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지한2022中國學硏究서구화에 따른 소설이라는 용어의 ‘의미변화’에 대한 관심에서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우선 서구화 전후 시대로서 조선과 명 그리고 청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이들 세 왕조를 관통하는 국가기록물로서 당시의 국정과 지배층의 인식을 담지하고 있는 객관적 자료이자 사료인 실록을 연구범주로 설정하였다. 이 글의 연구주제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조선과 명ㆍ청의 실록에 기록된 소설의 개념 고찰이다. 두 번째…
-
송영대2020『通典』은 唐의 재상을 역임하였던 杜佑가 저술한 政書로, 歷代의 典章制度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서적이다. 『通典』은 총 9門으로 구성되었으며, 中國 正史의 志 체계에 바탕을 두어 작성되었다. 「邊防門」 앞의 門에는 주로 당의 內治와 관련된 내용들로 작성된 반면, 「邊防門」은 外治와 관련하여 서술되었다. 「邊防門」은 邊境 防禦의 뜻을 지니며, 이는 두우가 중국 주변의 四夷를 敵이자 경계 대상으로 규정하였…
-
김민규2019The Joseon period was the golden age of Korean memorial stone sculpture(陵墓石物). As suchNo discussion of Joseon stone sculpture can be complete wit…
-
신두환2016남명학연구이 논문은 조선의 16세기 『朱子大全』 刊行과 그 이후의 學問的 動向에 대해서 연구한 논문이다. 조선의 한문학은 주자의 영향을 받은 것이 크다. 그러나 『朱子大全』의 간행보급은 16세기에 와서 이루어 진다. 이 책을 바탕으로 16세기 퇴계와 율곡을 거치면서 조선 성리학은 최고의 절정기를 맞이하였다. 『朱子大全』 간행이후 조선 선비들의 학풍은 변하였다. 『朱子大 全』의 간행은 성리학을 『性理大全』 중심…
-
성해준2016退溪學論叢우리나라의 『맹자』사상 인식과 실효적인 수용은 일부 혁신적인 정치사상가가 주목한 고려시대 후기부터이다. 그 후 조선시대에는 『孟子』가본격적으로 수용되어 정치와 사회전반에 적용되었다. 특히 주자학 수용과 함께 『』맹자..도 유가사상 학습을 위한 필수교재가 되었다. 退溪의 『孟子釋義』을 시작으로 李瀷의 聖人의 의지를 이해하려고 하면 반드시 『맹자』로부터 시작하여야 한다는 주장은 『맹자』가 보다 널리 읽혀…
-
정성일2016한일관계사연구조선 정부는 공무역(公貿易)에서 일본이 가져온 물품에 대하여 15세기 초부터 면포 즉 공목(公木)으로 결제해 주기 시작했다. 17세기 중엽~19세기 중엽에는 공목의 일부를 쌀로 바꾸어 지급했는데 그것을 공작미(公作米)라 불렀다. 왜관을 통해 대마도로 건너간 조선의 공목과 공작미는 일본 대마도 경제의 기초를 이루었다. 이 글에서는 1860년대 공목과 공작미 문제를 분석하였다. 1862년에는 조선의 공무…
-
박은정2015동아시아 문화연구본고는 호랑이가 어느 시점에 어떻게 우리나라와 민족을 표상하게 되었는지 그 과정 탐색을 목표로 하였다. 어느 시점에 호랑이가 조선의 표상이 되었을까 하는 문제와 연결하여 주목되는 글이 있으니, 1926년 『동아일보』에 실렸던 최남선의 「호랑이」 연재 글이다. 최남선은 7차례에 걸쳐 「호랑이」라는 글을 연재했는데 호랑이와 관련된 내용을 모두 모았다. 최남선은 이 글에서 호랑이 이야기를 집대성하고 체계화…
-
이승민2013한일관계사연구조선후기 조일교역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물품 중의 하나로 ‘매’가 있었다. 매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일본으로 지급되었다. 그런데 매는 살아있는 동물이기 때문에 교역에 많은 어려움이 뒤따랐지만, 조선정부는 일본과의 교린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매 교역을 이어갔다. 즉 경제적 차원보다는 정치 외교적인 실리의 차원에서 매 교역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조선후기 매의 교역을 살펴보는 것은 교역의 실태…
-
조동매2011中國學論叢본문에서는 ≪象院題語≫가 통역원을 대상으로 한 조선 사역원 교재라 보고, 집필 방면에서 가장 큰 특색은 바로 실용성이라 보았다. 이 책의 실용성은 먼저 내용의 편성이 외교 업무에 종사하는 학습자의 목표에 매우 부합하는 데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외교 업무와 관련한 명조의 풍속, 관제, 각급 관청의 직책과 기능, 그리고 외교 업무와 관련한 지리 지식을 소개하는 문화 교재라 칭할 만하다. 또 다른 실용적…
-
정재훈2011한국문화In this article, the culture of publication that prevailed in the 19th century Joseon will be examined, by studying some books published by the 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