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현전부교리 양성지가 올린 비변에 대한 열 가지 방책.
집현전부교리(集賢殿副校理) 양성지(梁誠之)가 비변(備邊)에 대한 열 가지 방책을 올렸는데, …… 여섯째에 이르기를,
“상보(城堡)를 수선하고 관방(關防)을 정할 것입니다. 대개 군진(郡鎭)이라는 것은 국가의 울타리이므로, 임금이 험한 곳에 성보를 설...
-
집현전직제학 양성지가 경상도는 왜인을 지대하는 방법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상소하다.
집현전직제학(集賢殿直提學) 양성지(梁誠之)가 상소하기를,
“공경히 생각하건대, 우리 주상 전하께서 그 문무의 비상하신 자질로써 새로 보위에 오르시어 공경히 종묘에 알현하시니, 이는 정히 정신을 가다듬고 다스림을 도모하여 서정을 일신하게 하실 때입니다...
-
시강관 양성지가 내조한 왜인 ․ 야인에게 궁마를 내려주지 말도록 청하다.
경연에 나아갔다. 강이 파하자, 시강관(侍講官) 양성지(梁誠之)가 아뢰기를,
“…… 왜인·야인의 내조자(來朝者)에게 궁마를 내려 주시는데, 궁마는 바로 적의 침략을 막는 기구이니 가볍게 주는 것은 옳지 못하며, 저 사람들이 우리나라 궁시의 제도를 보...
-
집현전직제학 양성지가 일본의 가무로써 동부악을 삼고, 일본악은 삼포의 왜인에게 익히게 하자고 상소하다.
집현전직제학(集賢殿直提學) 양성지(梁誠之)가 상소하기를, ……
“1. 번부악(蕃部樂)을 설치하는 것입니다. 대개 중국의 악은 아악(雅樂)·속악(俗樂)·여악(女樂)·이부(夷部)등의 악이 있는데, 본조에서 사용하는 것은 헌가(軒架)·고취(鼓吹)·동남(童...
-
김숙이 아산군은 왜선이 왕래하는 관문이므로 수령을 두어야 한다고 말하다.
사정전(思政殿)에 나아가서 상참을 받고 정사를 보니, 봉원부원군 정창손(鄭昌孫)·영중추원사 심회(沈澮)·청성위 심안의(沈安義)·좌참찬 최항(崔恒)·호조판서 김국광(金國光)·동지중추원사 양성지(梁誠之), 행상호군 이윤손(李允孫)·임원준(任元濬), 예조참판 김...
-
양성지가 군법 ․ 군정 ․ 군액 ․ 군제 ․ 사역에 관한 일로 상서하다.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양성지(梁誠之)가 상서하였다.
“신이 그윽이 우리나라의 역대의 일을 보건대, 수(隋)나라와 당(唐)나라는 고구려(高句麗)에 크게 패하였고, 사구(沙寇)도 또한 고려(高麗)에 패하였습니다. 강감찬(姜邯贊)이 거란(契丹)의 3...
-
효령대군 이보가 원각경 수교를 마쳐 잔치를 베풀다.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가 일찍이 원각경(圓覺經)을 수교하였는데, 이에 이르러 일을 마치었다. 임금이 사정전(思政殿)에 나아가 잔치를 베풀어 위로하니, 왕세자와 이보(李補)·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 영응대군(永膺大君) 이염(李琰)·영순군(永...
-
중궁과 더불어 희우정에서 수전을 구경하다.
임금이 중궁(中宮)과 더불어 희우정(喜雨亭)에 거둥하여 수전을 구경하니, 효령대군(孝寧大君) 이염(李琰)·영의정 신숙주(申叔舟)·좌의정 구치관(具致寬)·우의정 황수신(黃守身)·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이석형(李石亨)·호조판서 노사신(盧思愼)·대사헌(大司憲) ...
-
대사헌 양성지가 군국 편의 10조를 올리다.
대사헌(大司憲) 양성지(梁誠之)가 군국편의(軍國便宜) 10조(條)를 올렸는데, 이르기를,
“…… 1. 일대(一代)가 일어남에 반드시 일대의 제도가 있으니, 예악은 때에 인하여 손익하고 하나를 고집하여 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신이 예조에서 왜인·야...
-
대사헌 양성지가 대마도에 대해 상소하다.
대사헌(大司憲) 양성지(梁誠之)가 상소하였는데, 상소는 이러하였다.
“…… 1. 국가의 동남쪽에 적국으로서는 대마도(對馬島)가 가까운데, 만약 훗날에 편안하지 못한 사건이 있다면, 크게 군사를 일으켜 멀리 가서 정벌할 필요도 없으며 험지에 들어가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