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병조에서 각도의 내지에도 거진을 설치하고 인근 고을을 익에 분속시킬 것을 청하다.
병조에서 아뢰기를,
“각도 연해의 요해지에는 진을 설치하고 진장(鎭將)을 두어 그 방어를 견고히 하고 있으나, 내륙의 주현에는 아직 진을 설치하지 않아서 만약 구적(寇賊)이 발생하여 변진이 감히 이를 막지 못하게 되면, 반드시 ...
-
병조에서 여러 진에 인을 주조하여 줄 것을 아뢰다.
병조에서 경상도절제사의 계본에 의거하여 아뢰기를,
“안동부(安東府)가 비록 거진(巨鎭)이 되지마는 다른 동래(東萊) · 연일(延日) 등 군사가 있는 여러 진의 예는 아니니 군관을 둘 필요는 없습니다. 만약 군정의 공사를 맡아 볼...
-
대사헌 김자정 등이 차자를 올려 대부도의 역사를 일시 정지할 것에 대해 차자를 올리다.
사헌부 대사헌 김자정(金自貞) 등이 차자를 올리기를,
“지난번에 대부도(大部島)의 목장 안에 있는 소전(召田) 등지가 논을 만들기에 합당하다고 해서 개간하여 둔전을 설치하고, 그 논갈이하는 소는 영흥(靈興)·선감(仙甘)·대부(大部) 등 세 목장 목자...
-
함경도 관찰사 고형산이 왜적을 방비하는 계책을 아뢰다.
함경도 관찰사 고형산(高荊山)이 왜적을 방비하는 방략을 치계하였는데 그 대략에,
“고적을 상고하여 보면 지나간 갑자 연간의 왜변 때에 안변에서 흡곡까지 세 참 쉴 거리에 있는 압융(壓戎)·철원·화등(和登)·낭성포(浪城浦) 등처에 혹은 석성, 혹은 토...
-
비변사가 황찬을 소모사로 파견할 일과 강원도 소모관 허성을 파직할 것을 청하다.
비변사가 아뢰었다.
“북도의 왜적은 그 수효가 많지 않은데도 한 사람도 기운을 내어 막지 않고 향도가 되어 영입하는 자가 많으니 지극히 통분합니다. 제도에는 모두 소모장(召募將)이 있으나 북도는 현재 조처되지 않고 있습니다. 황...
-
김경로 ․ 안세희를 인견하고 동래 전투, 각도의 민심과 적의 동향 등을 논의하다.
상이 김경로(金敬老)·안세희(安世熙)를 인견하였는데, 승지 신점(申點), 가주서 강욱(康昱), 봉교 기자헌(奇自獻)이 입시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그대들이 들은 바를 모두 진술하라.”
하니, 경로가 아뢰기를,
“...
-
정사일 ․ 백유함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정사일(鄭思一)을 장례원사평에,【사일은 영흥(永興) 사람이다. 이때 여러 지방에서 의병이 일어났으나 함경도만은 아무런 소문이 없었다. 이때에 이르러 사일이 이희득(李希得)의 장계를 가져 오고 또 왜적의 수급을 바쳤던 까닭에 특별히 벼슬을 제수하여 위로한 것...
-
이희득을 인견하여 왕자와 재상이 사로잡힌 일, 왜적의 상황을 묻다.
상이 편전에 나아가 이희득(李希得)을 인견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왕자와 재상이 무슨 까닭으로 사로잡히게 되었는가?”
하니, 희득이 아뢰기를,
“신이 듣기로는 적장이 명령을 내려 현상금을 걸고 왕자와 대신을 사로...
-
경성판관 이홍업이 왕자 및 적장의 편지를 가지고 오다.
경성판관(鏡城判官) 이홍업(李弘業)이 오랫동안 적에게 잡혀 있다가 북병사 한극함(韓克諴), 남병사 이영(李瑛), 임해군 이진(李珒), 순화군 이보(李⿰王土), 상락부원군 김귀영(金貴榮), 장계부원군 황정욱(黃廷彧), 전호군 황혁(黃赫)의 서장과 적장 청정(...
-
함경도의 왜적을 소탕하기 위해 중국 병부에 자문을 보내다.
병부에 이자하였다.
“이 달 4일에, 함경도관찰사 윤탁연(尹卓然)과 평안도좌방어사 이일(李鎰) 등이 덕원부사(德源府使) 김신원(金信元) 등이 비보한 것을 갖추어 치계한 바에 의하면 ‘영흥(永興) 이남의 각처에 머물던 왜적이 각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