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헌국을 인견하고 세자의 근황, 왜적의 동향을 묻다.
상이 편전에 나아가 형조판서 이헌국(李憲國)을 인견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동궁을 수행하면서 노고는 없었는가? 그곳의 일은 어떠한가?”
하니, 헌국이 아뢰기를,
“그곳은 군사가 매우 적은 데가 각처로 분정 시켰으...
-
전 교수 조헌이 소장을 올려 왜국에 사신을 보내지 말기를 청하다.
전 교수 조헌(趙憲)이 소장을 올려 왜국에 사신을 보내지 말기를 청하고 아울러 전의 소장도 올렸으나 회보하지 않았다.
조헌이 향리로 돌아오고 나서 일본 사신이 와서 통빙을 요구한다는 말을 전해 듣고는 드디어 소장을 초하여 그것이 실책임을 극력 말하는...
-
상이 동래부사 홍립에게, 왜인은 간교하여 대하기 어려우니 항상 경계하도록 전교하다.
강원도 관찰사 신득연(申得淵), 전라도 좌수사 송영망(宋英望), 동래부사(東萊府使) 홍립(洪雴)을 인견하고, 상이 각자 마음에 품은 바를 진달하도록 하였다.
신득연이 아뢰기를,
“본도에는 한 곳도 관방이 없는데, 위급할 때의 대비가 이와 같아...
-
상이 차왜가 말한 7조목의 일을 가지고 대신과 비국 당상을 인견하여 논의하다.
상이 차왜가 말한 7조목의 일을 가지고 대신과 비국 당상을 인견하였다. 영의정 이홍주(李弘冑)에게 이르기를,
“경의 생각에는 어떠한가?”
하니, 아뢰기를,
“이번에 와서 청한 것이 과연 이상한...
-
청사가 조선에서 왜적을 방비한다는 거짓 구실로 산성을 수리하려고 한다하며 노여워하다.
청사가 삼전도 비를 가서 보고는 사냥한다는 핑계로 남한산성에 들어가 성첩을 두루 살펴본 다음 날이 저물어서야 돌아왔다. 그리고 승지와 중사를 관소로 불러 도환인·채삼인·향화인 등에 관한 일을 제기하면서 수없이 책망하고, 또 소리를 높여 크게 노하여 말하기를...
-
왜인이 물건을 청하는 일과 대마도의 무역 등에 대해 대신들과 논의하다.
상이 대신과 비국의 신하들을 인견하였다. 영의정 정태화(鄭太和)가 나아가 아뢰기를,
“왜차가 와서 신사를 청하고 또 등롱을 구하는데 그 청을 헛되게 하여 먼 곳의 사람이 바라는 것을 서운하게 할 수 없으니, 등롱은 본도를 시켜 주조하여 주고 신사는 ...
-
좌참찬 송준길이 임진왜란 때 전사한 조영규와 그의 아들 조정로에 포상할 것을 아뢰다.
상이 사관을 보내어 좌참찬 송준길(宋逡吉)에게 면유할 뜻을 전하였다. …… 송준길이 또 아뢰기를,
“지난 임진난 때에 장성 무인 조영규(趙英圭)가 양산군수로 있으면서 일 때문에 동래에 갔었는데 마침 왜구가 상륙하였습니다. 부사 송상현(宋象賢)에게 묻...
-
동래부 아전 최정항 등이 관왜 근병위와 함께 왜료미 4백석 등을 훔친 것이 발각되다.
동래부(東萊府)의 아전 최정항(崔挺恒)·여자신(余自信)·권해순(權海順)이 관왜 근병위(近兵衛)란 자와 더불어 부동하여 간계를 써서, 왜료미(倭料米) 4백석과 대두 80석, 매[鷹] 4좌의 가포를 훔쳐 썼는데, 사건이 발각되자 근병위는 왜관에서 끝까지 핵문하...
-
학생 이숭인 등을 임진왜란 때 몸으로 어머니를 가려 왜적의 칼을 받은 공로로 정려하다.
군수 이돈오(李惇五)와 학생 이숭인(李崇仁)을 정려하도록 명하였다. 이돈오는 병자년 난리에 강도(江都)에 들어가서 분사(分司)의 훈국랑(訓局郞)에 임명되어 성밖에 있으면서 군기를 나누어 주다가, 적이 강을 건넜다는 것을 듣고는 그 어미에게 말을 전하기를, ...
-
좌의정 이세백이 부산첨사가 왜관을 수리를 적간할 때의 일에 대해 아뢰다.
대신과 비국의 모든 재상을 인견하였는데, 좌의정 이세백(李世白)이 말하기를,
“서북의 백성을 쇄환하는 것은 해마다 응당 행하던 일이나 근년에 흉년과 기근으로 오랫동안 폐하였는데, 금년에는 조금 풍년이 들었으니 마땅히 거행해야 할 것 같습니다. 또 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