는데 이런 이…
    #신년 하례 #왕경 #왕호 #우궁 #고삭 #수문전 #제석도량 #연등회 #봉은사 #참지정사 #이인실 #권판도병마사 #지추밀원사 #임광 #도병마사 #지심 #우복야 #병부상서 #응양군 #권정균 #형부상서 #용호군 #우방재 #호부상서 #좌우위 #진봉사 #금나라 #왕식 #인종 #대상재 #영통사 #문공유 #서북면병마사 #안정수 #동북면병마사 #진전 #우상시 #최함 #중서사인 #최윤의 #내시 #김거공 #환관 #지숙 #경령전 #고조기 #정당문학 #판호부사 #김영관 #지문하성사 #판공부사 #추밀원사 #판비서성사 #최유청 #판삼사사 #문공원 #동지추밀원사 #이식 #국청사 #시우산기상시 #국자감 #대사성 #시예부시랑 #흥왕사 #수창궁 #우박 #왕륜사 #완안신지 #낙기복사 #대관전 #대리경 #완안종안 #예부시랑 #채송년 #개부의동삼사 #상주국 #고려국왕 #보살계 #횡선사 #패산수도 #대사면령 #양온령동정 #송언승 #검교소감 #양수영 #해제현 #전옥서 #반야도량 #봉어 #최단 #송나라 #도강 #곽영 #장화 #황세영 #진성 #임대유 #현릉 #어사대 #임원숙 #중서시랑 동 평장사 #임극충 #추밀원부사 #윤언식 #수사공 #김영석 #수문전학사 #이지무 #우간의대부 #창릉 #장릉 #유정견 #태묘 #협제 #사면령 #이심 #지지용 #장철 #동방흔 #태사 #진회 #유공식 #팽인 #송공찬 #이지화 #연수궁주 #대령후 #익양후 #승경궁주 #덕녕궁주 #허진승 #팔관회 #법왕사 #김영부 #책봉 #염직량 #신년을 하례 #고경산 #전중시어사 #이공승 #김예웅 #만수절 #법존 #현희 #증세승통 #담전 #진보 #북원 #격구 #권판이부사 #권판병부사 #임원애 #수태위 #정안공 #김부식 #수태보 #낙랑군개국후 #판이부사 #판병부사 #윤언이 #판형부사 #어사대부 #유필 #이부상서 #좌간의대부 #지어사대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2345Next PageLast Page총 44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