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덕종
    덕종 원년(1032) 임신년
    덕종 원년(1032) 임신년
    봄 정월 신사일. 어사대(御史臺)에서 대부경(大府卿) 왕희걸(王希傑)과 우사낭중(右司郞中) 유백인(柳伯仁), 예부낭중(禮部郞中) 최복규(崔復珪), 최복규(?~?) 덕종 때 예부낭중(禮部郞中)을 역임한 문신관료이다. 한편 문종 원년(1047) 10월 진…
    #어사대 #대부경 #왕희걸 #우사낭중 #유백인 #예부낭중 #최복규 #원외랑 #이응년 #서경 #분사 #임유간 #우승선 #이부낭중 #금자 #거란 #내원성 #삭주 #영인진 #파천현 #외제석원 #자곤 #상서좌복야 #이응보 #사도 #김여탁 #사공 #참지정사 #중추원사 #사지 #명동 #통주 #진위부위 #호장 #김거 #별장 #수견 #내침 #대부 #마수 #낭장 #태백성 #사통 #철리국 #황보유의 #황주량 #연등회 #왕륜사 #백가이 #전직 #고선오 #전전 #고진성 #좌상도지휘사 #대광 #보주회화군사판관 #최운부 #향공진사 #이운형 #박유인 #한림학사 #어사잡단 #왕가도 #감수국사 #이단 #내사시랑 동 내사문하평장사 #수국사 #유징필 #나민 #예부상서 #묘통사 #반희악 #소부감 #김연경 #군기감 #전인영 #예빈소경 #유백부 #위위소경 #김양좌 #소부소감 #양백 #전중승 #봉은사 #중광사 #정전 #원윤 #고두로 #내을고 #구정 #초제 #살오덕 #휘신도량 #현화사 #회화장군 #이동 #우음약기 #귀덕장군 #야어포 #응건전 #소을사 #이예균 #대상 #야반 #정조 #가이로 #개로 #원보 #고도화 #고성 #김종현 #우산기상시 #주오 #유종 #좌산기상시 #황보영 #상서우승 #지어사대사 #진현석 #어사중승 #정보 #두어보 #평장사 #이부상서 #법경 #국사 #보윤 #대유 #야을한 #봉국대장군 #요을내 #압사관 #이남송 #상주 #주부 #유신사 #제을남 #우릉 #부어잉다랑 #대포고지문 #이작충 #좌간의대부 #노우 #박양명 #감찰어사 #나골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덕종
    덕종 2년(1033) 계유년
    덕종 2년(1033) 계유년
    2년 봄 정월 신미일. 동여진 장군 개다간(開多閒) 등 25명이 입조해왔다. ○ 철리국(鐵利國)이 사신을 보내어 좋은 말과 담비 가죽을 바치니 왕이 가상히 여겨 답례 물품을 후하게 주었다. 을해일. 송나라 사람인 유수전(劉守全) 등 1…
    #개다간 #철리국 #유수전 #황주량 #판어사대사 #최충 #우산기상시 #민가거 #예부상서 #유종 #공부상서 #이주좌 #우간의대부 #보기 #아어내 #나민 #구내 #좌우위 #맹교위 #오행 #이황 #신선립 #지인 #고음파 #대사 #고성환 #회화장군 #거어울 #김충찬 #예빈경 #지중추원사 #이우불 #간성현 #백석포 #최희목 #고요 #강남 #수을분 #귀덕장군 #고어부 #가수 #삼척현 #정위 #사어하 #감문대정 #기질화 #선송 #안동부 #합주 #회화대장군 #거이라 #신류 #대상 #고지문 #중윤 #고사 #고모한 #좌윤 #아포 #천주 #도강 #임애 #현종 #태묘 #부제 #평장사 #유소 #병부상서 #한빈경 #임유간 #어사중승 #이자연 #이부낭중 #어사잡단 #우승선 #염현 #우보궐 #이유도 #감찰어사 #요빈 #유원장군 #아각팔 #원보 #오두나 #호부상서 #형부상서 #최응 #사도 #유신성 #태부 #최승로 #대광 #최량 #삼중대광 #서희 #태사 #이지백 #이몽유 #사공 #한언공 #김승조 #최숙 #강감찬 #대승 #최항 #정광 #정주 #침구 #원영 #서경부유수 #지분사호부사 #우화 #보윤 #보실 #문사명 #문재선 #시어사 #이신 #전중시어사 #임사행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문종
    문종 8년(1054) 갑오년
    문종 8년(1054) 갑오년
    8년 봄 정월 초하루 병인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임신일. 동여진(東女眞)의 중윤(中尹)인 영손(英孫) 등 18명이 와서 명마를 바쳤다. 2월 계묘일. 왕훈(王勳)을 왕태자(王太子)로 책봉했다. 그 책문은 다음…
    #중윤 #영손 #왕훈 #정사 #태위 #수문하시랑 #왕총지 #부사 #사도 #상서우복야 #박성걸 #무제 #문왕 #신봉루 #건덕전 #아골 #이자연 #태부 #원리 #영새장군 #고차 #유선여 #급사중 #김양지 #탐라국 #초공 #겸종 #회경전 #내전 #보살계 #조수 #서각 #상아 #왕옹 #거란 #포주성 #중추원사 #김원정 #서북면병마사 #동로병마사 #장주 #치담역 #황조 #유원장군 #이다불 #신금 #위봉 #섬례 #실빈 #염한 #비단 #마리불 #익주자사 #야율방 #횡선사 #야율간 #선유사 #복주자사 #야율신 #대광 #천명 #시위공자 #시위급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문종
    문종 10년(1056) 병신년
    문종 10년(1056) 병신년
    10년 봄 정월 신미일. 황주(黃州)(지금의 황해북도 황주군)에 운석(隕石)이 떨어졌는데 그 소리가 우레와 같았다. 갑술일. 동여진의 봉국장군(奉國將軍) 아가주(阿加主) 등 50명이 와서 준마 32필을 바쳤다. 2월 …
    #황주 #봉국장군 #아가주 #염가칭 #군기승 #염위 #삼한공신 #사도 #염형명 #환위공자군 #봉성현 #청녕 #덕수현 #흥왕사 #탐라국 #왕증 #국원후 #시중 #이자연 #참지정사 #김원정 #상서좌복야 #지맹 #수사공 #상서우복야 #고열 #건덕전 #이간방 #동로마병이사 #시어사 #김단 #정전 #서경유수 #비서각 #한서 #진서 #당서 #논어 #효경 #목사 #자사 #통판 #현령 #위 #장리 #목민관 #형부원외랑 #이유적 #충주 #경주 #상주 #삼도무문사 #어사잡단 #병부낭중 #김약진 #예부낭중 #최상 #진주 #나주 #전주 #청주 #광주 #공주 #홍주 #칠도무문사 #감찰어사 #시전중내급사 #안민보 #민창수 #동도무문사 #수춘궁 #태일성 #초제 #동지루 #최응 #이서 #왕충 #정상위권예 #등원 #조신 #뇌충 #금주 #태묘 #협제 #재궁 #신봉루 #황증 #내제석원 #해린 #왕사 #팔관회 #법왕사 #야사로 #영주자사 #소유신 #유원장군 #사복하 #삭주 #서강 #병악 #장원정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인종
    인종 21년(1143) 계해년
    인종 21년(1143) 계해년
    21년 봄 정월 초하루 기축일. 일식(日食)이 있었다. 을미일. 금나라에서 낙주방어사(洛州防禦使) 소사정(蕭嗣貞)을 보내 왕의 생일을 축하했다. 무술일. 금나라 사신을 위해 대관전(大觀殿)에서 잔치를 베풀었다. 임인일. 지석…
    #일식 #금나라 #낙주방어사 #소사정 #대관전 #지석숭 #병부상서 #최효승 #섭공부상서 #신중원 #외제석원 #왕륜사 #안화사 #우박 #보제사 #광평후 #왕원 #사도 #왕온 #평장사 #임원애 #소연 #연덕궁 #봉은사 #소재도량 #수문전 #보성도량 #보살계 #수창궁 #수태보 #광평공 #수태위 #강릉후 #장원정 #경천사 #배경성 #지이부사 #승선 #지어사대사 #선경전 #백좌도량 #승려 #병부원외랑 #임중 #이덕수 #상식봉어 #윤언민 #신년을 하례 #유필 #만수절 #중서시랑평장사 #최자성 #이지저 #참지정사 #판서경유수사 #김정순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고종
    고종 3년(1216) 병자년
    고종 3년(1216) 병자년
    3년 정월 신미일. 지진이 발생했다. 정축일. 왕이 친히 수문전(修文殿)에서 제석도량 제석도량 제석을 신앙의 대상으로 한 신앙의 한 형태로서, 제석신앙의 의식 행사를 총칭하여 제석도량이라 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승려 홍경(洪慶)이 대…
    #수문전 #제석도량 #창락 #재추 #상참관 #일본 #연등회 #봉은사 #건성사 #제석재 #선경전 #장경회 #보제사 #유석 #기우제 #사도 #주국 #왕선 #찰방사 #북계병마사 #금나라 #동경총관부 #달단족 #거란 #요해 #포선만노 #융안부행성 #이랄전 #달단 #선무사 #요동 #대진 #의주 #정주 #소재도량 #현화사 #금산 #금시 #아아 #걸노 #영삭진 #정융진 #상장군 #노원순 #중군병마사 #오응부 #우군병마사 #대장군 #김취려 #후군병마사 #북계 #영덕성 #안주 #귀주 #인주 #용주 #철주 #선주 #삭주분도장군 #노인수 #차덕위 #중랑장 #이희주 #김공석 #차장군 #요 #여진 #파속로 #이보 #서해도방호사 #최유공 #동계 겸 춘주도방호사 #조양진 #갑장별감 #동대비원녹사 #유성장 #부장 #이순로 #깃발 #징 #북 #사재주부 #대비원녹사 #내원성 #병마 #창주분도장군 #창주 #연주낭장 #현장 #운주부사 #설득유 #서경 #조양 #풍단역 #성주 #지구천 #대부영 #황주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고종
    고종 13년(1226) 병술년
    고종 13년(1226) 병술년
    13년 봄 정월 정축일. 왕이 법왕사(法王寺)에 행차했다. 계미일. 지진이 발생했다. ○ 왜적이 경상도 연해의 주군(州郡)을 침구하자 거제현령(巨濟縣令) 진용갑(陳龍甲)이 수군(舟師)을 이끌고 사도(沙島)(지금의 여수시 화정면 사도)에…
    #법왕사 #왜적 #거제현령 #진용갑 #수군 #사도 #건성사 #참지정사 #정방보 #오예 #서경 #조영수 #석준 #김대지 #김광영 #낭장 #황승룡 #동방림 #개경 #대정 #김국인 #유수 #진식 #교위 #봉은사 #왜 #금주 #추밀원사 #문한경 #평봉궁 #지진 #팔관회 #공천원 #유언침 #동지추밀원사 #좌산기상시 #최종준 #최정분 #정공수 #추밀원부사 #상서우복야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원종
    원종 원년(1260) 경신년
    원종 원년(1260) 경신년
    원년 봄 정월 무인일. 태손이 조순(趙珣) 조순(?~?) 고종~원종 때 수사공(守司空)․참지정사(叅知政事)를 역임한 문신관료이다.을 참지정사로, 최온(崔昷)을 추밀원사(樞密院使)로, 김전(金佺) 김전(?~1271) 김전[金⿰氵⿱人王]이라고도 하며, 원…
    #조순 #참지정사 #최온 #추밀원사 #김전 #박성재 #추밀원 부사 #성대 #태학박사 #시의 #백주 #소복별감 #김수제 #별장 #우정 #예수데르 #재추 #급사중승 #전 #석도 #가도 #서북면병마사 #이교 #도령 #위득유 #내동 #우부승선 #김인준 #별궁전 #방성좌 #서경부유수 #김식 #야별초 #서해도 안찰사 #안북도령 #원진 #부사 #문수 #자주부사 #김맥 #옹진현령 #정숭 #몽고 #제주부사 #판예빈성사 #나득황 #방호사 #제주 #송나라 #일본 #안찰사 #연등회 #봉은사 #예부 #경조부 #쿠빌라이 #도병마녹사 #육자양 #장군 #김승준 #시랑 #이응 #산원 #민홍제 #몽고 사신 #가물 #승천관 #서경 #승려 #도사 #이세재 #동지추밀원사 #황보기 #채정 #쉬리다이 #강화상 #다루가치 #진주 #강수형 #일식 #대장군 #김방경 #급사중 #조문주 #중승 #김홍취 #출배별감 #지형부사 #삼별초 #제포 #개경 #승천부 #승천궐 #오산 #강화도 #어사중승 #백영정 #앵무잔 #백은 #승평문 #경령전 #헌종 #조어산 #연경 #경조 #동관 #화청궁 #당 현종 #육반산 #헌종 황제 #아릭부케 #양주 #초주 #양양 #연각오사복두 #물소 띠 #상아 홀 #당 태종 #개평부 #고종 #강회선무사 #조양필 #왕전 #섬서선무사 #염희헌 #왕만호 #가뭄 #문․무 양반 #영부 #천도 #상장군 #신사전 #16영 #몰번 #손정렬 #형절 #태조황제 #장강 #상서 #공신 #관반 #이송진 #대부소경 #장계열 #강안전 #경녕전 #보살계 #파투 #공 #후 #백 #참상 #참외 #복야 #김보정 #김대재 #기다대 #조서 #영안공 #간무 #우무 #진정표 #사신 #패리대 #공덕천도량 #경기 #누리 #사면령 #위사공신 #유경 #일산 #소재도량 #추밀원부사 #형부시랑 #유배 #영녕공 #지진 #혼전 #천수사 #화림 #태백성 #문하시랑평장사 #최자 #왕비 유씨 #왕심 #태부소경 #신윤화 #중서성 #한무제 #연호 #중통 #보르카발 #바투르 #호부 #인장 #왕사 #혼원 #위문경 #우정언 #전문윤 #왕륜사 #묘통사 #외원 #구요당 #필천호 #김천호 #상인 #진문광 #대부시 #내시원 #능라 #사견 #지문하성사 #이부상서 #수사공 #좌복야 #장공주 #경안궁주 #조책사 #집사관 #팔관회 #법왕사 #환궁악 #사도 #왕인 #제안백 #책봉 #가례 #김기손 #문하평장사 #판이부사 #중서평장사 #김지대 #정당문학 #어사대부 #수방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충렬왕
    충렬왕 2년(1276) 병자년
    충렬왕 2년(1276) 병자년
    2년 봄 정월 초하루 정묘일. 신하들이 왕에게 신년을 하례했다. 이 행사에 드는 경비는 내탕(內帑)의 은(銀)과 모시를 하사하여 충당했으며, 이것이 매년 상례로 되었다. 원수(元帥) 힌두[忻都]와 다루가치 석말천구(石抹天衢)도 각자 말을 바쳤다. …
    #내탕 #은 #모시 #원수 #힌두 #다루가치 #석말천구 #보제사 #법석 #을해법석 #원나라 #베쿠리 #역서 #조서 #농관 #사신 #소윤 #박서 #안서도호부 #재상 #안서 #생권군 #김감 #김방경 #한족 군대 #청주 #판관 #묘곶 #내전 #유천우 #최전 #최지수 #연등회 #봉은사 #사대부 #구정 #중랑장 #장득정 #현성사 #낭장 #이인 #입조 #교초 #진눈깨비 #사면령 #참형 #교수형 #승천부 #응방 #원경 #첨의중찬 #좌승선 #박항 #선지 #왕지 #강안전 #장경도량 #임유간 #회회인 #아시미리 #탐라 #진주 #삼계대초 #천수사 #뚤루게 #영월현 #우박 #종묘 #양중신 #귀부군 #과부처녀추고별감 #정랑 #김응문 #경상도 #두목 #중서성 #역마 #차자색 #포마차자 #귀화부곡소복별감 #기우제 #도라산 #성주 #지첨의부사 #장일 #인왕도량 #장군 #고천백 #흥왕사 #대장군 #윤수 #박의 #새매 #죽판궁 #합포 #반오 #경령전 #인종 #영통사 #원종 #밀직부사 #최문본 #참문학사 #평장사 #이세재 #채정 #유경 #첨의시랑찬성사 #감수국사 #판판도사사 #이분희 #지밀직사사 #차신 #중금 #왕연생 #사도 #왕정 #삼별초 #진도 #도병마사 #금 #인공수 #홍주 #중찬 #직사관 #문련 #경력 #장국강 #원나라 사신 #박구 #상주 #해양 #최유엄 #인물추고별감 #내시좌랑 #곽예 #시학공자 #이익방 #덕수현 #마제산 #쿠치 #매 #창락원 #좌사의대부 #이인성 #선군별감 #미라리 #승려 #종오 #은병 #다라치 #동녕부천호 #한신 #왕륜사 #세조 #재궁 #창릉 #태조 #현릉 #순무사 #강회 #부카 #급제 #초제 #쿠라다이 #나주 #합포진변소 #초공 #선원 #서해도 #태백성 #호두금패 #소릉 #태묘 #협제 #시책 #정복균 #적전 #일본 밤 #조양필 #의안현 #팔관회 #의봉루 #반야도량 #지진 #강지소 #중금지유 #김부윤 #황칠 #남경사록 #전 #내수 #나장 #정자여 #판비서시사 #주열 #유홍신 #재추 #정화궁주 #제안공 #표문 #강화 #교주도 #개경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충렬왕
    충렬왕 18년(1292) 임진년
    충렬왕 18년(1292) 임진년
    봄 정월 초하루 갑오일. 일식이 있었다. 정유일. 원경(元卿)을 원나라의 요양로(遼陽路)에 보내 기미년(己未年)(고종 46, 1259) 이래 포로로 잡혀갔던 사람들을 찾아서 쇄환해 왔다. 계묘일. 서경유수(西京留守) 엄수안(嚴守安)으로…
    #일식 #원경 #원나라 #요양로 #서경유수 #엄수안 #서북면 지휘사 #초 #토리티무르 #실록 #선원사 #종묘 #사직 #복규 #지서경유수사 #마제산 #지선 #나유 #서경 #한신 #카다안 #아르도 #잉분도 #유배 #우승 #아살 #탐라 #다루가치 #강안전 #초제 #판삼사사 #박지량 #타예쉬 #백령도 #토기추 #대청도 #티이쉬 #오야도 #영흥도 #조월도 #김연수 #서보통원 #마천 #평주 #부지밀직사사 #이익배 #제왕 #양부 #동지밀직사사 #참형 #교수형 #사면 #만호 #서흥조 #강남 #김혼 #첨의참리 #세자이부 #한희유 #지첨의부사 #세자이보 #김흔 #정인경 #유승 #최유엄 #이혼 #장순룡 #박의 #정해 #좌승지 #우승지 #민지 #좌부승지 #앵무 #공작 #조인규 #진변만호 #송분 #판도총랑 #홍훤 #사공 #사도 #문한학사 #최옹 #낭장 #진양필 #주술사 #무녀 #자단전 #정가신 #유비 #일본 #홍군상 #사신 #왕륜사 #건성사 #현성사 #대방공 #묘련사 #일본인 #일본 정벌 #향각 #수녕궁 #태복윤 #김유성 #공역서령 #곽린 #서장관 #김해 #부마 #국호 #군신 #예악 #문물 #의관 #송나라 #순임금 #입조 #한림학사 #학경 #9묘 #백관 #장군 #여문취 #죽전 #교주도 #팔관회 #홍선 #향다 #목과 #승려 #혜영 #국존 #밀직 #안향 #고세 #의원 #이지저 #중찬 #김방경 #찬성사 #태의 #요생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2345678Next PageLast Page총 76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