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삼도 도순찰사 박강 등에게 행해야 할 일들의 조목을 아뢰게 하다.
충청도·전라도·경상도의 도순찰사 박강(朴薑)과 부사 구치관(具致寬) 등이 경상도·전라도·충청도의 여러 진과 여러 포를 순심하고, 당연히 행할 사건을 아뢰어, 하나씩 하나씩 조목조목을 열기 하였다.
“1. 이보다 앞서 남쪽 변방에서는 수군은 많이 설치...
-
경상우도의 조라포 선군은 제포에, 지세포는 옥포에, 나머지는 소비포에 속하게 하다.
당초에 경상우도 병마절제사 유익명(兪益明)이 아뢰기를,
“신이 일찍이 사량만호(蛇梁萬戶)를 지냈고, 이제 도절제사가 되어 왜인이 입구해 올 만한 의심스러운 곳을 일찍이 모조리 살펴보았는데, 왜인으로서 고초도(孤草島)에서 고기 잡는 자는 반드시 연화도...
-
종정국이 특송한 종무송 등의 하직에 대한 예조의 답서.
종정국(宗貞國)이 특송한 종무승(宗茂勝) 등이 하직하였는데, 예조의 답서는 이러하였다.
“글을 받아 보고 기거가 편안하다 하니 다행한 일이며 보내 준 예물은 임금께서 거두셨습니다. 생각컨대 귀도가 대대로 정성을 다해오되 그것이 더할지언정 줄어들지 않...
-
병조가 말 수급을 염려하고 사목을 알려 대책을 논의하고자 하다.
병조가 아뢰기를,
“상께서 ‘뒷일은 참으로 헤아릴 수 없다. 2천 필의 말을 수효대로 채우기는 참으로 어려우니 함경도의 함흥과 같이 유명한 곳과 평안도 모처에서 수를 헤아려 잡아낼 일을 의계하라.’ 고 전교하시었습니다. 우리나라...
-
임금이 청에서 일본과 통신하겠다고 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를 묻다.
상이 영의정 김류(金瑬), 좌의정 홍서봉(洪瑞鳳), 우의정 이성구(李聖求)를 인견하고 이르기를,
“사신을 심양(瀋陽)에 보내려 하는데 의결할 일이 많으므로 경들을 소견하였다. 군병을 조발하는 일이 가장 들어주기 어려운 일인데 어떻게 처리했으면 좋겠는...
-
전 좌의정 홍서봉이 왜서의 7조목에 대해 계하다.
거상 중인 전 좌의정 홍서봉(洪瑞鳳)이 상소하기를,
“왜서의 일곱 가지 일 중에 하나인 ‘물화가 예전만 같지 못하니 중국과 교통이 되지 않아 그런가.’ 라는 이 첫째 구절은 범상하게 답하여 어물쩍 넘어가서는 안 됩니다. 왜노들은 본래 교활하고 사특하...
-
상이 대신 등을 인견하고 왜관을 옮겨 설치하는 문제에 대해 의논하다.
상이 대신 및 비국의 여러 재신을 인견하였다. 상이 왜관을 옮겨 설치하는 일에 대해 언급하니, 여러 신하들이 반복하여 논란하였지만 끝내 의견이 모아지지 않았다. 상이 복창군(福昌君) 등의 소본을 내어 보이면서 이르기를,
“선왕이 이 지경에 이르도록 ...
-
일본국 대마주태수 종정국 등이 토물을 바치다.
일본국 대마주태수(對馬州太守) 종정국(宗貞國)이 특별히 종사교(宗沙交)를 보내 와서 토물을 바치고, 비전주(肥前州) 하송포(下松浦) 오도우구수(五島宇久守) 원승(源勝)과 오도명주(五島鳴主) 원번(源繁)이 사람을 보내 와서 토물을 바쳤다. 종정국의 글에 이르...
-
철산지역에 출몰하는 배를 조치하다.
정원에 전교하였다.
“지금 평안도감사의 계본을 보니, 철산(鐵傘)과 가도(椵島) 등에 우리 배인지 왜선인지 분간할 수 없는 배 4척이 각을 불며 떠다닌다고 한다. 그러나 경솔히 궁시를 써서는 안되고, 임기응변하여 사로잡도록 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