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화관에 거둥하여 왜인과 야인에게 술을 내리다.
모화관(募華館)에 거둥하여 활 쏘는 것을 구경하니, 양녕대군 이제·효령대군 이보·임영대군 이구·영응대군 이염·익녕군 이치·계양군 이증·밀성군 이침·익현군 이관·영해군 이당·의성군 이심·순성군 이애·오산군 이주·영순군 이부·원천경 이의·의평군 이원생·귀성윤 ...
-
유구국의 사신을 인견하다.
경복궁(景福宮)에 거둥하여 서현정(序賢亭)에 나아가서 유구국의 사신을 인견하였는데, 임영대군 이구(李璆)·영응대군 이염(李琰)·하동부원군 정인지(鄭麟趾)·영의정 정창손(鄭昌孫)·좌의정 신숙주(申叔舟)·운성부원군 박종우(朴從愚)·영순군 이부(李溥)·판중추원사...
-
근정전에서 조하를 받고 회례연을 베풀다.
근정전(勤政殿)에 나아가 조하를 받고 회례연(會禮宴)을 베풀었다. 왕세자가 술을 올리고, 효령 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영응대군(永膺大君) 이염(李琰)·영순군(永順君) 이부(李溥)·귀성군(龜城君) 이준(李浚)·은산부정(銀...
-
효령대군 이보가 원각경 수교를 마쳐 잔치를 베풀다.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가 일찍이 원각경(圓覺經)을 수교하였는데, 이에 이르러 일을 마치었다. 임금이 사정전(思政殿)에 나아가 잔치를 베풀어 위로하니, 왕세자와 이보(李補)·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 영응대군(永膺大君) 이염(李琰)·영순군(永...
-
김양경 ․ 권각 ․ 이극돈 등을 일본 통신사로 삼다.
상당군 한명회(韓明澮)가 판결사(判決事) 김양경(金良璥)·행호군(行護軍) 권각(權恪)·집의(執義) 이극돈(李克墩)을 의망(擬望)하여 일본국통신사로 삼고, 간경도감사(刊經都監使) 최호(崔灝)·시강원문학(侍講院文學) 김계창(金季昌)·군기시첨정(軍器寺僉正) 하한...
-
일본 사신에게 명나라 사신이 오는 연유를 말하게 하다.
밤에 강도 수십 인이 우인(優人) 최을송(崔乙松)의 집에 들어가 가재를 겁탈한 것을 영순군 이부(李溥)가 듣고서 아뢰니, 명하여 도성의 4문을 닫고 크게 찾게 하였다. 승정원(承政院)에서 아뢰기를,
“일본국왕의 사신이 있는 곳에는, 청컨대 예조낭관으...
-
일본국 사신 융원을 인견하고 사신을 보낼 수 없음을 알리다.
사정전(思政殿)에 나아가 일본국 사자 중 융원(融圓) 등을 인견하고 잔치를 베푸니, 세자와 효령대군 이보(李補)·영순군 이부(李溥)·귀성군 이준(李浚)·하동군 정인지(鄭麟趾)·봉원군 정창손(鄭昌孫)·고령군 신숙주(申叔舟)·상당군 한명회(韓明澮)· 능성군 구...
-
문신들에게 유국국에서 올린 천축주를 하사하다.
하동군 정인지(鄭麟趾)·봉원군 정창손(鄭昌孫)·고령군 신숙주(申叔舟)·능성군 구치관(具致寬)·영성군 최항(崔恒)·호조판서 노사신(盧思愼)·이조판서 성임(成任)·행호군 구종직(丘從直)·대사성 김예몽(金禮蒙)·공조참판 정자영(鄭自英) 및 성균관·예문관·춘추관·...
-
황해도에서 정병 6천여 명을 징병하고, 난동 부린 수복들을 베어 효시하다.
이날 황해도에서 6천여 명을 징병하였는데 종묘의 수복들과 밥 짓는 일 때문에 서로 다투다가 드디어 난동을 부려 칼을 뽑아 들고 고함을 지르면서 전문 앞에까지 이르렀다. 상이 명하여 수복들의 머리를 베어 효시하니 제군이 잠잠해졌다. 기성부원군 유홍(兪泓), ...
-
사헌부가 왜적과 통한 적도를 풀어준 왕자와 우변포도대장의 파직을 건의하다.
사헌부가 아뢰기를,
“근래에 시중의 잠상배(潛商輩)들이 적진 가운데를 드나들면서 군사 기밀을 누설하는 자가 적도들과 몰래 결탁하고 있으나 종적을 찾기가 어려워 여론이 통분해 한 지 오래입니다. 작년 7월 사이에 우변포도청(右邊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