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 경차관 박호문이 정의 ․ 대정현의 이동을 건의하다.
제주경차관(濟州敬差官) 사복소윤(司僕少尹) 박호문(朴好問)이 아뢰기를,
“정의(旌義) ․ 대정(大靜) 두 현의 성내에 모두 샘물이 없기 때문에, 정의현에서는 15리 밖에서 물을 길어 오고, 대정현에서는 5리 밖에서 물을 길어 오니, 만일 왜구가 들어...
-
제주 도안무사 한승순이 왜선의 정박할 요해지와 수비 방어하는 조건을 보고하다.
제주도안무사 한승순(韓承舜)이 아뢰기를,
“의정부의 수교에, ‘본주가 승평한 지 오래 되므로 수비 방어하는 계책에 혹 소루함이 있을까 하여 신에게 봉화(烽火)와 척후하고 망보는 것을 삼가게 하고, 군대를 정돈하여 방수하라.’ 하였으며, 또 ‘왜선의 ...
-
제주 안무사가 세 곳에 성을 쌓아 지키고 방어하기를 청하다.
제주안무사가 치계하기를,
“이제 병조의 이문(移文)에 따라 정의현(旌義縣)의 성내를 살피온즉, 성안은 조금도 샘물이 나올 데가 없지만, 성 밖의 남쪽에는 흐르는 내가 있어서 물이 깊고 마르지 않사오니, 성을 이곳으로 옮길 만하옵...
-
제주목사 이명겸이 제주 목관 ․ 정의현 ․ 대정현 등에 전함을 나누어 줄 것을 청하다.
제주목사 이명겸(李鳴謙)이 아뢰기를,
“제주는 멀리 바다 가운데 떨어져 있어서 사면으로 적을 맞이하게 되니, 방어가 제일 긴요합니다. 적을 제어하는 전술로는 수전 같은 것이 없는데, 이전에는 겨우 고기잡이배나 공선이 있었을 뿐이...
-
제주목사 장임이 방어절목 여덟 가지를 들어서 치계하니 방어청에 내리다.
제주목사(濟州牧使) 장임(張琳)이 방어절목을 조목조목 들어서 치계하기를,
“1. 본주의 건입포(巾入浦) 등 18포와 정의현(旌義縣)·천미포(川尾浦) 등 10포와 대정현(大靜縣)·모슬포(毛瑟浦) 등 11포는 포구가 넓지 않아서 적선이 의지해 정박하기가...
-
삼공 및 병조에서 제주의 왜변과 관련해 아뢰다.
제주목사 김충렬(金忠烈)의 왜변에 대한 서장【종백(宗伯)예조판서를 말한다.】을 정원에 내리면서 이르기를,
“근래 일본 삼전(三殿)의 사신이 온 것을 위에서 의심하였는데 이제 이러하니 매우 간사스런 일이다. 방어에 관계된 제반 일을 삼공과 비변사·병조...
-
헌부가 제주방비에 관해 조처할 사항을 아뢰다.
헌부가 아뢰기를,
“신들이 비변사가 조치한 제주의 일을 보건대 자세하고 극진하여 잘못된 계책이 없다고 할 만합니다. 그러나 사람의 소견이란 같지 않은 것이기에 주달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군사들이란 넉넉한 양식이 있어야 이것을 ...
-
유구국인 7명이 표류하여 제주 대정현에 도착하였으므로, 수로를 경유하여 송환하다.
유구국 사람 7명이 표류하여 제주의 대정현에 도착하였으므로, 수로를 경유하여 되돌려 보냈다. 그 배는 앞이 낮고 뒤가 높았으며 길이는 8파이고 너비는 3파 남짓하였으며 높이는 1파 남짓하였는데, 전후와 좌우에 모두 달 모양[月形]을 그렸으며 위에 면포[木綿...
-
대정현에 표도한 유구국의 나패부 사람 3명을 육로로 북경에 호송하라고 명하다.
대정현에 표도한 유구국의 나패부(那覇府) 사람 3명을 육로를 따라 북경으로 호송하라고 명하였다.
-
대정현에 표착한 유구국의 나패부 사람 3명을 육로로 북경에 호송하라고 명하다.
대정현(大靜縣)에 표착한 유구국의 나패부(那覇府) 사람 셋을 육로를 따라 북경으로 호송하라고 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