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태조
    태조 26년(943) 계묘년
    태조 26년(943) 계묘년
    26년 여름 4월 ○ 왕이 내전(內殿)으로 나가 대광(大匡) 박술희(朴述希)를 부른 다음 친히 「훈요(訓要)」 훈요 태조 25년(942)에 왕건 자신이 지어 자손들을 훈계한 「신서훈요10조(信書訓要十條)」를 말한다. 구성은 서론 부분이라 할 수 있는 신…
    #내전 #대광 #박술희 #훈요 #순 #역산 #요 #고조 #패택 #훈요」 #도선 #단주 #요임금 #거란 #서경 #연등회 #팔관회 #차현 #공주 #금강 #잡척 #양민 #주공 #성왕 #재신 #염상 #왕규 #박수문 #문제 #왕무 #신덕전 #학사 #김악 #신성 #태조 #송악 #현릉 #원명 #광열 #대정 #장효 #인용 #용열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성종
    성종 14년(995) 을미년
    성종 14년(995) 을미년
    14년 봄 2월 기묘일. 다음과 같은 교서를 내렸다. “천문(天文)을 보아 사시(四時)의 변화를 살피고 인문(人文)을 보아 천하를 올바르게 다스릴 수 있으니 문학이 지닌 시대적 가치는 참으로 크다. 내가 우려하는 바는, 문학을 본분으로…
    #지제고 #한림원 #계리 #이주정 #거란 #내사시랑 #최량 #요임금 #순임금 #주나라 #한나라 #10도 #이자림 #이지백 #좌승선 #조지린 #동경유수 #부마 #소항덕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예종
    예종 11년(1116) 병신년
    예종 11년(1116) 병신년
    11년 봄 정월 초하루 병인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무진일. 요나라에서 대리경(大理卿) 장언중(張言中)을 보내 왕의 생일을 축하했다. 임오일. 왕이 편전 편전 천자(天子)가 휴식하는 어전(御殿)이다. 『한서(漢書)』 무제기(武…
    #신년 하례행사 #요나라 #대리경 #장언중 #천수사 #상서호부시랑 #이소영 #서북면병마부사 #차호부시랑 #이유인 #동북면병마부사 #송수 #공부상서 #보제사 #국사 #담진 #비서교서랑 #정양직 #안북도호부 #아전 #동경 #절일사 #윤언순 #진봉사 #서방 #하정사 #이덕윤 #내전 #초제 #일본국 #감자 #고서 #연등회 #봉은사 #재추 #시신 #참지정사 #고영신 #내원성 #파주성 #도병마녹사 #소억 #통군 #숙종 #명의태후 #초상 #발해 #유수 #소보선 #공봉관 #고영창 #대원 #융기 #동경유수 #낙성을 기념하는 재 #사면령 #김경용 #오연총 #수태위 #서경 #이위 #김연 #판행종사 #이자겸 #조중장 #판유수사 #대동강 #어가 #서경유수 #분사 #태조 #진전 #처사 #곽여 #상안전 #체제 #김상기 #선종 #최사추 #장경사 #구월산 #금강사 #흥복사 #영명사 #금나라 #아구타 #아지 #중서문하성 #여진 #천경 #장락전 #관풍전 #행재소 #구제궁 #동각 #포주 #용덕궁 #건원전 #원구 #태묘 #사직 #적전 #원릉 #국선 #예의상정소 #홍복사 #다경루 #지서경유수사 #호부상서 #김약온 #조영구 #섭분사호부상서 #지유수사 #절령역 #송나라 #도강 #양명 #개경 #공도 #사장 #복전 #도감 #내시 #급사 #환관 #궁부 #잡류 #유수관 #안찰사 #신궐창성도감 #장인 #장원정 #마천정 #반룡산 #문하시랑평장사 #건덕전 #복시 #배우 #급제 #왕자지 #문공미 #사신 #어의 #대상국사 #양주 #천녕만수관 #항주 #천축사 #윤주 #금산사 #사주 #보소왕사 #재 #별사 #밀사 #특사 #김단 #국자감 #수태사 #낙랑군개국후 #수태보 #문하시중 #판상서이부사 #판상서병부사 #수사도 #중서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상주국 #판상서호부사 #강증 #수사공 #판상서형부사 #태자소부 #김준 #병부상서 #추밀원사 #태자빈객 #박경인 #형부상서 #한림학사승지 #한교여 #추밀원지주사 #직학사 #박승중 #국자좨주 #한림학사 #좌간의대부 #회경전 #상춘정 #이영 #우산기상시 #최홍재 #서북면병마사 #대복경 #지숙연 #동북면병마사 #선정전 #급사중승 #대성 #병마판관 #동번 #사자 #아이 #경령전 #묘통사 #장군 #살갈 #포주성 #야율영 #추밀원 #홍관 #청연각학사 #정극공 #윤해 #직각 #관제 #서옥 #청연각 #상서 #국자사업 #기거주 #지제고 #김부일 #보문각대제 #보문각직학사 #우부승선 #직보문각 #예부낭중 #곽준목 #전중내급사 #김원여 #보문각교감 #고선유 #양온령 #지창흡 #예기 #투호 #정관정요 #당 태종 #요임금 #순임금 #나례 #거란 #한 #해 #숙여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태조
    태조 26년(943) 계묘년
    태조 26년(943) 계묘년
    二十六年 夏四月 御內殿, 召大匡朴述希, 親授訓要, 曰 “朕聞, 大舜耕歷山, 終受堯禪, 高帝起沛澤, 遂興漢業. 朕亦起自單平, 謬膺推戴. 夏不畏熱, 冬不避寒, 焦身勞思, 十有九載, 統一三韓, 叨居大寶二十五年, 身已老矣. 第恐後嗣, 縱情肆欲, 敗亂綱紀, 大可憂也. …
    #내전 #대광 #박술희 #훈요 #순 #역산 #요 #고조 #패택 #훈요」 #도선 #단주 #요임금 #거란 #서경 #연등회 #팔관회 #차현 #공주 #금강 #잡척 #양민 #주공 #성왕 #재신 #염상 #왕규 #박수문 #문제 #왕무 #신덕전 #학사 #김악 #신성 #태조 #송악 #현릉 #원명 #광열 #대정 #장효 #인용 #용열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성종
    성종 14년(995) 을미년
    성종 14년(995) 을미년
    十四年 春二月 己卯 敎曰, “觀乎天文, 以察時變, 觀乎人文, 化成天下, 文之時義, 大矣哉! 予恐業文之士, 纔得科名, 各牽公務, 以廢素業. 其年五十以下, 未經知制誥者, 翰林院出題, 令每月進詩三篇賦一篇, 在外文官, 自爲詩三十篇賦一篇, 歲抄附計吏, 以進, 翰林院品題…
    #지제고 #한림원 #계리 #이주정 #거란 #내사시랑 #최량 #요임금 #순임금 #주나라 #한나라 #10도 #이자림 #이지백 #좌승선 #조지린 #동경유수 #부마 #소항덕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예종
    예종 11년(1116) 병신년
    예종 11년(1116) 병신년
    十一年 春正月 丙寅朔 放朝賀. 戊辰 遼遣大理卿張言中, 來賀生辰. 壬午 御便殿, 宴諸王, 夜分乃罷. 庚寅 幸天壽寺, 巡視新創堂殿, 賞賜工匠有差. 壬辰 以尙書戶部侍郞李韶永爲西北面兵馬副使, 借戶部侍郞李惟寅爲東北面兵馬副使. 閏月 庚子 以宋秀爲工部尙書.…
    #신년 하례행사 #요나라 #대리경 #장언중 #천수사 #상서호부시랑 #이소영 #서북면병마부사 #차호부시랑 #이유인 #동북면병마부사 #송수 #공부상서 #보제사 #국사 #담진 #비서교서랑 #정양직 #안북도호부 #아전 #동경 #절일사 #윤언순 #진봉사 #서방 #하정사 #이덕윤 #내전 #초제 #일본국 #감자 #고서 #연등회 #봉은사 #재추 #시신 #참지정사 #고영신 #내원성 #파주성 #도병마녹사 #소억 #통군 #숙종 #명의태후 #초상 #발해 #유수 #소보선 #공봉관 #고영창 #대원 #융기 #동경유수 #낙성을 기념하는 재 #사면령 #김경용 #오연총 #수태위 #서경 #이위 #김연 #판행종사 #이자겸 #조중장 #판유수사 #대동강 #어가 #서경유수 #분사 #태조 #진전 #처사 #곽여 #상안전 #체제 #김상기 #선종 #최사추 #장경사 #구월산 #금강사 #흥복사 #영명사 #금나라 #아구타 #아지 #중서문하성 #여진 #천경 #장락전 #관풍전 #행재소 #구제궁 #동각 #포주 #용덕궁 #건원전 #원구 #태묘 #사직 #적전 #원릉 #국선 #예의상정소 #홍복사 #다경루 #지서경유수사 #호부상서 #김약온 #조영구 #섭분사호부상서 #지유수사 #절령역 #송나라 #도강 #양명 #개경 #공도 #사장 #복전 #도감 #내시 #급사 #환관 #궁부 #잡류 #유수관 #안찰사 #신궐창성도감 #장인 #장원정 #마천정 #반룡산 #문하시랑평장사 #건덕전 #복시 #배우 #급제 #왕자지 #문공미 #사신 #어의 #대상국사 #양주 #천녕만수관 #항주 #천축사 #윤주 #금산사 #사주 #보소왕사 #재 #별사 #밀사 #특사 #김단 #국자감 #수태사 #낙랑군개국후 #수태보 #문하시중 #판상서이부사 #판상서병부사 #수사도 #중서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상주국 #판상서호부사 #강증 #수사공 #판상서형부사 #태자소부 #김준 #병부상서 #추밀원사 #태자빈객 #박경인 #형부상서 #한림학사승지 #한교여 #추밀원지주사 #직학사 #박승중 #국자좨주 #한림학사 #좌간의대부 #회경전 #상춘정 #이영 #우산기상시 #최홍재 #서북면병마사 #대복경 #지숙연 #동북면병마사 #선정전 #급사중승 #대성 #병마판관 #동번 #사자 #아이 #경령전 #묘통사 #장군 #살갈 #포주성 #야율영 #추밀원 #홍관 #청연각학사 #정극공 #윤해 #직각 #관제 #서옥 #청연각 #상서 #국자사업 #기거주 #지제고 #김부일 #보문각대제 #보문각직학사 #우부승선 #직보문각 #예부낭중 #곽준목 #전중내급사 #김원여 #보문각교감 #고선유 #양온령 #지창흡 #예기 #투호 #정관정요 #당 태종 #요임금 #순임금 #나례 #거란 #한 #해 #숙여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정몽주(鄭夢周)
    정몽주鄭夢周
    정몽주(鄭夢週) 정몽주(1337~1392) 본관은 영일(迎日)(지금의 경상북도 포항시 영일읍)이고 호는 포은(圃隱)이다. 영일 정씨의 시조는 정종은(鄭宗殷)인데 그는 신라시대의 간관(諫官)이었다가 언사(言事)로 쫓겨났고, 그 후손인 정의경(鄭宜卿)이 영일로 옮…
    #정몽주 #달가 #지주사 #정습명 #정몽란 #정몽룡 #관례 #과거 #예문검열 #우리 태조 #화주 #삼선 #삼개 #전농시승 #정문 #예조정랑 #성균박사 #주자집주 #호병문 #사서통 #이색 #이학 #성균사예 #태상소경 #성균사성 #사신 #홍사범 #서장관 #명나라 #촉 #허산 #우사의대부 #성균대사성 #공민왕 #김의 #북원 #이인임 #지윤 #원나라 #당나라 #태조 #중국 #심왕 #김서 #오계남 #정요위 #장자온 #안사기 #정료위 #언양 #유배 #왜구 #나흥유 #일본 #하카다 #보빙사 #구주절도사 #주맹인 #윤명 #안우세 #삼도 #왜적 #우산기상시 #전공판서 #예의판서 #전법판서 #판도판서 #운봉 #밀직제학 #첨서밀직사사 #정당문학 #홍상재 #김보생 #이자용 #하성절사 #밀직부사 #진평중 #임견미 #우왕 #남경 #발해 #황상재 #동지공거 #초장 #중장 #종장 #의비 #노구산 #이성림 #염흥방 #노영수 #덕창부행수 #문윤경 #환관 #이광 #지공거 #염국보 #최영 #감시 #학사 #윤취 #동당시 #의대 #안마 #문하평리 #영원군 #하륜 #염정수 #강회백 #이숭인 #삼사좌사 #예문관대제학 #공양왕 #영서운관사 #익양군 #충의군 #순충논도좌명공신 #불교 #도교 #현릉 #정도전 #이첨 #전백영 #영남 #신우 #신창 #적인걸 #장간지 #홍무 #윤승순 #삼한 #전제 #경연 #이훈 #열명 #백금 #요임금 #순임금 #승려 #찬영 #윤이 #이초 #옥사 #대간 #도당 #형조 #벽상삼한삼중대광 #수문하시중 #판도평의사사 #병조상서시사 #영경령전사 #우문관대제학 #감춘추관사 #경연사 #경연관 #편수관 #통감강목 #김초 #병조좌랑 #정탁 #서경』 #대언 #국자박사 #생원 #성헌 #법사 #김종연 #행재소 #조민수 #박가흥 #지용기 #이무 #정희계 #이빈 #윤사덕 #진을서 #박위 #이옥 #이중화 #진원서 #김식 #이구철 #군관 #변안열 #이을진 #이경도 #원상 #이귀생 #정지 #우현보 #우홍수 #왕안덕 #우인열 #도진무 #이림 #박의룡 #순군관 #김저 #도둔곶 #여흥 #권근 #권중화 #장하 #이종학 #경보 #이인민 #한준 #정룡 #구천부 #이대경 #홍인계 #최공철 #최칠석 #안주 #공의 #곽선 #정단봉 #조언 #왕승귀 #장충립 #조경 #왕익부 #정전 #판삼사사 #배극렴 #대사헌 #김주 #유만수 #좌상시 #허응 #우상시 #전오륜 #간의 #박자문 #헌납 #권진 #정언 #유기 #김여지 #장령 #최함 #김무 #지평 #이원집 #이작 #형조판서 #구성우 #총랑 #성보 #정랑 #하계종 #좌랑 #박의 #창왕 #대장 #제군사 #낭관 #정득후 #남포 #안사공신 #대명률 #지정조격 #조준 #남은 #왕석 #황주 #해주 #이성계 #벽란도 #태종 #이화 #이제 #이원계 #변중량 #조영규 #황희석 #주자가례 #가묘 #수령 #참관 #이서 #도평의사 #녹사 #경력 #도사 #오부학당 #향교 #유학 #의창 #수참 #조운 #포은집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부사 #수문전대제학 #예문춘추관사 #익양부원군 #문충 #정종성 #정종본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이첨(李詹)
    이첨李詹
    이첨(李詹) 이첨(1345~1405) 본관은 신평(新平)(지금의 충남 당진군 신평면)으로, 자는 중숙(中叔)(족보에는 소숙小叔), 호는 쌍매당(雙梅堂)으로 충목왕 원년(1345)에 홍주목의 속현인 신평현(新平縣)에서 출생하였다. 조부는 도관공(都官公) 이승건(…
    #이첨 #홍주 #공민왕 #구재 #예문검열 #정언 #삼한 #사관 #문왕 #선왕 #주나라 #대사헌 #육부상서 #간의대부 #좌목 #차자 #고공사 #헌사 #육부 #대성 #전라도 #도순문사 #이금강 #나주목사 #하을지 #옥정아 #조운 #헌부 #지신사 #염흥방 #사재 #간관 #신돈 #영동정 #지통주사 #헌납 #전백영 #이인임 #지윤 #지춘주사 #지영주사 #하동 #유배 #문하사인 #전리총랑 #창왕 #사헌집의 #당나라 #태종 #삼황 #오제 #공양왕 #성균대사성 #우상시 #경연강독관 #공조판서 #예조판서 #밀직대언 #성균박사 #김초 #불교 #양무제 #동태사 #현릉 #나옹 #공자 #하 #은 #주 #오교 #양종 #군영 #가묘 #장관 #순군옥 #태조 #형조 #정몽주 #경연 #정관정요 #고구려 #방현령 #중국 #양나라 #무제 #후경 #사신 #현종 #안록산 #촉 #원나라 #명나라 #지문하부사 #김사형 #서경 #태사 #태부 #태보 #역경 #경연관 #서경』 #역경』 #이윤 #태갑 #부열 #고종 #성탕 #성헌 #맹자 #자하 #유자 #국대비 #효신전 #보평청 #영전 #요임금 #제나라 #당태종 #돈황공 #정창군 #정관 #두여회 #대주 #위징 #왕규 #홍문관 #시경 #시경』 #은나라 #계성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정몽주(鄭夢周)
    정몽주鄭夢周
    鄭夢周, 字達可, 知奏事襲明之後. 母李氏有娠, 夢抱蘭盆忽墮, 驚寤而生, 因名夢蘭. 生而秀異, 肩上有黑子七列如北斗. 年至九歲, 母晝夢黑龍升園中梨樹, 驚覺出視, 乃夢蘭也, 因改夢龍. 旣冠, 改今名. 恭愍九年, 應擧連魁三場, 遂擢第一人. 十一年, 選補藝文檢閱, 十三…
    #정몽주 #달가 #지주사 #정습명 #정몽란 #정몽룡 #관례 #과거 #예문검열 #우리 태조 #화주 #삼선 #삼개 #전농시승 #정문 #예조정랑 #성균박사 #주자집주 #호병문 #사서통 #이색 #이학 #성균사예 #태상소경 #성균사성 #사신 #홍사범 #서장관 #명나라 #촉 #허산 #우사의대부 #성균대사성 #공민왕 #김의 #북원 #이인임 #지윤 #원나라 #당나라 #태조 #중국 #심왕 #김서 #오계남 #정요위 #장자온 #안사기 #정료위 #언양 #유배 #왜구 #나흥유 #일본 #하카다 #보빙사 #구주절도사 #주맹인 #윤명 #안우세 #삼도 #왜적 #우산기상시 #전공판서 #예의판서 #전법판서 #판도판서 #운봉 #밀직제학 #첨서밀직사사 #정당문학 #홍상재 #김보생 #이자용 #하성절사 #밀직부사 #진평중 #임견미 #우왕 #남경 #발해 #황상재 #동지공거 #초장 #중장 #종장 #의비 #노구산 #이성림 #염흥방 #노영수 #덕창부행수 #문윤경 #환관 #이광 #지공거 #염국보 #최영 #감시 #학사 #윤취 #동당시 #의대 #안마 #문하평리 #영원군 #하륜 #염정수 #강회백 #이숭인 #삼사좌사 #예문관대제학 #공양왕 #영서운관사 #익양군 #충의군 #순충논도좌명공신 #불교 #도교 #현릉 #정도전 #이첨 #전백영 #영남 #신우 #신창 #적인걸 #장간지 #홍무 #윤승순 #삼한 #전제 #경연 #이훈 #열명 #백금 #요임금 #순임금 #승려 #찬영 #윤이 #이초 #옥사 #대간 #도당 #형조 #벽상삼한삼중대광 #수문하시중 #판도평의사사 #병조상서시사 #영경령전사 #우문관대제학 #감춘추관사 #경연사 #경연관 #편수관 #통감강목 #김초 #병조좌랑 #정탁 #서경』 #대언 #국자박사 #생원 #성헌 #법사 #김종연 #행재소 #조민수 #박가흥 #지용기 #이무 #정희계 #이빈 #윤사덕 #진을서 #박위 #이옥 #이중화 #진원서 #김식 #이구철 #군관 #변안열 #이을진 #이경도 #원상 #이귀생 #정지 #우현보 #우홍수 #왕안덕 #우인열 #도진무 #이림 #박의룡 #순군관 #김저 #도둔곶 #여흥 #권근 #권중화 #장하 #이종학 #경보 #이인민 #한준 #정룡 #구천부 #이대경 #홍인계 #최공철 #최칠석 #안주 #공의 #곽선 #정단봉 #조언 #왕승귀 #장충립 #조경 #왕익부 #정전 #판삼사사 #배극렴 #대사헌 #김주 #유만수 #좌상시 #허응 #우상시 #전오륜 #간의 #박자문 #헌납 #권진 #정언 #유기 #김여지 #장령 #최함 #김무 #지평 #이원집 #이작 #형조판서 #구성우 #총랑 #성보 #정랑 #하계종 #좌랑 #박의 #창왕 #대장 #제군사 #낭관 #정득후 #남포 #안사공신 #대명률 #지정조격 #조준 #남은 #왕석 #황주 #해주 #이성계 #벽란도 #태종 #이화 #이제 #이원계 #변중량 #조영규 #황희석 #주자가례 #가묘 #수령 #참관 #이서 #도평의사 #녹사 #경력 #도사 #오부학당 #향교 #유학 #의창 #수참 #조운 #포은집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부사 #수문전대제학 #예문춘추관사 #익양부원군 #문충 #정종성 #정종본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이첨(李詹)
    이첨李詹
    李詹, 洪州人. 恭愍王幸九齋, 試經義, 賜詹等七人及第, 授詹藝文檢閱. 三轉爲正言, 上䟽曰, “史典之法尙矣. 古者諸侯無私史, 邦國之志, 藏於王室而已. 及其三史繼作, 列國皆有史官, 掌記時事. 本朝自統三以來, 褒貶可記之事常多, 史官筆不停書, 易世而後, 乃編摩. 然其…
    #이첨 #홍주 #공민왕 #구재 #예문검열 #정언 #삼한 #사관 #문왕 #선왕 #주나라 #대사헌 #육부상서 #간의대부 #좌목 #차자 #고공사 #헌사 #육부 #대성 #전라도 #도순문사 #이금강 #나주목사 #하을지 #옥정아 #조운 #헌부 #지신사 #염흥방 #사재 #간관 #신돈 #영동정 #지통주사 #헌납 #전백영 #이인임 #지윤 #지춘주사 #지영주사 #하동 #유배 #문하사인 #전리총랑 #창왕 #사헌집의 #당나라 #태종 #삼황 #오제 #공양왕 #성균대사성 #우상시 #경연강독관 #공조판서 #예조판서 #밀직대언 #성균박사 #김초 #불교 #양무제 #동태사 #현릉 #나옹 #공자 #하 #은 #주 #오교 #양종 #군영 #가묘 #장관 #순군옥 #태조 #형조 #정몽주 #경연 #정관정요 #고구려 #방현령 #중국 #양나라 #무제 #후경 #사신 #현종 #안록산 #촉 #원나라 #명나라 #지문하부사 #김사형 #서경 #태사 #태부 #태보 #역경 #경연관 #서경』 #역경』 #이윤 #태갑 #부열 #고종 #성탕 #성헌 #맹자 #자하 #유자 #국대비 #효신전 #보평청 #영전 #요임금 #제나라 #당태종 #돈황공 #정창군 #정관 #두여회 #대주 #위징 #왕규 #홍문관 #시경 #시경』 #은나라 #계성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2Next PageLast Page총 14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