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사헌 윤금손 등이 왜인 접대 등에 대해 의견을 내다.
조강에 나아갔다. …… 시강관(侍講官) 이자화(李自華)가 아뢰기를,
“왜인 접대는 국가의 큰일이니, 재상들이 모두 이해를 의논하여 옳다고 생각한 다음에는 즉시 시행해야 하는데, 지금 널리 의논하였으나 의논이 각각 다르고 삼정승의 의논도 한결같지 못하...
-
왜구에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 중국에 답할 내용을 의논하다.
승문원이 아뢰기를,
“지난해 성절사 윤부(尹釜)와 서장관 김계(金啓)의 문견사건(聞見事件)을 보면 남경(南京) 공부상서 마곤(馬坤) 등의 제본에, 우리 중묘(中廟) 계미년에 적왜 중림(中林)·망고다라(望古多羅) 등과 적왜의 수급...
-
제주목사 민응서와 강원도 관찰사 오상을 인견하다.
상이 제주목사 민응서(閔應瑞)와 강원도관찰사 오상(吳祥)을 선정전에서 인견하였다. 상이 오상에게 앞으로 나오라고 명하고 이르기를,
“근년 이래로 해는 거듭 흉년이 든 데다가 수령이 못 살게 굴고, 왜구들마저 와서 노략질하니, 민생의 곤란함이 이때보다...
-
경상도 순변사 김수문이 배사하니, 변고에 잘 대비하라고 전교하다.
경상도 순변사 김수문(金秀文)이 배사하니, 전교하였다.
“곤외(閫外)를 장수에게 지키도록 명하는 것은 참으로 중대한 일이니 어찌 신중히 가려서 위임하지 않겠는가. 경은 전에 탐라(耽羅)에 가서 직임에 마음을 다하여 사졸의 마음을 얻고, 왜노가 침범해...
-
평안병사 김수문의 졸기.
평안병사 김수문(金秀文)이 죽었다. 김수문은 공정하고 영민하며 글을 좋아하였고, 장수가 되어서는 병사들을 사랑과 공평함으로 대하였다. 탐라에서 왜적을 물리쳤고 서북 지방에서 호를 몰아낸 국가의 간성이었는데 갑자기 죽었으니 나라를 위하여 애석한 일이다.
-
김원룡은 허수아비 같아서 탐라를 맡길 수 없다고 전교하고 이혼 등의 제수를 명하다.
정사가 있었다. 이비(吏批)이비(吏批)이조(吏曹)에서 임금에게 주청하여 윤허를 얻는 일을 맡아보던 벼슬, 또는 그러한 일.에게 전교하기를,
“김원룡(金元龍)은 허수아비와 같은 사람이라 탐라를 맡길 수 없다. 이경록(李慶祿)을 죄폐된 중에 기용한 것은...
-
비밀 비망기로 제주에 대해 조치할 일을 비변사에 일러 의논해 조처하도록 하다.
비밀 비망기로 전교하였다.
“지난 번 포로로 잡혔다가 도망 온 사람의 말을 듣건대 ‘대마도의 왜적이 장차 제주(濟州)를 도모하려고 한다.’ 하였다. 그 말을 믿을 수는 없지만 우리의 입장에서 일이 있기 전에 먼저 도모하는 것은 ...
-
김여휘 등 28인이 표류하여 유구, 일본을 거쳐 돌아오다.
일본이 표류된 우리나라 사람 김여휘(金麗輝) 등 28인을 돌려보냈다.
여휘 등은 해남 사람으로 흉년이 들자 탐라에 들어가 걸식하다가 돌아오는 길에 바람을 만나 표류한 나머지 유구를 거쳐 일본에 정박하게 되었는데, 배 안에서 4인이나 굶어 죽었다. 그...
-
동래부사가 표류한 아란타 군민을 문제 삼아 차왜를 보낼 것이라는 내용의 치계를 올리다.
동래부사 안진(安縝)이 치계하여 아뢰기를,
“차왜 귤성진(橘成陳) 등이 은밀히 역관들에게 말하기를 ‘10여 년 전에 아란타(阿蘭陀) 군민 36명이 30여 만냥의 물건을 싣고 표류하여 탐라에 닿았는데, 탐라인이 그 물건을 전부 빼앗고 그 사람들을 전라...
-
병조참판 박건이 남방의 왜인과 제주 사람들의 우거 등의 경계를 청하는 차자를 올리다.
병조참판 박건(朴楗)이 차자를 올리기를,
“예부터 변방의 흔단은 반드시 모두 조정의 정책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었고, 변장의 어거를 잘못한 데에서 많이 나왔던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태평한 세월이 100년 동안 계속되어 남방의 백성들이 전쟁을 알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