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조에서 정대랑이 데려온 포로였던 자들의 처리 방안을 아뢰다.
예조에서 아뢰기를,
“정대랑병위(井大郞兵衛)가 데리고 온 보성(寶城) 사람 작은 모지[小斤毛知]와 금천(衿川) 사람 정덕(鄭德) 등을, 청하건대 부모 친족과 더불어 모여 살게 하고, 만일 친족이 없거든 한전(閑田)과 의복·양식을 적당히 주…
-
왜인 도성자 ․ 정대랑 ․ 이야이랑 등에게 면주와 미두 등을 주어 이예를 도와 준 사례를 하다.
승문원에서 아뢰기를,
“왜인 도성자(道性子) ․ 정대랑(井大郞) ․ 이야이랑(伊也二郞) 등은 지난 계축년에 회례사로 간 이예(李藝)에게 배를 꾸며 준 자들입니다. 지금 도성자와 정대랑이 왔사오니, 도성자에게는 면주(聃紬) 20필을, 정대랑…
-
대마도의 종언칠이 정대랑 등 5명을 보내어 토산물을 바치고 도서를 준 것을 치사하다.
대마도의 종언칠(宗彦七)이 정대랑(井大郞) 병위(兵衛) 등 5명을 보내어 토산물을 바치고, 도서(圖書)를 내려 준 것에 대하여 치사하였다. 정대랑도 역시 사사로이 화살과 살촉을 바쳤다.
-
왜인 원좌위문과 정대랑 등이 쌀을 청하므로 이를 허락하다.
종정성(宗貞盛)이 보내온 원좌위문(源左衛門)이 고하기를,
“정성이 농사를 실패하고 기근에 쌓여 미곡과 소주를 청구합니다.”
하고, 종언칠(宗彦七)이 보내 온 정대랑병위(井大郞兵衛)도 역시 고하기를,
“언칠이 싸움을 도우려고 구주(九州)로 …
-
경상우도 절제사가 왜인이 중국으로 도적질 갈 정보와 방비할 것을 치보하다.
경상우도절제사가 병조에 치보(馳報)하기를,
“종언칠(宗彦七)이 보낸 정대랑(井大郞)이 말하기를, ‘대마도 왜적 만호 육랑차랑(六郞次郞)과 삼미삼보라(三未三甫羅)와 여매시라(汝每時羅)와 일기주 왜적 만호 도구라(都仇羅) 등이 배 20…
-
의정부에서 왜인 정대랑 ․ 대내전 ․ 국지전 등의 사신으로 오는 자에게 종정성의 문인을 요구하지 말 것을 아뢰다.
의정부에서 예조의 첩정에 아뢰기를,
“일본국왕의 사인(使人)과 관령(管領) 무위(武衛)의 사인은 종정성(宗貞盛)의 문인(文引)의 유무를 불문하고, 들어오는 것을 허락하고, 그 나머지의 사신은 종정성의 문인이 있고 없음을 상고하여 접…
-
의정부에서 중국으로 도둑질하러 가고 오는 왜인의 변을 미리 대비하게 할 것을 아뢰다.
의정부에서 아뢰기를,
“정대랑(井大郞)이 와서 말하기를, ‘왜인이 장차 중국으로 도둑질하러 간다.’ 고 하옵고, 또 왜적의 만호 구라시라(仇羅時羅)도 윤인소(尹仁紹)에게 이를 말하였사오니, 이 왜적이 우리 국경을 지나가다가 좀도둑질…
-
종언칠 등이 토물을 바치다.
종언칠(宗彦七)․종성국(宗盛國)이 정대랑(井大郞) 등을 보내어 토물을 바치니, 의복과 미곡을 내려 주었다.
-
종언칠과 종성국, 종정성이 사람을 보내 토물을 바치다.
종언칠(宗彦七)과 종성국(宗盛國)이 정대랑(井大郞) 등 3인을 보내오고, 종정성(宗貞盛)이 다라사야문(多羅沙也文) 등 5인을 보내 와서 토물을 바쳤다.
-
조회에서 종정성 ․ 종언칠이 보낸 토물을 받다.
근정문(勤政門)에 나아가서 조회를 받았다. 종정성(宗貞盛)이 보낸 망고삼보라(望古三甫羅) 등 4인과 종언칠(宗彦七)이 보낸 정대랑(井大郞) 3인 반열(班列)에 따라 토물을 받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