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수도에 진영을 설치하는 문제를 의논하다.
증경정승(曾經政丞)과 의정부․육조당상․대간을 명소하여 심수도(深水島)에 진영(鎭營)을 설치하는 편부를 의논하게 하였다. 정창손․심회․윤필상․윤호․어세공․이파․이덕량․어세겸․여자신․이경동․이육․김자정․신부(申溥)․노공필․이훈․한치례․정괄․김작․박제순(朴悌順)...
-
김자정이 대마도는 땅이 메말라 생활을 우리나라에 의지하고 있다고 아뢰다.
경연에 나아갔다. 강하기를 마치자, …… 임금이 김자정(金自貞)에게 이르기를,
“내가 듣건대, 대마도(對馬島)는 땅이 메마르고 백성들이 가난하다고 하는데, 그렇던가?”
하였는데, 김자정이 대답하기를,
“대마도는 토지가 메말라서 모두 ...
-
역관과 의관의 일을 논하다.
경연에 나아갔다. 강하기를 마치자, 대사간(大司諫) 강자평(姜子平)과 집의(執義) 강귀손(姜龜孫)이 이계동(李季仝)을 석방하는 것이 마땅치 않음을 논하니, …… 강귀손이 또 아뢰기를,
“근자에 ‘의원과 역자로서 그 업에 정통한 자는 동·서반에 탁용(...
-
경상도와 전라도 관찰사에게 유민들이 왜인 행세를 하는 것을 조사하라고 하다.
경상도 관찰사 김자정(金自貞)과 전라도 관찰사 정난종(鄭蘭宗)에게 글을 내리기를,
“제주(濟州)의 백성들이 연해 여러 고을에 유이하여 우거하고 있으나 이미 호적에 올려 있지 아니하고 또 금방함이 없어서 출입을 자유로이 하여 간혹 왜인의 말을 배우고 ...
-
경상도 관찰사가 울산에 있는 수영을 다대포로 옮기기를 청하다.
경상도관찰사 김자정(金自貞)이 아뢰기를,
“좌도 병마절도사와 수군절도사가 모두 울산(蔚山) 땅에 있어서 백성의 폐단이 매우 큽니다. 청컨대 영변의 예에 의하여 울산을 도호부로 올려서 부사와 판관을 두되, 병마절도사에게 부사를 겸임하게 하고, 또 한 ...
-
시강관 정성근 등이 경상도의 오래된 공채를 징수하지 말 것 등을 아뢰다.
경연에 나아갔다. 강하기를 마치자, 시강관(侍講官) 정성근(鄭誠謹)이 아뢰기를, …… 정성근이 아뢰기를,
“신이 보건대, 남쪽 지방의 방수가 허술합니다. 만호는 늘 육지에 있고 배 위에 있지 아니하니, 신은 두렵건대 왜변이 창졸간에 일어나면 감히 지...
-
시강관 정성근이 대마도선위사때의 일을 아뢰다.
야대에 나아갔다. 강하기를 마치자, 시강관 정성근(鄭誠謹)이 아뢰기를, ……
정성근이 또 아뢰기를,
“신이 지금 대마도선위사(對馬島宣慰使)가 되었는데, 신이 일찍이 듣건대, 우리 배가 저쪽에 도착하여 언덕에 의지하면 도주가 있는 곳이 겨우 1...
-
대사헌 김자정 등이 차자를 올려 대부도의 역사를 일시 정지할 것에 대해 차자를 올리다.
사헌부 대사헌 김자정(金自貞) 등이 차자를 올리기를,
“지난번에 대부도(大部島)의 목장 안에 있는 소전(召田) 등지가 논을 만들기에 합당하다고 해서 개간하여 둔전을 설치하고, 그 논갈이하는 소는 영흥(靈興)·선감(仙甘)·대부(大部) 등 세 목장 목자...
-
대마도 선위사 정성근을 인견하다.
대마도선위사(對馬島宣慰使) 정성근(鄭誠謹)이 와서 복명하자, 임금이 인견하였다. 정성근이 아뢰기를,
“신이 5월 초2일 진시에 배를 출발하였는데, 그날 바람이 순조롭기 때문에 포시(晡時)에 대마도(對馬島) 땅에 이르렀습니다. 듣기로는 도주가 사는 곳...
-
시강관 조지서가 경상도 ․ 전라도의 왜적 방비에 만전을 기해 줄 것을 아뢰다.
석강에 나아갔다. 강하기를 마치자, 시강관 조지서(趙之瑞)가 아뢰기를,
“왜인이 말하기를, ‘우리들이 10여 척의 배로써 삼포의 근도와 이남의 변지에 왕래하였으므로, 조선사람이 반드시 놀라고 두려워하여 동요되었을 것입니다.’ 라고 했다는데, 그 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