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숙종숙종 5년(1100) 경진년숙종 5년(1100) 경진년5년 봄 정월 경진일. 요나라의 사신 소랑(蕭郞)이 귀국하는 편에 왕이 표문을 보내 사례하였다. 갑신일. 동여진(東女眞)의 장군(將軍) 표어내(表於乃) 등 60명이 입조해 왔다. 계사일. 왕이 친히 구정(毬庭)에서 초제(醮祭)를 지냈…#요나라 #사신 #소랑 #동여진 #장군 #표어내 #구정 #초제 #왕우 #신봉루 #참형 #교수형 #개경 #서경 #문무백관 #첨사부 #춘방 #산관 #동․서 #무산계 #연등회 #봉은사 #장원정 #중서성 #최사추 #문하시랑평장사 #일식 #건덕전 #복시 #한숙단 #급제 #송나라 #명주 #철종황제 #단왕 #조길 #대안사 #장신언 #태초문 #비서소감 #포백 #불경 두함 #태묘 #팔능 #송악 #신사 #상서 #임의 #시랑 #백가신 #철종 #왕하 #오연총 #휘종 #흥왕사 #회경전 #인왕도량 #복령사 #홍호사 #누교 #동랑 #사점관 #장생서 #사의서 #국청사 #이재 #도강 #이기 #중서문하성 #현덕창 #소호고 #고사영 #고주관내 관찰사 #삼한국공 #의복 #안장 갖춘 말 #활 #화살 #고려국왕 #왕희 #정사 #부사 #수위위경 #부절 #순의군절도 #삭무등주관찰처치등사 #숭록대부 #검교태부 #동중서문하평장사 #사지절삭주제군사 #행삭주자사 #상주국 #문하성 #박호 #천안절 #김후선 #팔관회 #법왕사 #탐라 #여진 #김구년 #혁련정 #최선위 #대복경 #왕집중 #이위 #급사중 #이제 #시어사 #소태간 #전중시어사 #유의 #이덕우 #좌․우습유
-
예종예종 3년(1108) 무자년예종 3년(1108) 무자년3년 봄 정월 갑인일. 요나라에서 숭록경(崇祿卿) 조용의(曹勇義)를 보내 왕의 생일을 축하했다. 병진일. 요나라 사신을 위해 건덕전(乾德殿)에서 잔치를 베풀었다. 정묘일. 급사중(給事中) 이…#요나라 #숭록경 #조용의 #건덕전 #급사중 #이자겸 #문․무 상참관 #고주사 #호부시랑 #왕유 #송나라 #수춘궁 #집사관 #신봉루 #사면령 #참형 #교수형 #개경 #서경 #남반 #정․잡로 #동정직 #상책도감 #장고 #초입사 #책함 #의장 #책문 #안락도량도감 #태묘 #압물사 #곤성전 #숭명부 #연덕궁 #명복궁 #급사 #궁부 #서자 #산사 #의사 #진봉장리 #무산계 #승천부 #진봉호장 #명경과 #제술과 #여진 #웅주 #최홍정 #상서 #유택 #함주대도호부사 #영주 #복주 #길주 #공험진 #연등회 #봉은사 #장염 #낙기복 #소량 #이인흡 #청안군절도사 #익주관내관찰사 #봉책사 #부사 #면류관 #수레 #관복 #포백 #안장 갖춘 말 #왕우 #우이 #수태위 #중서령 #윤관 #사신 #영주성 #의주 #통태 #평융 #남계 #문하시중 #판상서이부사 #지군국중사 #오연총 #상서좌복야 #참지정사 #내시낭중 #한교여 #고신 #자줏빛 수를 놓은 안장 #말 #신묘 #영릉 #웅주성 #고취군 #대방후 #왕보 #제안후 #왕서 #경령전 #부월 #문덕전 #창릉 #유배 #도형 #참수형 #체례도감 #예사 #향관 #원리 #현릉 #숙종 #부제 #품계 #향직 #내시급사 #왕부 #구사 #견룡 #초직 #시위급사 #병마부원수 #유향 #궁검 #약사경 #재추 #근시 #문무 #회경전 #초제 #진사시 #복시 #노현용 #대성 #시신 #지제고 #보제사 #보살계 #신중원 #행영병마원수 #토산현 #감무 #고영신 #서북면병마사 #최연 #동북면병마사 #서보 #좌우위 #고의화 #병부상서 #김여진 #섭호부상서 #박신 #섭공부상서 #행영병마판관어사 #신현 #영인진 #형부상서 #김상우 #예부시랑 #동계 #문두루도량 #진정사 #사천왕도량 #비사문사 #중광전 #정주 #등주 #행영병마사 #병마판관 #왕자지 #척준경 #함주 #점군사 #유익 #장군 #송충 #신기군 #박회절 #병부시랑 #지어사대사 #상장군 #서여진 #추장 #노호 #패강도 #영평현개국백 #양구진국공신 #장령전 #행영병마판관 #사지령 #남경 #흥왕사 #대시원 #이덕우 #천흥절 #강경법회 #승가굴 #연흥전 #반야경 #재림사 #인수사 #황원도 #낙기복사 #봉성현 #재보 #최지 #약사원 #불은사 #서우 #팔관회 #법왕사 #횡선사 #검교사도 #야율영
-
고종고종 40년(1253) 계축년고종 40년(1253) 계축년40년 봄 정월 초하루 경진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2월 ○ 최항(崔沆)을 문하시중․판이부․어사대사로 임명했다. ○ 왕이 대궐로 돌아 왔다. 경신일. 안경후…#최항 #문하시중 #판이부 #어사대사 #안경후 #왕간 #연등회 #봉은사 #현성사 #동계병마사 #동진 #동주 #공덕천도량 #건성사 #복령사 #묘통사 #오랑캐 #북계병마사 #몽고 #원주 #아모간 #홍복원 #송주 #동계 #북계 #대이주 #왕륜사 #화엄신중도량 #인왕도량 #외원 #구요당 #예구대왕 #아토 #제포궁 #포백 #사면 #양반 #남반 #잡로 #동정직 #홍유후 #설총 #문창후 #최치원 #주․부․군․현 #진 #역 #잡척 #장전 #무산계 #약사전 #천병신중도량 #압록강 #안찰사 #순문사 #대동강 #하마탄 #화주 #갑곶강 #교위 #대금취 #우봉별초 #금교 #흥의 #말 #활 #화살 #갑옷 #유배 #원수 #예구 #육사 #서해도 #양산성 #낭장 #최동식 #토산 #경령전 #고주 #척후 #광주 #재추 #안경공 #동주산성 #전주성 #반석역 #별초지유 #이주 #대장군 #고열 #승천부 #백마산 #동북계 #술그릇 #비단 #삼베 #수달 가죽 #삿갓 #띠 #이송무 #중양절 #충주 #창정 #최수 #금당협 #대정 #춘주성 #등주 #금양성 #양근성 #방호별감 #윤춘 #천룡산성 #황려 #현령 #정신단 #조방언 #양주 #승선 #이세재 #내시 #민양선 #시중 #소경 #정수 #경산부 #영안백 #왕희 #복야 #김보정 #우열 #왕만호 #팔관회 #법왕사 #남경 #수주 #병부상서 #한림학사 #김효인 #개경 #보정문 #강화도 #사신 #몽고대 #야별초 #교동 #평주성 #장자방 #둔장 #다루가치 #호화 #수달가죽 #소재도량 #제포관 #초제 #왕창 #후릉 #예릉 #경상주도 #임주 #백마 #서대 #흰모시
-
숙종숙종 5년(1100) 경진년숙종 5년(1100) 경진년五年 春正月 庚辰 遼使蕭朗還, 王附表以謝. 甲申 東女眞將軍表於乃等六十人來朝. 癸巳 親醮于毬庭. 乙未 冊長子俁爲王太子. 二月 乙巳 御神鳳樓, 赦二罪以下, 加名山大川神號. 兩京文武百官爵一級, 詹事府春坊員二級, 散官七品升朝二十年者, 賜服, 東西蕃長…#요나라 #사신 #소랑 #동여진 #장군 #표어내 #구정 #초제 #왕우 #신봉루 #참형 #교수형 #개경 #서경 #문무백관 #첨사부 #춘방 #산관 #동․서 #무산계 #연등회 #봉은사 #장원정 #중서성 #최사추 #문하시랑평장사 #일식 #건덕전 #복시 #한숙단 #급제 #송나라 #명주 #철종황제 #단왕 #조길 #대안사 #장신언 #태초문 #비서소감 #포백 #불경 두함 #태묘 #팔능 #송악 #신사 #상서 #임의 #시랑 #백가신 #철종 #왕하 #오연총 #휘종 #흥왕사 #회경전 #인왕도량 #복령사 #홍호사 #누교 #동랑 #사점관 #장생서 #사의서 #국청사 #이재 #도강 #이기 #중서문하성 #현덕창 #소호고 #고사영 #고주관내 관찰사 #삼한국공 #의복 #안장 갖춘 말 #활 #화살 #고려국왕 #왕희 #정사 #부사 #수위위경 #부절 #순의군절도 #삭무등주관찰처치등사 #숭록대부 #검교태부 #동중서문하평장사 #사지절삭주제군사 #행삭주자사 #상주국 #문하성 #박호 #천안절 #김후선 #팔관회 #법왕사 #탐라 #여진 #김구년 #혁련정 #최선위 #대복경 #왕집중 #이위 #급사중 #이제 #시어사 #소태간 #전중시어사 #유의 #이덕우 #좌․우습유
-
예종예종 3년(1108) 무자년예종 3년(1108) 무자년三年 春正月 甲寅 遼遣崇祿卿曹勇義, 來賀生辰. 丙辰 宴遼使于乾德殿. 丁卯 納給事中李資謙女, 爲妃. 戊寅 尊母柳氏爲王太后. 翌日, 諸王宰輔文武常叅官以上進賀, 賜群臣宴. 二月 丙戌 告奏使戶部侍郞王維如宋. 曲宴諸王․宰樞․近臣于壽春宮, 文武常叅官及封…#요나라 #숭록경 #조용의 #건덕전 #급사중 #이자겸 #문․무 상참관 #고주사 #호부시랑 #왕유 #송나라 #수춘궁 #집사관 #신봉루 #사면령 #참형 #교수형 #개경 #서경 #남반 #정․잡로 #동정직 #상책도감 #장고 #초입사 #책함 #의장 #책문 #안락도량도감 #태묘 #압물사 #곤성전 #숭명부 #연덕궁 #명복궁 #급사 #궁부 #서자 #산사 #의사 #진봉장리 #무산계 #승천부 #진봉호장 #명경과 #제술과 #여진 #웅주 #최홍정 #상서 #유택 #함주대도호부사 #영주 #복주 #길주 #공험진 #연등회 #봉은사 #장염 #낙기복 #소량 #이인흡 #청안군절도사 #익주관내관찰사 #봉책사 #부사 #면류관 #수레 #관복 #포백 #안장 갖춘 말 #왕우 #우이 #수태위 #중서령 #윤관 #사신 #영주성 #의주 #통태 #평융 #남계 #문하시중 #판상서이부사 #지군국중사 #오연총 #상서좌복야 #참지정사 #내시낭중 #한교여 #고신 #자줏빛 수를 놓은 안장 #말 #신묘 #영릉 #웅주성 #고취군 #대방후 #왕보 #제안후 #왕서 #경령전 #부월 #문덕전 #창릉 #유배 #도형 #참수형 #체례도감 #예사 #향관 #원리 #현릉 #숙종 #부제 #품계 #향직 #내시급사 #왕부 #구사 #견룡 #초직 #시위급사 #병마부원수 #유향 #궁검 #약사경 #재추 #근시 #문무 #회경전 #초제 #진사시 #복시 #노현용 #대성 #시신 #지제고 #보제사 #보살계 #신중원 #행영병마원수 #토산현 #감무 #고영신 #서북면병마사 #최연 #동북면병마사 #서보 #좌우위 #고의화 #병부상서 #김여진 #섭호부상서 #박신 #섭공부상서 #행영병마판관어사 #신현 #영인진 #형부상서 #김상우 #예부시랑 #동계 #문두루도량 #진정사 #사천왕도량 #비사문사 #중광전 #정주 #등주 #행영병마사 #병마판관 #왕자지 #척준경 #함주 #점군사 #유익 #장군 #송충 #신기군 #박회절 #병부시랑 #지어사대사 #상장군 #서여진 #추장 #노호 #패강도 #영평현개국백 #양구진국공신 #장령전 #행영병마판관 #사지령 #남경 #흥왕사 #대시원 #이덕우 #천흥절 #강경법회 #승가굴 #연흥전 #반야경 #재림사 #인수사 #황원도 #낙기복사 #봉성현 #재보 #최지 #약사원 #불은사 #서우 #팔관회 #법왕사 #횡선사 #검교사도 #야율영
-
고종고종 40년(1253) 계축년고종 40년(1253) 계축년四十年 春正月 庚辰朔 放朝賀. 二月 以崔沆爲門下侍中判吏部御史臺事. 王還御大闕. 庚申 進安慶侯侃爲公. 壬戌 燃燈, 王如奉恩寺. 甲子 王不豫. 辛卯 幸賢聖寺. 東界兵馬使馳報, “東眞三百騎圍登州.” 甲午 親設功德天道場. 戊戌 幸乾聖․福靈二寺. 壬寅…#최항 #문하시중 #판이부 #어사대사 #안경후 #왕간 #연등회 #봉은사 #현성사 #동계병마사 #동진 #동주 #공덕천도량 #건성사 #복령사 #묘통사 #오랑캐 #북계병마사 #몽고 #원주 #아모간 #홍복원 #송주 #동계 #북계 #대이주 #왕륜사 #화엄신중도량 #인왕도량 #외원 #구요당 #예구대왕 #아토 #제포궁 #포백 #사면 #양반 #남반 #잡로 #동정직 #홍유후 #설총 #문창후 #최치원 #주․부․군․현 #진 #역 #잡척 #장전 #무산계 #약사전 #천병신중도량 #압록강 #안찰사 #순문사 #대동강 #하마탄 #화주 #갑곶강 #교위 #대금취 #우봉별초 #금교 #흥의 #말 #활 #화살 #갑옷 #유배 #원수 #예구 #육사 #서해도 #양산성 #낭장 #최동식 #토산 #경령전 #고주 #척후 #광주 #재추 #안경공 #동주산성 #전주성 #반석역 #별초지유 #이주 #대장군 #고열 #승천부 #백마산 #동북계 #술그릇 #비단 #삼베 #수달 가죽 #삿갓 #띠 #이송무 #중양절 #충주 #창정 #최수 #금당협 #대정 #춘주성 #등주 #금양성 #양근성 #방호별감 #윤춘 #천룡산성 #황려 #현령 #정신단 #조방언 #양주 #승선 #이세재 #내시 #민양선 #시중 #소경 #정수 #경산부 #영안백 #왕희 #복야 #김보정 #우열 #왕만호 #팔관회 #법왕사 #남경 #수주 #병부상서 #한림학사 #김효인 #개경 #보정문 #강화도 #사신 #몽고대 #야별초 #교동 #평주성 #장자방 #둔장 #다루가치 #호화 #수달가죽 #소재도량 #제포관 #초제 #왕창 #후릉 #예릉 #경상주도 #임주 #백마 #서대 #흰모시
-
五服制度참최(斬衰) 참최 다섯 종류의 상복(喪服)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이다. 거진 베로 지으며 좌우와 아래쪽은 바느질을 하지 않고 막 입는 복식이다. ○ 상복을 입는 기간은 3년이며, 관리들에게는 1백 일의 휴가를 준다. …
-
백관지(百官志)무산계(武散階)武散階개국 초기에 무관도 또한 대광(大匡)․정광(正匡)․좌승(佐丞)․대상(大相)으로서 품계를 삼았다가, 성종 14년에 29등급으로 무산계를 정했다. 정했다 성종 14년에 제정된 무산계 29계는 당제를 채용한 것인지 송제를 수용한 것인지 분명하지 않다. 당의 무산계는…
-
田柴科태조 23년(940). 처음으로 역분전(役分田) 역분전 태조 23년(940)에 후삼국통일과 고려개국에 공로가 있는 조신과 군사들에게 선악과 공로의 대소에 따라 지급한 토지를 말한다. 그 성격에 대해서는 수조권(收租權) 분급제인 전시과(田柴科)의 전신으로 파악하…#전시과 #역분전 #직관 #산관 #자삼 #전지 #시지 #단삼 #비삼 #녹삼 #전중 #사천 #연수 #상선원 #잡업 #잡리 #안일호장 #직전 #내사령 #시중 #내사시랑평장사 #문하시랑평장사 #치사시중 #참지정사 #검교태사 #6부의 상서들 #어사대부 #좌․우산기상시 #태상경 #치사좌․우복야 #치사태자태보 #전중감 #소부감 #장작감 #개성윤 #상장군 #산좌․우복야 #좌․우승 #시랑 #간의대부 #대장군 #산육상서 #군기소경 #태상소경 #급사중승 #태자빈객 #태자첨사 #산경 #산감 #산시랑 #소경 #소감 #국자사업 #태복감 #산군기감 #산상장군 #태자서자 #낭중 #군기소감 #비서승 #전중승 #내상시 #국자박사 #중낭장 #절충도위 #태의감 #합문사 #선휘원 #선휘판사 #산소경 #산소감 #원외랑 #시어사 #기거랑사 #봉어 #내급사 #낭장 #과의 #태복소감 #태사령 #합문부사 #산낭중 #산대장군 #산합부사 #산태의감 #태자유덕 #태자가령 #태자솔경영 #태자복 #전중시어사 #좌․우보궐 #시의 승 #감의 승 #비서랑 #국자조교 #태학박사 #태의소감 #상약봉어 #통사사인 #태자중윤 #태자중사인 #산원외랑 #산태복소감 #산태사령 #산합문부사 #태상박사 #좌․우습유 #감찰어사 #내알자감 #육위의 장사 #육국의 직장 #군기승 #태자세마 #사관정 #산시승 #산감승 #산태의소감 #산상약봉어 #주서 #녹사 #도사 #내시백 #시주부 #감주부 #사문박사 #태학조교 #중상령 #경시령 #무고령 #대관령 #대창령 #전구령 #공어령 #전객령 #태악령 # #별장 #태복승 #태사승 #시어의 #상약직장 #내전숭반 #대리평사 #합문지후 #산직장 #산중낭장 #산절충도위 #산사관정 #약장랑 #전선랑 #궁문랑 #전설랑 #6위의 녹사들 #정팔품승 #정팔품령 #내알자 #동․서두공봉관 #산원 #지휘사 #협율랑 #태자감승 #산시주부 #산감주부 #산랑장 #산과의 #산내전숭반 #산합문지후 #산태복승 #산태사승 #산시어의 #산상약직장 #종8품승 #종8품령 #사문조교 #교위 #영대랑 #보장정 #설호정 #태의승 #태의박사 #율학박사 #좌․우시금 #좌․우반전직 #산정팔품 #산별장 #산지휘 #산공봉관 #대축 #사름 #사고 #구품승 #구품주사 #구품록사 #비서정자 #제술등과장사랑 #명경등과장사랑 #서학박사 #산학박사 #사진 #사력 #복정 #복박사 #감후 #식의 #의정 #의좌 #율학조교 #전서박사 #판관 #대정 #전전승지 #중추별가 #선휘별가 #은대별가 #산교위 #산좌․우반전직 #산시금 #여러 업의 장사랑 #영사 #서사 #감사 #감작 #서령사 #해서내승지 #객성승지 #합문승지 #차전전승지 #친사 #마군 #산전전승지 #산대정 #산전전부승지 #대상사의 #대상재랑 #국자전학 #지반 #주약 #약동 #군장관 #통인 #청두 #직성 #전구관 #당인 #추장 #감선 #인알 #유외잡직 #보군 #잡색원리 #전시 #군인 #한인 #중서령 #상서령 #문하시중 #문하시랑 #중서시랑 #좌․우복야 #좌․우상시 #7시의 경들 #비서감 #국자좨주 #상서좌․우승 #사천감 #태자소첨사 #장군 #우소첨사 #이부제조시랑 #군기감 #좌우서자 #좌우유덕 #중랑장들 #7시의 소경들 #비서소감 #전중소감 #장작소감 #소부소감 #사천소감 #급사중 #중서사인 #어사중승 #태자솔경령 #낭중들 #합문인진사 #태자좌우찬선대부 #낭장들 #원외랑들 #기거랑 #기거사인 #6국의 봉어들 #전중내급사 #능의 령 #태묘령 #태자약장랑 #7시의 승들 #3감의 승들 #사천승 #6위의 장사들 #내직랑 #궁문감 #별장들 #문하녹사 #중서주서 #6국의 직장들 #첨사부직장 #산원들 #대상 #좌승 #상서도사 #7시의 주부 #3감의 주부 #대악령 #대영령 #내원령 #공역령 #장야령 #여러 능의 승 #태묘승 #사천주부 #동서두공봉관 #교위들 #원보 #정조 #군기주부 #경서승 #중상승 #무고승 #대악승 #대영승 #태창승 #대관승 #전구승 #내원승 #공역승 #장야승 #비서교서랑 #양온승 #사의령 #수궁령 #전오령 #도염령 #잡직령 #도교령 #장생령 #육학박사 #대정들 #원윤 #도염승 #잡직승 #도교승 #장생승 #수궁승 #사의승 #전옥승 #태사사진 #태사사역 #태사감후 #상식식의 #사천박사 #태의의정 #사천복정 #주사들 #어사대녹사 #중추원별가 #문하대조 #문림랑 #장사랑 #도지 #선두 #사인 #영사들 #주사 #중서서예 #비서서예 #사관서예 #태사서예 #의계사 #사천복사 #사천복조교 #부전전승지 #예빈승지 #수의박사 #당직 #전식 #전설 #역보군 #여러 서영사들 #여러 사들 #상승내승지 #부내승지 #태사전사 #주금사 #공선 #주식 #공설 #장설 #당종 #계사 #시계사 #시서예 #감문군 #잡류 #무산계 #관동대장군 #운휘장군 #장무장군 #선위장군 #명위장군 #영원장군 #정원장군 #유기장군 #유격장군 #요무교위 #요무부위 #진위교위 #진위부위 #치과교위 #치과부위 #익휘교위 #익휘부위 #선절교위 #선절부위 #어모교위 #어모부위 #인용교위 #인용부위 #배융교위 #배융부위 #대장 #부장 #잡장인 #어전부악건 #어전부악인 #지리업승인 #별사전 #대덕 #대통 #부통 #지리사 #지리박사 #지리생 #지리정 #개성 #정주 #백주 #염주 #행주 #강음 #토산 #임강 #신은 #마전 #적성 #파평 #창화 #견주 #봉성 #임진 #장단 #교하 #동성 #고봉 #송림 #통진 #덕수 #안주 #동주 #봉주 #수주 #포주 #양주 #수안 #당성 #인주 #김포 #양골 #동음 #황평 #승지 #황선 #도척 #아등갑 #안협 #공암 #구분전 #향직 #대승 #정직 #전정 #향직 좌승 #문하성 #영업전 #이홍숙 #영남지방 #통주 #거란군 #감문위 #해군 #군장 #선군별감 #가전 #휴한지 #개경
-
五服制度斬衰 三年, 給暇百日. 正服, 子爲父, 女子在室及已嫁而返室者爲父. 義服, 妻爲夫, 妾爲君. 加服, 嫡孫父卒承重者, 爲祖父, 曾玄孫承重者, 爲曾高祖. …
-
숙종 5년(1100) 경진년5년 봄 정월 경진일. 요나라의 사신 소랑(蕭郞)이 귀국하는 편에 왕이 표문을 보내 사례하였다. 갑신일. 동여진(東女眞)의 장군(將軍) 표어내(表於乃) 등 60명이 입조해 왔다. 계사일. 왕이 친히 구정(毬庭)에서 초제(醮祭)를 지냈…
-
예종 3년(1108) 무자년3년 봄 정월 갑인일. 요나라에서 숭록경(崇祿卿) 조용의(曹勇義)를 보내 왕의 생일을 축하했다. 병진일. 요나라 사신을 위해 건덕전(乾德殿)에서 잔치를 베풀었다. 정묘일. 급사중(給事中) 이…
-
고종 40년(1253) 계축년40년 봄 정월 초하루 경진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2월 ○ 최항(崔沆)을 문하시중․판이부․어사대사로 임명했다. ○ 왕이 대궐로 돌아 왔다. 경신일. 안경후…
-
숙종 5년(1100) 경진년五年 春正月 庚辰 遼使蕭朗還, 王附表以謝. 甲申 東女眞將軍表於乃等六十人來朝. 癸巳 親醮于毬庭. 乙未 冊長子俁爲王太子. 二月 乙巳 御神鳳樓, 赦二罪以下, 加名山大川神號. 兩京文武百官爵一級, 詹事府春坊員二級, 散官七品升朝二十年者, 賜服, 東西蕃長…
-
예종 3년(1108) 무자년三年 春正月 甲寅 遼遣崇祿卿曹勇義, 來賀生辰. 丙辰 宴遼使于乾德殿. 丁卯 納給事中李資謙女, 爲妃. 戊寅 尊母柳氏爲王太后. 翌日, 諸王宰輔文武常叅官以上進賀, 賜群臣宴. 二月 丙戌 告奏使戶部侍郞王維如宋. 曲宴諸王․宰樞․近臣于壽春宮, 文武常叅官及封…
-
고종 40년(1253) 계축년四十年 春正月 庚辰朔 放朝賀. 二月 以崔沆爲門下侍中判吏部御史臺事. 王還御大闕. 庚申 進安慶侯侃爲公. 壬戌 燃燈, 王如奉恩寺. 甲子 王不豫. 辛卯 幸賢聖寺. 東界兵馬使馳報, “東眞三百騎圍登州.” 甲午 親設功德天道場. 戊戌 幸乾聖․福靈二寺. 壬寅…
-
五服制度참최(斬衰) 참최 다섯 종류의 상복(喪服)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이다. 거진 베로 지으며 좌우와 아래쪽은 바느질을 하지 않고 막 입는 복식이다. ○ 상복을 입는 기간은 3년이며, 관리들에게는 1백 일의 휴가를 준다. …
-
武散階개국 초기에 무관도 또한 대광(大匡)․정광(正匡)․좌승(佐丞)․대상(大相)으로서 품계를 삼았다가, 성종 14년에 29등급으로 무산계를 정했다. 정했다 성종 14년에 제정된 무산계 29계는 당제를 채용한 것인지 송제를 수용한 것인지 분명하지 않다. 당의 무산계는…
-
田柴科태조 23년(940). 처음으로 역분전(役分田) 역분전 태조 23년(940)에 후삼국통일과 고려개국에 공로가 있는 조신과 군사들에게 선악과 공로의 대소에 따라 지급한 토지를 말한다. 그 성격에 대해서는 수조권(收租權) 분급제인 전시과(田柴科)의 전신으로 파악하…
-
五服制度斬衰 三年, 給暇百日. 正服, 子爲父, 女子在室及已嫁而返室者爲父. 義服, 妻爲夫, 妾爲君. 加服, 嫡孫父卒承重者, 爲祖父, 曾玄孫承重者, 爲曾高祖.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