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국 대마주 정가문수계가 와서 토물을 바치다.
일본국 대마주(對馬州) 왜호군(倭護軍) 정대랑(井大郞)의 아들 정가문수계(井可文愁戒)가 와서 토물을 바쳤다.
-
일본국 대마주 호군 정대랑의 아들 사정 정가문수계 등이 토물을 바치다.
일본국 대마주호군(對馬州護軍) 정대랑(井大郞)의 아들 사정(司正) 정가문수계(井可文愁界)가 와서 토물을 바치고, 종반마수(宗蟠磨守) 조무(朝茂), 상송포(上松浦) 호자(呼子) 원고(源高), 신전능수(神田能守) 원덕(源德)도 또한 각각 사인을 보내 와서 토물을 …
-
일본국 사신과 왜호군 정가문수계 등이 와서 토물을 바치다.
일본국 대마주(對馬州) 종성홍(宗盛弘)·종무세(宗茂世)·종성가(宗盛家), 관서로(關西路) 비주(肥州)·축주(筑州) 2주(州) 태수(太守) 등원조신국지위방(藤源朝臣菊池爲邦)·비전주(肥前州) 상송포(上松浦) 단후태수(丹後太守) 원성(源盛)·오도우구수(五島宇久守) …
-
일본국 대마주태수 종정국 등이 토의를 바치다.
일본국 대마주태수(對馬州太守) 종정국(宗貞國), 월중수(越中守) 종성홍(宗盛弘), 사랑(四郞) 종직성(宗職盛)이 사람을 보내어 와서 토의를 바쳤고, 왜호군(倭護軍) 정가문수계(正可文愁戒) 등 3인이 내조하였다.
-
일본국의 여러 주에서 토물을 바치다.
일본국 주방주(周防州) 산구(山口) 거주(居住) 대내진량교지(大內進亮敎之), 비전주(肥前州) 상송포(上松浦) 파다도(波多島) 원납(源納), 하송포(下松浦) 단후태수(丹後太守) 원성(源盛), 살마주(薩摩州) 도진(島津) 등원지구(藤原持久), 일기주(一岐州) 상송…
-
왜인 정가문수계가 말 2필을 바치다.
왜인 정가문수계(井可文愁戒)가 말 2필을 바치었다.
-
예조에서 변경 노략질의 금기를 대마도주에게 치서하다.
왜의 호군(護軍) 정가문수계(井可文愁戒)가 하직 인사를 하니, 예조에서 하교를 받들어 대마도주(對馬島主)에게 치서하기를,
“귀도의 장사하고 고기 낚는 배는 왕래하는 데 정해진 장소가 있고, 문인으로 서로 접하는 것도 또한 엄한 약조가 있어 대대로 서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