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종호2022한일관계사연구The purpose of this paper is (i) to study the background and appearance of the surrender of Nakaon(羅可溫)’s Waegu (or Wakou or Japanese marauders ;…
-
이승민2022동국사학In traditional society, writing brush and ink stick(墨) have important meaning as a tool of record and expression. In Korea, ink sticks have been …
-
유채연2021한일관계사연구본 논문의 목적은 동아시아 정세가 안정되는 가운데 조선이 기유약조체결 이후 누적되어온 조일관계의 현안을 적극적으로 해결하는 분위기 속에서 右京圖書 교섭을 중심으로 조선의 달라진 대응 양상을 고찰하는 데 있다. 17세기 후반은 청이 명의 지배영역을 완전하게 확보하면서 조선에 대한 감시와 압박이 완화되었던 시기로, 이전보다 운신의 폭이 넓어진 조선은 대일외교에서 적극적인 태도로 전환해 나갔다. 16…
-
이승민2021한일관계사연구본 논문의 목적은 기존 조일무역 관련 연구에서 소홀히 다루어졌던 求貿와 관련해서 구무를 바라보는 조선과 일본 양국의 시각, 그리고 동아시아 무역에서 구무가 지니는 특수성 등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조일 양국 교섭의 실상을 파악하는 데 있다. 구무는 일본 막부로부터 대조선외교와 무역에 관한 권한을 위임받은 쓰시마가 필요한 물품을 구해달라고 요청하면, 조선조정에서 사안을 심의하고 허가해서 이루어지는 교역이다…
-
스즈키 코키2021야외고고학본 쓰시마는 한반도와 열도 중간에 위치하여 고대부터 한일교류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온 지역이다. 쓰시마에서 본격적인 고고학 조사가 시작된 것은 2차 세계대전 이후이며, 그 성과가 지금까지 한일 교류사를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연구사가 되었다. 일전에 필자는 쓰시마에서 출토된 스에키(須惠器) 및 도질토기를 통해 쓰시마 고분시대의 지배체계에 대해 살펴본 바가 있었다. 이번에는 기존 내용에 …
-
허지은2020한일관계사연구본 논문에서는 에도막부가 규슈지역에 설치된 복수의 대외창구를 통해 중층적으로 중국관련 정보를 입수했던 점에 주목하였다. 각 대외창구를 통해 입수된 정보의 내용을 『華夷變態』에 수록된 ‘삼번의 난’ 관련 정보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류큐-사쓰마 경유의 ‘삼번의 난‘ 관련 중국정보는 류큐가 중국과 조공책봉관계를 맺고 있었기 때…
-
이주희2019한일관계사연구Fujiwara Huhito was the son of Japan's most powerful man, Kamatari Nakatomi. There, he received a higher education and grew up to be the best int…
-
마츠모토 토모야2019한일관계사연구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sushima’s self-identity, who mediates the diplomatic and trade relations of Joseon-Japan, …
-
장순순2017한일관계사연구본 연구는 조선전기 통신사의 파견 및 중단과정을 살펴보고, 조선정부가 일본에 통신사파견으로 얻고자 한 것은 무엇이었는지를 추적함으로써 조선전기 통신사 외교의 실체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국 이래 대일외교의 최대현안이었던 왜구의 문제가 어느 정도 해소되자 조선정부는 室町幕府를 교린의 대상으로 설정하고, 통신사행 실시의 정례화를 시도하였다. 그러나 막부는 교린에 입각한 외교…
-
정성일2016한일관계사연구조선 정부는 공무역(公貿易)에서 일본이 가져온 물품에 대하여 15세기 초부터 면포 즉 공목(公木)으로 결제해 주기 시작했다. 17세기 중엽~19세기 중엽에는 공목의 일부를 쌀로 바꾸어 지급했는데 그것을 공작미(公作米)라 불렀다. 왜관을 통해 대마도로 건너간 조선의 공목과 공작미는 일본 대마도 경제의 기초를 이루었다. 이 글에서는 1860년대 공목과 공작미 문제를 분석하였다. 1862년에는 조선의 공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