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정부에서 농삿달에는 총통과 화살 만드는 것을 정지해 줄 것을 아뢰다.
의정부에서 병조의 정문에 의거하여 아뢰기를,
“전에는 경상도의 웅신진(熊神鎭) · 부산포(富山浦) · 제포(薺浦) · 염포(鹽浦) 외 여러 진과 연변의 여러 읍, 여러 포에서 총통과 화살을 농삿달을 따지지 않고 만들었는데 미편합...
-
왜선이 내례포에 이르니 후히 대접해 보내도록 전라도 관찰사에게 유시하다.
전라도관찰사에게 유시하기를,
“이제 경이 병조에 보낸 관문으로 인하여 왜선이 내례포(內禮浦)에 이르러 다시 경상도 제포(薺浦)로 향하려는 것을 알았다. 경은 속히 지로선(指路船)을 주고 또 양곡 식품 등을 후히 주어서 들여보내도...
-
대마주태수 종성직이 보낸 배가 제포에 이르다.
처음에 일본국 대마주태수(對馬州太守) 종성직(宗成職)이 보낸 삼보라도로(三甫羅都老)·우계사야문(于桂沙也文) 등이 탄 배 12척이 제포(薺浦)에 이르렀다.
변장(邊將)이 말하기를,
“전에 약정(約定)한 50척이 이미 다 나...
-
경상도 관찰사 황수신이 연해 제읍에 방수할만한 곳을 갖추어 기록하여 아뢰다.
처음에 경상도관찰사 황수신(黃守身)이 아뢰기를,
“지금 제읍의 군사 여정(餘丁)이 모두 3명이니, 만약 1명씩 뽑아내면 1,400명을 얻을 수 있습니다. 신이 연해 제읍을 살펴보고 군사를 두어 방수할 만한 곳을 뒤에 갖추어 기록합니다. ...
-
우참찬 황수신이 ≪경상도지도≫ ․ ≪웅천현도≫를 올리고, 웅천 축성을 청하다.
우참찬(右參贊) 황수신(黃守身)이 ≪경상도지도(慶尙道地圖)≫ 및 ≪웅천현도(熊川縣圖)≫를 올리고 인하여 아뢰기를,
“신이 관찰사가 되어 웅천(熊川) 및 제포(薺浦)를 친히 둘러보니 거기에 항상 거주하는 왜인은 우리 인민과 더불어 어염을 판매하여 서로...
-
병조에서 웅천 제포의 왜인이 거주하는 곳에 축성하기를 청하다.
병조에서 우참찬(右參贊) 황수신(黃守身)의 단자(單字)에 의거하여 아뢰기를,
“웅천(熊川) 제포(薺浦)의 항거왜인(恒居倭人)이 관방(關防)이 없기 때문에 본국 인민들과 서로 왕래하며 분쟁을 일으키고 있어서 후환을 끼칠까 두렵습니다. 청컨대 왜인이 거...
-
병조에서 번상 시위패 중 300명을 뽑아 방수의 강화를 청하니 따르다.
병조에서 아뢰기를,
“경상도 염포(鹽浦) · 부산포(富山浦) · 제포(薺浦)의 왜선이 처음 정박하는 곳과, 항상 살고 있는 왜인이 거주하는 곳의 방수가 가장 긴급한데, 옆 근처에 있는 도절제사 진과 동래(東萊) · 웅천(熊川)의...
-
병조에 경상도 김해 등의 읍성에 군사를 보내 지키게 할 것을 청하니 따르다.
병조에서 아뢰기를,
“경상도의 김해(金海) · 고성(固城) · 곤양(昆陽) · 하동(河東), 전라도의 낙안(樂安) · 보성(寶城) · 장흥(長興) · 해남(海南) · 함평(咸平) · 영광(靈光), 충청도의 서천(舒川) 등 여러 ...
-
하삼도 도순찰사 박강 등에게 행해야 할 일들의 조목을 아뢰게 하다.
충청도·전라도·경상도의 도순찰사 박강(朴薑)과 부사 구치관(具致寬) 등이 경상도·전라도·충청도의 여러 진과 여러 포를 순심하고, 당연히 행할 사건을 아뢰어, 하나씩 하나씩 조목조목을 열기 하였다.
“1. 이보다 앞서 남쪽 변방에서는 수군은 많이 설치...
-
일본국왕이 양국 상인간의 거래에 대해 시정과 감독을 청하는 글을 보내다.
일본국왕이 선주(船主) 도행(道幸)을 시켜 예조에 글을 보내기를,
“대개 듣건대, 교역은 있는 것과 없는 것을 융통하는 방도이니, ≪주역(周易)≫의 서합괘(噬嗑卦)에서 취한 것이라 합니다. 주(周)나라에서 시역사(市易司)를 세워서 시장 정책을 균평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