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병모2022한일관계사연구Shiratori, Imanishi, and Inaba were the most discussed among the Dangun theories of many Japanese in the modern period. First, Shiratori, the f...
-
이천승2022한국 철학논집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flicts between Ganjae’s disciples with the publication of Ganjae’s collection of writings. Focus...
-
주희금2019문화와예술연구서예는 문자를 매개로 하여 자신의 성정을 나타내는 특수한 예술이다. 논서시는 내용 전달에서 서예를 주제로 삼아 시의 형식을 빌려 서예를 논한 것을 일컫는다. 이는 서예의 명칭․원류․도리․서예가․서예작 품․서예사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또한 운문 형식의 시로 표현 하였기 때문에 산문형식의 서예이론에 비해 상징적․추상적․은유적 성격이 강하면서도 완곡한 의미를 함유하고 있다. 한국의 논서시는 신...
-
서승희2018한국문화연구본고는 인문사(人文社)의 출판 기획을 중심으로 식민지 후반기 출판문화 장과 문학 담론의 관계를 분석했다. 우선 인문사 사장 최재서의 출판 관련 글쓰기를 중심으로 1930년대 중반 이후 문학 시장의 현황을 개관한 후, 인문사의 운영 방식과 출간물의 성격을 정리했다. 인문사의 출간물은 조선의 언어, 역사, 문학 관련 서적, 서구문학 번역서, 월간 비평지 『인문평론』, 『조선문예연감』 및 『조선작품연감...
-
장만호2016한국시학연구이 글은 최현식의 『최남선·근대시가·네이션』(소명출판, 2016)의 서평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근대·계몽의 주체(최남선, 근대 매체)와 근대·계몽의 내용(네이션 기획), 근대·계몽의 문학적 형식(근대시가)을 살피고 있다. 최남선과 근대시가, 네이션의 ...
-
장만호2016한국시학연구이 글은 최현식의 『최남선·근대시가·네이션』(소명출판, 2016)의 서평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근대·계몽의 주체(최남선, 근대 매체)와 근대·계몽의 내용(네이션 기획), 근대·계몽의 문학적 형식(근대시가)을 살피고 있다. 최남선과 근대시가, 네이션의 삼각구도를 통해 최남선의 문학 및 문화 기획과 문학 양식의 문제를 검토하고 있는 셈이다. 이 서평은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이 책을 읽고자...
-
서승희2016동아시아 문화연구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유력 일간지 『오사카마이니치신문』 조선판에 수록된 `조선여류작가집`(1936.4.21~6.10)의 특징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조선여류작가집`은 백신애, 최정희, 장덕조, 노천명, 박화성, 김말봉, 강경애 등 당대 활발히 활동하던 여성 작가들의 최신 단편소설로 구성되었다. 이 중 백신애, 장덕조, 노천명, 박화성, 김말봉의 소설은 조선어 원전을 번역해 실은 것이며, 최정희, ...
-
최현식2014韓國 詩歌硏究이 글은 최남선의 『조선유람가』(1928)의 문학사적·문화정치학적 가치와 의미를 동시에 제고하기 위해 작성된다. 장편창가 『조선유람가』는 1920년대 중반 ‘조선주의’와 ‘불함문화’를 널리 표방하기 위해 작성된 시조집 『백팔번뇌』와 기행문 『백두산근참기』 ...
-
최현식2014韓國 詩歌硏究이 글은 최남선의 『조선유람가』(1928)의 문학사적·문화정치학적 가치와 의미를 동시에 제고하기 위해 작성된다. 장편창가 『조선유람가』는 1920년대 중반 ‘조선주의’와 ‘불함문화’를 널리 표방하기 위해 작성된 시조집 『백팔번뇌』와 기행문 『백두산근참기』 『심춘순례』 「풍악기유」(『금강예찬』) 등에 비해 비교적 덜 알려져 있다. 『조선유람가』는 당시로서는 퇴조기에 접어들던 ‘영사’ 형식을 빌려, ...
-
김윤식2008서강인문논총이 논문은 이중어 공간이라 부를 수 있는 1940년대 전반기의 문학을, 조선에서 발행된 일본어 문예지 『국민문학』 과 그 주재자인 최재서의 문화 자본인 경성제국대학 영어영문학과에 대한 검토를 통해 한국 근대문학사에 다시 위치 짓고자 한다. 그 동안 일제 말기의 문학은 민족문학사의 입장에서 보아 일본어 글쓰기가 중심이 된 암흑기 문학, 혹은 친일 문학이라 규정해 왔으나, ‘민족’과 ‘문학’의 입장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