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왕창왕 원년(1389) 기사년창왕 원년(1389) 기사년정월 ○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과 전교시(典校寺)에서 다음과 같이 건의했다. “예문관은 문서를 작성하는 일을 맡고 춘추관은 사안을 기록하는 일을 맡으며 전교시는 제사의 의례와 축문(祝文)의 작성을 맡고 있으니, 이 세 가지는 모두가 중…#예문춘추관 #전교시 #사한 #전교 #정자 #동지밀직사사 #윤사덕 #최영 #경상도원수 #박위 #대마도 #헌부 #민중리 #진주목사 #이색 #판도판서 #기복 #유배 #지평 #김첨 #규정 #이인임 #이양중 #전자충 #강회백 #명나라 #예부 #사관 #최견 #묘당 #사초 #수찬 #서리 #전주원수 #진을서 #창왕 #가뭄 #사면령 #판사 #표영 #우박 #문하평리 #윤승순 #첨서밀직사사 #권근 #심덕부 #예문관대제학 #정영손 #이서원 #밀직부사 #밀직사 #황보림 #천추절 #교수형 #참형 #경기연해절제사 #박자안 #판자혜부사 #안경 #우왕 #태조 #판삼사사 #판개성부사 #배극렴 #정지 #황려부 #김일귀 #전옥서 #쇄장 #김도적 #지영주사 #이사방 #임견미 #순천 #왜적 #함양현 #진주 #절제사 #김상 #체복별감 #이옹 #부진무 #하치동 #배리 #파두 #이빈 #도진무 #하취동 #김종연 #판문하부사 #이림 #문하시중 #홍영통 #영삼사사 #전농부정 #김지 #유구국 #옥지 #유황 #소목 #호초 #유구국왕 #순천부 #도당 #진의귀 #영접사 #사면 #의창 #판내부시사 #충숙왕 #경상도 도절제체찰사 #전객령 #김윤후 #부령 #김인용 #고려권서국사 #왕창 #중산왕 #안장 #은주발 #은잔 #은배 #호피 #만화석 #사재부령 #문윤경 #법사 #입조 #설장수 #후덕부윤 #이종학 #종행관 #계림병마절도사 #박가실 #급전도감 #종부사 #전리사 #군부사 #개성부 #과전 #정몽주 #시중 #정숙공 #조인규 #제과 #공민왕 #좌규 #총재 #수문하시중 #이성계 #정현 #관적 #나하추 #고주 #덕흥군 #해주 #진포 #양광도 #경상도 #전라도 #원수 #배언 #박수경 #인월역 #서연 #전법 #장하 #성석린 #조운흘 #김사형 #최유경 #권주 #밀직제학 #민제 #개성윤 #이행 #지신사 #이근 #좌부대언 #오사충 #남재 #좌․우사의 #조박 #문하사인 #권담 #사헌장령 #김이음 #최사위 #김여지 #도평의사사 #상서 #이원명 #봉천문 #삼한 #지춘주사 #서언 #전법사 #판밀직사사 #오중화 #관마색제조 #법관 #간관 #환관 #문하찬성사 #박경 #과거 #급제 #참상 #삼관 #문경 #내시 #참상원 #안순 #안윤의 #김후 #유한 #강회계 #지진 #대호군 #김저 #정득후 #이시중 #예의판서 #곽충보 #팔관일 #팔관소회 #순군옥 #대간 #판서 #조방흥 #변안열 #우현보 #우인열 #왕안덕 #우홍수 #여흥왕 #강릉부 #강화부 #서인 #공양왕 #정당문학 #서균형 #유구
-
공양왕공양왕 3년(1391) 신미년공양왕 3년(1391) 신미년봄 정월 초하루 기축일. 왕이 신하들에게 잔치를 베풀었다. 을미일. 우리 이성계를 삼군도총제사(三軍都摠制使)로, 배극렴(裴克廉)을 중군총제사(中軍摠制使)로, 조준(趙浚)을 좌군총제사(左軍摠制使)로, 정도전(鄭道傳)을 우군총제사(右軍摠制使)로 …#이성계 #삼군도총제사 #배극렴 #중군총제사 #조준 #좌군총제사 #정도전 #우군총제사 #보평청 #제석도량 #국대비 #우인열 #이인민 #정희계 #이숭인 #하륜 #권근 #윤사덕 #유염 #이빈 #노윤 #이행 #원상 #사면 #개경 #삼군총제부 #일등공신 #태조 #이등공신 #시중 #심덕부 #삼등공신 #판자혜부사 #최단 #남경 #회암사 #승려 #악공 #향악 #당악 #순비 #단견 #채붕 #숙위 #정당문학 #이원굉 #청성군충의백 #경원군 #안경량 #양광도 도관찰사 #이원집 #사헌지평 #양릉 #효신전 #환도 #정읍현 #중랑장 #왕익부 #충선왕 #교수형 #일식 #헌부 #지용기 #도평의사사 #간관 #진의귀 #정습인 #이황 #권담 #우홍부 #송우 #맹사성 #윤규 #윤수 #유배 #풍저창 #광흥창 #서강 #홍복도감 #연복사 #전의시승 #방사량 #서경 #한나라 #문제 #노대 #원나라 #만수궁 #충렬왕 #5도 #판도사 #조성도감 #왜적 #안우 #이방실 #김득배 #박상충 #평주 #고조 #광무제 #한신 #주발 #장량 #구순 #등우 #자릉 #현릉 #쌍성총관부 #청주 #영록대부 #장작감사 #삭방도만호 #신우 #종묘사직 #종묘 #사직 #소공 #채택 #좌대언 #이첨 #궁온 #주공 #문하시중 #박자문 #좌사의 #심효생 #문하사인 #조휴 #좌헌납 #유기 #좌정언 #이조좌랑 #우홍명 #가뭄 #금주령 #혜성 #우대언 #유정현 #문하평리 #김주 #대사헌 #허응 #전오륜 #좌․우상시 #전백영 #우사의대부 #권진 #우헌납 #김여지 #마암 #지신사 #성석용 #헌사 #집의 #강회중 #지평 #이감 #우홍득 #이작 #명나라 #중정원사 #환관 #한용 #황독만 #예부 #삼한 #권서국사 #왕요 #요동 #교할 #송경 #형혹성 #일관 #천문 #객성 #자미원 #화요 #여귀성좌 #경대부 #북천궁 #형조판서 #조면 #연산군 #진전 #서균형 #정평 #시호 #이림 #충주 #강인유 #풍주 #왕흥 #신아 #전주 #낭사 #언관 #법리 #한양 #수궁 #불교 #공경대부 #개성부 #군자소윤 #안노생 #서북면 찰방별감 #요심 #수군 #이조판서 #정총 #맹자 #동자 #윤이 #이초 #좌전 #불도징 #후조 #구마라치바 #후진 #제나라 #문양제 #양나라 #무제 #전의부정 #김전 #유생 #사원 #전정 #호조판서 #정사척 #판선공시사 #양천식 #예조총랑 #공부 #요동도사 #잡색마 #지밀직사사 #안숙로 #우왕 #혜제고령 #최호생 #승 #박원상 #형조 #장수 #예문춘추관 #이색 #함창군 #이종학 #이을진 #이경도 #도당 #이사영 #구성우 #전라도 도관찰사 #최함 #김무 #사헌장령 #참수형 #문하찬성사 #판밀직사사 #김입견 #검은 삼베 #흰 모시 #삼베 #모시 #세포 #백금 #대간 #우현보 #태종[이방원] #태조[이성계] #증서 #비답 #철원부 #사순 #황운기 #순군옥 #태종 #신창 #지진 #섬라곡국 #내공 #사신 #일본 #정몽주 #재상 #성헌 #창왕 #김종연 #경연 #순녕군 #견주 #성균사예 #유백순 #장형 #기주 #판전의시사 #유백유 #전법 #광주 #예조판서 #한리 #입조 #신덕왕후 #유만수 #김직 #왕대비 #죽성군 #문정공 #수문하시중 #안사경 #희정공 #안한평 #양경공 #연덕대군 #왕훈 #양효공 #안의비 #강양공 #정강공 #창성군 #제효공 #명의비 #정승 #노책 #강평공 #경혜비 #노영수 #의열공 #동여진 #평리 #노숭 #구주절도사 #미나모토료순 #주능 #찬성사 #설장수 #회군공신 #녹권 #변안열 #왕우 #어구 #판내부시사 #김지탁 #오랑캐 #신의왕후 #태묘 #경기도 #교주도 #서해도 #민정 #내성 #판삼사사 #남양부 #서장관 #김사안 #충강 #공조총랑 #박전의 #영삼사사 #판문하부사 #정지 #판개성부사 #유구 #예문관대제학 #평양부윤 #이거인 #경상도 도관찰사 #이지 #강릉교주도 도관찰사 #변옥란 #전교령 #정희 #사헌집의 #김인용 #북평 #도성 #순성 #봉화현 #왕석 #밀직부사 #민개 #표전 #주계 #상원군사 #이용화 #오도리 #조민수 #왕안덕 #박위 #판사 #안중하 #판종부시사 #송문중 #보빙사 #김사형 #인물추변도감 #제조관 #압마사 #일본국 #현교 #도본 #개성윤 #조반 #공전 #가노 #죽림 #나주 #정진 #정담 #남은 #판군기시사 #김구주 #적경원 #권중화 #성석린 #삼사좌우사 #안익 #조인경 #우부대언 #김진양 #좌․우산기상시 #모반사건 #정습의 #팔관회 #법왕사 #한파 #한양부윤 #유원정 #남원부 #의주목사 #조중생 #승휘원사 #강울제이투 #모시실 #비단 명주 #수창궁 #당산군 #한산부원군 #영예문춘추관사 #단산부원군 #한천 #강회백 #사헌부대사헌 #윤취 #안경공 #예문관제학 #우홍수 #동지밀직사사 #이사위 #서해도 도관찰사 #강은 #박영충 #유광우 #계림부윤 #황보림 #전라도 절제사 #정우 #정홍 #병조판서 #홍언수 #공조판서 #이확 #이래 #좌우사의 #서견 #김이음 #권홍 #좌․우헌납 #이신 #안종약 #우정언 #안사공신 #정난공신
-
우왕창왕 원년(1389) 기사년창왕 원년(1389) 기사년元年 正月 藝文春秋館․典校寺上言, “藝文掌詞命, 春秋掌記事, 典校掌祀典而修祝文, 此三者, 皆重事也. 是以, 先王置官禁中, 仍號禁內, 而今館寺在外, 非先王設官之意也. 願自今, 以史翰二人, 典校一人, 正字一人, 入直于內, 以復舊制.” 從之. 二月 …#예문춘추관 #전교시 #사한 #전교 #정자 #동지밀직사사 #윤사덕 #최영 #경상도원수 #박위 #대마도 #헌부 #민중리 #진주목사 #이색 #판도판서 #기복 #유배 #지평 #김첨 #규정 #이인임 #이양중 #전자충 #강회백 #명나라 #예부 #사관 #최견 #묘당 #사초 #수찬 #서리 #전주원수 #진을서 #창왕 #가뭄 #사면령 #판사 #표영 #우박 #문하평리 #윤승순 #첨서밀직사사 #권근 #심덕부 #예문관대제학 #정영손 #이서원 #밀직부사 #밀직사 #황보림 #천추절 #교수형 #참형 #경기연해절제사 #박자안 #판자혜부사 #안경 #우왕 #태조 #판삼사사 #판개성부사 #배극렴 #정지 #황려부 #김일귀 #전옥서 #쇄장 #김도적 #지영주사 #이사방 #임견미 #순천 #왜적 #함양현 #진주 #절제사 #김상 #체복별감 #이옹 #부진무 #하치동 #배리 #파두 #이빈 #도진무 #하취동 #김종연 #판문하부사 #이림 #문하시중 #홍영통 #영삼사사 #전농부정 #김지 #유구국 #옥지 #유황 #소목 #호초 #유구국왕 #순천부 #도당 #진의귀 #영접사 #사면 #의창 #판내부시사 #충숙왕 #경상도 도절제체찰사 #전객령 #김윤후 #부령 #김인용 #고려권서국사 #왕창 #중산왕 #안장 #은주발 #은잔 #은배 #호피 #만화석 #사재부령 #문윤경 #법사 #입조 #설장수 #후덕부윤 #이종학 #종행관 #계림병마절도사 #박가실 #급전도감 #종부사 #전리사 #군부사 #개성부 #과전 #정몽주 #시중 #정숙공 #조인규 #제과 #공민왕 #좌규 #총재 #수문하시중 #이성계 #정현 #관적 #나하추 #고주 #덕흥군 #해주 #진포 #양광도 #경상도 #전라도 #원수 #배언 #박수경 #인월역 #서연 #전법 #장하 #성석린 #조운흘 #김사형 #최유경 #권주 #밀직제학 #민제 #개성윤 #이행 #지신사 #이근 #좌부대언 #오사충 #남재 #좌․우사의 #조박 #문하사인 #권담 #사헌장령 #김이음 #최사위 #김여지 #도평의사사 #상서 #이원명 #봉천문 #삼한 #지춘주사 #서언 #전법사 #판밀직사사 #오중화 #관마색제조 #법관 #간관 #환관 #문하찬성사 #박경 #과거 #급제 #참상 #삼관 #문경 #내시 #참상원 #안순 #안윤의 #김후 #유한 #강회계 #지진 #대호군 #김저 #정득후 #이시중 #예의판서 #곽충보 #팔관일 #팔관소회 #순군옥 #대간 #판서 #조방흥 #변안열 #우현보 #우인열 #왕안덕 #우홍수 #여흥왕 #강릉부 #강화부 #서인 #공양왕 #정당문학 #서균형 #유구
-
공양왕공양왕 3년(1391) 신미년공양왕 3년(1391) 신미년三年 春正月 己丑朔 宴群臣. 乙未 以我太祖爲三軍都摠制使, 裴克廉爲中軍摠制使, 趙浚爲左軍摠制使, 鄭道傳爲右軍摠制使. 設帝釋道場于報平廳. 乙巳 以國大妃生日 宥禹仁烈․李仁敏․鄭熙啓․李崇仁․河崙․權近․尹師德․柳琰․李彬․盧贇․李行․元庠等, 皆許京外從便. 丙午 三軍摠制府…#이성계 #삼군도총제사 #배극렴 #중군총제사 #조준 #좌군총제사 #정도전 #우군총제사 #보평청 #제석도량 #국대비 #우인열 #이인민 #정희계 #이숭인 #하륜 #권근 #윤사덕 #유염 #이빈 #노윤 #이행 #원상 #사면 #개경 #삼군총제부 #일등공신 #태조 #이등공신 #시중 #심덕부 #삼등공신 #판자혜부사 #최단 #남경 #회암사 #승려 #악공 #향악 #당악 #순비 #단견 #채붕 #숙위 #정당문학 #이원굉 #청성군충의백 #경원군 #안경량 #양광도 도관찰사 #이원집 #사헌지평 #양릉 #효신전 #환도 #정읍현 #중랑장 #왕익부 #충선왕 #교수형 #일식 #헌부 #지용기 #도평의사사 #간관 #진의귀 #정습인 #이황 #권담 #우홍부 #송우 #맹사성 #윤규 #윤수 #유배 #풍저창 #광흥창 #서강 #홍복도감 #연복사 #전의시승 #방사량 #서경 #한나라 #문제 #노대 #원나라 #만수궁 #충렬왕 #5도 #판도사 #조성도감 #왜적 #안우 #이방실 #김득배 #박상충 #평주 #고조 #광무제 #한신 #주발 #장량 #구순 #등우 #자릉 #현릉 #쌍성총관부 #청주 #영록대부 #장작감사 #삭방도만호 #신우 #종묘사직 #종묘 #사직 #소공 #채택 #좌대언 #이첨 #궁온 #주공 #문하시중 #박자문 #좌사의 #심효생 #문하사인 #조휴 #좌헌납 #유기 #좌정언 #이조좌랑 #우홍명 #가뭄 #금주령 #혜성 #우대언 #유정현 #문하평리 #김주 #대사헌 #허응 #전오륜 #좌․우상시 #전백영 #우사의대부 #권진 #우헌납 #김여지 #마암 #지신사 #성석용 #헌사 #집의 #강회중 #지평 #이감 #우홍득 #이작 #명나라 #중정원사 #환관 #한용 #황독만 #예부 #삼한 #권서국사 #왕요 #요동 #교할 #송경 #형혹성 #일관 #천문 #객성 #자미원 #화요 #여귀성좌 #경대부 #북천궁 #형조판서 #조면 #연산군 #진전 #서균형 #정평 #시호 #이림 #충주 #강인유 #풍주 #왕흥 #신아 #전주 #낭사 #언관 #법리 #한양 #수궁 #불교 #공경대부 #개성부 #군자소윤 #안노생 #서북면 찰방별감 #요심 #수군 #이조판서 #정총 #맹자 #동자 #윤이 #이초 #좌전 #불도징 #후조 #구마라치바 #후진 #제나라 #문양제 #양나라 #무제 #전의부정 #김전 #유생 #사원 #전정 #호조판서 #정사척 #판선공시사 #양천식 #예조총랑 #공부 #요동도사 #잡색마 #지밀직사사 #안숙로 #우왕 #혜제고령 #최호생 #승 #박원상 #형조 #장수 #예문춘추관 #이색 #함창군 #이종학 #이을진 #이경도 #도당 #이사영 #구성우 #전라도 도관찰사 #최함 #김무 #사헌장령 #참수형 #문하찬성사 #판밀직사사 #김입견 #검은 삼베 #흰 모시 #삼베 #모시 #세포 #백금 #대간 #우현보 #태종[이방원] #태조[이성계] #증서 #비답 #철원부 #사순 #황운기 #순군옥 #태종 #신창 #지진 #섬라곡국 #내공 #사신 #일본 #정몽주 #재상 #성헌 #창왕 #김종연 #경연 #순녕군 #견주 #성균사예 #유백순 #장형 #기주 #판전의시사 #유백유 #전법 #광주 #예조판서 #한리 #입조 #신덕왕후 #유만수 #김직 #왕대비 #죽성군 #문정공 #수문하시중 #안사경 #희정공 #안한평 #양경공 #연덕대군 #왕훈 #양효공 #안의비 #강양공 #정강공 #창성군 #제효공 #명의비 #정승 #노책 #강평공 #경혜비 #노영수 #의열공 #동여진 #평리 #노숭 #구주절도사 #미나모토료순 #주능 #찬성사 #설장수 #회군공신 #녹권 #변안열 #왕우 #어구 #판내부시사 #김지탁 #오랑캐 #신의왕후 #태묘 #경기도 #교주도 #서해도 #민정 #내성 #판삼사사 #남양부 #서장관 #김사안 #충강 #공조총랑 #박전의 #영삼사사 #판문하부사 #정지 #판개성부사 #유구 #예문관대제학 #평양부윤 #이거인 #경상도 도관찰사 #이지 #강릉교주도 도관찰사 #변옥란 #전교령 #정희 #사헌집의 #김인용 #북평 #도성 #순성 #봉화현 #왕석 #밀직부사 #민개 #표전 #주계 #상원군사 #이용화 #오도리 #조민수 #왕안덕 #박위 #판사 #안중하 #판종부시사 #송문중 #보빙사 #김사형 #인물추변도감 #제조관 #압마사 #일본국 #현교 #도본 #개성윤 #조반 #공전 #가노 #죽림 #나주 #정진 #정담 #남은 #판군기시사 #김구주 #적경원 #권중화 #성석린 #삼사좌우사 #안익 #조인경 #우부대언 #김진양 #좌․우산기상시 #모반사건 #정습의 #팔관회 #법왕사 #한파 #한양부윤 #유원정 #남원부 #의주목사 #조중생 #승휘원사 #강울제이투 #모시실 #비단 명주 #수창궁 #당산군 #한산부원군 #영예문춘추관사 #단산부원군 #한천 #강회백 #사헌부대사헌 #윤취 #안경공 #예문관제학 #우홍수 #동지밀직사사 #이사위 #서해도 도관찰사 #강은 #박영충 #유광우 #계림부윤 #황보림 #전라도 절제사 #정우 #정홍 #병조판서 #홍언수 #공조판서 #이확 #이래 #좌우사의 #서견 #김이음 #권홍 #좌․우헌납 #이신 #안종약 #우정언 #안사공신 #정난공신
-
제신(諸臣)김도(金濤)김도金濤김도(金濤) 김도(?~1379)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증조는 김경성(金景成), 조부는 김우(金祐), 아버지는 밀직부사 김광후(金光厚)이다. 공민왕 19년(1370) 명나라에 가서 이듬해 제과(制科)에 급제하여 동창부승(東昌部丞)에 임명되었다. 우왕이 즉위한 …
-
제신(諸臣)정몽주(鄭夢周)정몽주鄭夢周정몽주(鄭夢週) 정몽주(1337~1392) 본관은 영일(迎日)(지금의 경상북도 포항시 영일읍)이고 호는 포은(圃隱)이다. 영일 정씨의 시조는 정종은(鄭宗殷)인데 그는 신라시대의 간관(諫官)이었다가 언사(言事)로 쫓겨났고, 그 후손인 정의경(鄭宜卿)이 영일로 옮…#정몽주 #달가 #지주사 #정습명 #정몽란 #정몽룡 #관례 #과거 #예문검열 #우리 태조 #화주 #삼선 #삼개 #전농시승 #정문 #예조정랑 #성균박사 #주자집주 #호병문 #사서통 #이색 #이학 #성균사예 #태상소경 #성균사성 #사신 #홍사범 #서장관 #명나라 #촉 #허산 #우사의대부 #성균대사성 #공민왕 #김의 #북원 #이인임 #지윤 #원나라 #당나라 #태조 #중국 #심왕 #김서 #오계남 #정요위 #장자온 #안사기 #정료위 #언양 #유배 #왜구 #나흥유 #일본 #하카다 #보빙사 #구주절도사 #주맹인 #윤명 #안우세 #삼도 #왜적 #우산기상시 #전공판서 #예의판서 #전법판서 #판도판서 #운봉 #밀직제학 #첨서밀직사사 #정당문학 #홍상재 #김보생 #이자용 #하성절사 #밀직부사 #진평중 #임견미 #우왕 #남경 #발해 #황상재 #동지공거 #초장 #중장 #종장 #의비 #노구산 #이성림 #염흥방 #노영수 #덕창부행수 #문윤경 #환관 #이광 #지공거 #염국보 #최영 #감시 #학사 #윤취 #동당시 #의대 #안마 #문하평리 #영원군 #하륜 #염정수 #강회백 #이숭인 #삼사좌사 #예문관대제학 #공양왕 #영서운관사 #익양군 #충의군 #순충논도좌명공신 #불교 #도교 #현릉 #정도전 #이첨 #전백영 #영남 #신우 #신창 #적인걸 #장간지 #홍무 #윤승순 #삼한 #전제 #경연 #이훈 #열명 #백금 #요임금 #순임금 #승려 #찬영 #윤이 #이초 #옥사 #대간 #도당 #형조 #벽상삼한삼중대광 #수문하시중 #판도평의사사 #병조상서시사 #영경령전사 #우문관대제학 #감춘추관사 #경연사 #경연관 #편수관 #통감강목 #김초 #병조좌랑 #정탁 #서경』 #대언 #국자박사 #생원 #성헌 #법사 #김종연 #행재소 #조민수 #박가흥 #지용기 #이무 #정희계 #이빈 #윤사덕 #진을서 #박위 #이옥 #이중화 #진원서 #김식 #이구철 #군관 #변안열 #이을진 #이경도 #원상 #이귀생 #정지 #우현보 #우홍수 #왕안덕 #우인열 #도진무 #이림 #박의룡 #순군관 #김저 #도둔곶 #여흥 #권근 #권중화 #장하 #이종학 #경보 #이인민 #한준 #정룡 #구천부 #이대경 #홍인계 #최공철 #최칠석 #안주 #공의 #곽선 #정단봉 #조언 #왕승귀 #장충립 #조경 #왕익부 #정전 #판삼사사 #배극렴 #대사헌 #김주 #유만수 #좌상시 #허응 #우상시 #전오륜 #간의 #박자문 #헌납 #권진 #정언 #유기 #김여지 #장령 #최함 #김무 #지평 #이원집 #이작 #형조판서 #구성우 #총랑 #성보 #정랑 #하계종 #좌랑 #박의 #창왕 #대장 #제군사 #낭관 #정득후 #남포 #안사공신 #대명률 #지정조격 #조준 #남은 #왕석 #황주 #해주 #이성계 #벽란도 #태종 #이화 #이제 #이원계 #변중량 #조영규 #황희석 #주자가례 #가묘 #수령 #참관 #이서 #도평의사 #녹사 #경력 #도사 #오부학당 #향교 #유학 #의창 #수참 #조운 #포은집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부사 #수문전대제학 #예문춘추관사 #익양부원군 #문충 #정종성 #정종본
-
제신(諸臣)김도(金濤)김도金濤金濤, 字長源, 延安府人. 恭愍朝登第, 補全州司錄, 五遷爲正言, 言事罷. 中洪武四年制科, 勑授東昌府丘縣丞, 濤辭以不解華語且親老, 願還本國, 詔許之. 及還, 王謂左右曰, “我國之人, 登制科者固罕, 况此人旣登科, 又蒙勑授, 名揚一時, 使天下知我國有人. 恨不早知其來…
-
제신(諸臣)정몽주(鄭夢周)정몽주鄭夢周鄭夢周, 字達可, 知奏事襲明之後. 母李氏有娠, 夢抱蘭盆忽墮, 驚寤而生, 因名夢蘭. 生而秀異, 肩上有黑子七列如北斗. 年至九歲, 母晝夢黑龍升園中梨樹, 驚覺出視, 乃夢蘭也, 因改夢龍. 旣冠, 改今名. 恭愍九年, 應擧連魁三場, 遂擢第一人. 十一年, 選補藝文檢閱, 十三…#정몽주 #달가 #지주사 #정습명 #정몽란 #정몽룡 #관례 #과거 #예문검열 #우리 태조 #화주 #삼선 #삼개 #전농시승 #정문 #예조정랑 #성균박사 #주자집주 #호병문 #사서통 #이색 #이학 #성균사예 #태상소경 #성균사성 #사신 #홍사범 #서장관 #명나라 #촉 #허산 #우사의대부 #성균대사성 #공민왕 #김의 #북원 #이인임 #지윤 #원나라 #당나라 #태조 #중국 #심왕 #김서 #오계남 #정요위 #장자온 #안사기 #정료위 #언양 #유배 #왜구 #나흥유 #일본 #하카다 #보빙사 #구주절도사 #주맹인 #윤명 #안우세 #삼도 #왜적 #우산기상시 #전공판서 #예의판서 #전법판서 #판도판서 #운봉 #밀직제학 #첨서밀직사사 #정당문학 #홍상재 #김보생 #이자용 #하성절사 #밀직부사 #진평중 #임견미 #우왕 #남경 #발해 #황상재 #동지공거 #초장 #중장 #종장 #의비 #노구산 #이성림 #염흥방 #노영수 #덕창부행수 #문윤경 #환관 #이광 #지공거 #염국보 #최영 #감시 #학사 #윤취 #동당시 #의대 #안마 #문하평리 #영원군 #하륜 #염정수 #강회백 #이숭인 #삼사좌사 #예문관대제학 #공양왕 #영서운관사 #익양군 #충의군 #순충논도좌명공신 #불교 #도교 #현릉 #정도전 #이첨 #전백영 #영남 #신우 #신창 #적인걸 #장간지 #홍무 #윤승순 #삼한 #전제 #경연 #이훈 #열명 #백금 #요임금 #순임금 #승려 #찬영 #윤이 #이초 #옥사 #대간 #도당 #형조 #벽상삼한삼중대광 #수문하시중 #판도평의사사 #병조상서시사 #영경령전사 #우문관대제학 #감춘추관사 #경연사 #경연관 #편수관 #통감강목 #김초 #병조좌랑 #정탁 #서경』 #대언 #국자박사 #생원 #성헌 #법사 #김종연 #행재소 #조민수 #박가흥 #지용기 #이무 #정희계 #이빈 #윤사덕 #진을서 #박위 #이옥 #이중화 #진원서 #김식 #이구철 #군관 #변안열 #이을진 #이경도 #원상 #이귀생 #정지 #우현보 #우홍수 #왕안덕 #우인열 #도진무 #이림 #박의룡 #순군관 #김저 #도둔곶 #여흥 #권근 #권중화 #장하 #이종학 #경보 #이인민 #한준 #정룡 #구천부 #이대경 #홍인계 #최공철 #최칠석 #안주 #공의 #곽선 #정단봉 #조언 #왕승귀 #장충립 #조경 #왕익부 #정전 #판삼사사 #배극렴 #대사헌 #김주 #유만수 #좌상시 #허응 #우상시 #전오륜 #간의 #박자문 #헌납 #권진 #정언 #유기 #김여지 #장령 #최함 #김무 #지평 #이원집 #이작 #형조판서 #구성우 #총랑 #성보 #정랑 #하계종 #좌랑 #박의 #창왕 #대장 #제군사 #낭관 #정득후 #남포 #안사공신 #대명률 #지정조격 #조준 #남은 #왕석 #황주 #해주 #이성계 #벽란도 #태종 #이화 #이제 #이원계 #변중량 #조영규 #황희석 #주자가례 #가묘 #수령 #참관 #이서 #도평의사 #녹사 #경력 #도사 #오부학당 #향교 #유학 #의창 #수참 #조운 #포은집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부사 #수문전대제학 #예문춘추관사 #익양부원군 #문충 #정종성 #정종본
-
凡選場대체로 과거 시험[選場]은 해마다 열기도 하고, 혹은 한 해를 건너뛰기도 하는 등 정해진 기간이 없으며, 선비를 뽑는 데에도 또한 정원이 없었다. 없었다 고려사회에서 과거시험이 처음 시행된 광종 9년(958)부터 공양왕 4년(1392)까지의 435년 동안, 제…#과거 시험 #한림학사 #쌍기 #지공거 #진사 #갑과 #최섬 #명경 #복업 #최광범 #의업 #왕거 #조익 #김책 #왕융 #최거업 #김이 #동지공거 #양연 #백사유 #한린경 #친시 #고응 #을과 #원징연 #최행언 #정광 #최승로 #좌집정 #이몽유 #병관어사 #유언유 #좌승 #노혁 #복시 #강은천 #이종 #병과 #진량 #최영린 #정우현 #명법 #이위 #최득중 #최항 #이유현 #동진사 #최원신 #이자림 #도고시관 #곽원 #예부시랑 #유방헌 #주인걸 #명서 #명산 #삼례 #삼전 #좌사낭중 #최성무 #강주재 #은사 #송굉 #박원휘 #내사사인 #황주량 #최충 #조원 #중추원직학사 #채충순 #손원선 #강감찬 #안창령 #국자사업 #손몽주 #서숭 #좌복야 #김심언 #임유간 #비서감 #주저 #우현부 #예빈경 #이공 #김현 #정배걸 #급사중 #김맹 #황정 #국자좨주 #유징필 #이원현 #산기상시 #조패 #장교 #예부상서 #이자연 #최황 #낭중 #이작인 #정재원 #예부낭중 #박유인 #최유선 #상서좌승 #이작충 #백가이 #은사과 #최희목 #형부상서 #김무체 #노연패 #좌간의대부 #황항지 #문하시중 #유창 #내사시랑 #김원현 #문하시랑 #최융 #이인정 #중추원부사 #김정신 #중추원사 #김정준 #박인수 #최석 #우상 #지중추원사 #유선여 #상서우복야 #이영간 #이간방 #좌산기상시 #이준 #김화숭 #양신린 #나계함 #김행경 #홍기 #기거사인 #노인 #고중신 #최상 #최인 #상서좌복야 #최익신 #이성미 #박유각 #정유산 #이하 #이정공 #이욱 #참지정사 #문정 #우원령 #노단 #김상제 #이부상서 #최연 #태학생 #전덕조 #중서시랑 #시강학사 #박인량 #음정 #동지중추원사 #최사량 #이부시랑 #김상기 #고민익 #상서이부사랑 #이예 #김준 #이자위 #김근 #박경백 #판상서이부사 #예빈소경 #최사추 #김부필 #김량감 #간의대부 #손관 #이경비 #오함서 #김성 #위계정 #정극공 #유석 #좌승선 #최홍사 #유진 #임성개 #김보신 #황영 #임원통 #이덕윤 #동지추밀원사 #이오 #지주사 #유신 #한숙단 #윤관 #사재경 #이굉 #강척 #송 #장침 #별두을과 #홍패 #안장 #정문 #유재 #태자 #송위 #김연 #황보허 #임의 #박경작 #한즉유 #이재 #노현용 #김상우 #이정승 #평장사 #오연총 #시랑 #임언 #정지원 #한교여 #백유 #임완 #별사을과 #조중장 #박승중 #대책 #김정 #지추밀원사 #직문하성 #이수 #어시 #쇄청 #배우 #정당문학 #이궤 #김고 #김복윤 #한안인 #김부일 #이지저 #과거 #무학생 #김인규 #나경순 #임유문 #홍관 #변순부 #김약온 #병부시랑 #김부식 #고효충 #이지미 #이양신 #이공수 #김부철 #왕좌재 #문공인 #최유 #이원철 #강후현 #박동주 #최자성 #임존 #최광원 #김부의 #홍이서 #김우번 #임원애 #우승선 #정항 #허홍재 #이중 #이신 #상서우승 #이대유 #김단 #최급 #임광 #팽희밀 #추밀원사 #왕충 #형부시랑 #권적 #고주 #한유충 #최유청 #김돈중 #윤언이 #조문진 #이인실 #최함 #황문부 #김영관 #김자의 #이유창 #고조기 #유필 #문공원 #이지무 #안영유 #임극충 #김의 #유희 #김영석 #문하성사 #최윤의 #김존중 #황보탁 #이원응 #황문장 #이양승 #이공승 #김정명 #김영부 #이지심 #최효저 #이덕수 #이계원 #김영윤 #김양 #이순우 #김원례 #지문하성사 #서순 #박소 #김광중 #장영재 #이익충 #한취 #우간의 #김신윤 #임수 #김천 #한언국 #장문경 #윤인첨 #문극겸 #최시행 #추밀부사 #민영모 #곽양선 #백용섭 #이문탁 #대부경 #한문준 #진간공 #추밀원부사 #판대부사 #염신약 #최기정 #우간의대부 #이응초 #진광순 #문하평장사 #윤종함 #이득옥 #우산기상시 #이지명 #허징 #임민비 #금극의 #왕봉진 #송돈광 #최증 #이당모 #임유 #황보위 #조영인 #유공권 #손희작 #최유가 #판비서사 #최선 #김군수 #이자문 #조정관 #최당 #민공규 #방연보 #전민유 #김평 #최득검 #백광신 #조문발 #첨서추밀원사 #국자대사성 #최종준 #조준 #황극중 #안유부 #인득후 #이계장 #판예빈성사 #최홍윤 #마중기 #최탄 #유양재 #우부승선 #금의 #황보관 #유택 #김홍 #대사성 #조충 #강창서 #전경성 #동평장사 #최보순 #허수 #채정 #김신정 #박현규 #염후 #전중감 #임영령 #이득소 #김중룡 #한광연 #이종규 #박승유 #김량경 #양부 #우복야 #최부 #조균정 #판비서성사 #최정분 #손완 #위위경 #최종재 #임장경 #유승단 #오예 #판위위사 #이규보 #이돈 #유충기 #전경 #한림학사승지 #김인경 #김태서 #문진 #이백순 #김연성 #판예부사 #박정규 #박희 #이방무 #임경숙 #지순 #최린 #장천기 #송순 #정안 #최종균 #김창 #설신 #홍지경 #홍균 #위순 #박훤 #양저 #대복경 #민인균 #김균 #김효인 #김응문 #최자 #황보기 #유성재 #조수 #좌부승선 #윤극민 #윤정형 #최온 #판사재감사 #김지대 #곽왕부 #홍진 #장한문 #이장용 #유경 #위문경 #정지 #정겸 #유천우 #조득주 #최윤개 #박륜 #김주정 #곽여익 #민지 #김애 #윤승관 #원부 #허공 #김황 #김구 #이의 #정현좌 #장일 #주정 #한강 #승선 #박항 #최지보 #밀직부사 #설공검 #이익방 #찬성사 #법전판서 #곽여필 #조간 #백문절 #이백기 #서적점녹사 #지밀직사사 #이존비 #승지 #곽예 #최백륜 #판밀직사사 #판위위시사 #권단 #조선열 #지첨의부사 #좌승지 #최수황 #곽린 #이익배 #이부 #중찬 #안향 #윤선좌 #정가신 #김변 #최함일 #윤안비 #김순 #강훤 #전승 #정윤의 #이자세 #밀직사사 #권영 #좌부승지 #노승관 #오기 #삼사좌사 #지우공 #최응 #조광한 #김태현 #비서윤 #김우 #박리 #정해 #지신사 #송린 #장자빈 #허유전 #판도총랑 #안분 #권한공 #최성지 #안진 #이진 #고시관 #윤혁 #동고시관 #박인간 #연흥군 #박전지 #총부전서 #백원항 #홍의손 #이제현 #박효수 #최용갑 #권준 #박원 #최원우 #순흥부원군 #안문개 #우대언 #이담 #송천봉 #밀직제학 #한종유 #이군해 #주빈 #채홍철 #안규 #남궁민 #김영돈 #안축 #판전의시사 #김광재 #안원룡 #김진 #신예 #이자을 #박충좌 #이천 #하을지 #양천군 #허백 #한산군 #이곡 #김인관 #김해군 #홍언박 #이색 #안보 #안을기 #이인복 #김희조 #염흥방 #김득배 #추밀원직학사 #한방신 #정몽주 #우시중 #지도첨의 #유숙 #박실 #흥안부원군 #첨서밀직사사 #윤소종 #9재 #이첨 #흥안백 #유백유 #전록생 #김잠 #이무방 #김자수 #홍중선 #지밀직 #한수 #정총 #죽성군 #안극인 #권중화 #성석연 #서성군 #밀직사 #박형 #이문화 #순흥군 #안종원 #판후덕부사 #윤진 #유량 #문하평리 #우현보 #이인민 #김한로 #염국보 #우홍명 #한산부원군 #맹사성 #정도전 #권근 #이치 #판개성부사 #유원 #후덕부윤 #이종학 #김여지 #성석린 #평리 #이조 #판삼사사 #설장수 #이원굉 #김권
-
凡選場或比年, 或閒歲, 未有定期, 其取士, 亦無定額. 光宗九年五月 翰林學士雙冀知貢擧, 取進士, 賜甲科崔暹等二人, 明經三人, 卜業二人及第. 十一年三月 雙冀知貢擧, 取進士, 賜甲科崔光範等七人, 明經一人,…#과거 시험 #한림학사 #쌍기 #지공거 #진사 #갑과 #최섬 #명경 #복업 #최광범 #의업 #왕거 #조익 #김책 #왕융 #최거업 #김이 #동지공거 #양연 #백사유 #한린경 #친시 #고응 #을과 #원징연 #최행언 #정광 #최승로 #좌집정 #이몽유 #병관어사 #유언유 #좌승 #노혁 #복시 #강은천 #이종 #병과 #진량 #최영린 #정우현 #명법 #이위 #최득중 #최항 #이유현 #동진사 #최원신 #이자림 #도고시관 #곽원 #예부시랑 #유방헌 #주인걸 #명서 #명산 #삼례 #삼전 #좌사낭중 #최성무 #강주재 #은사 #송굉 #박원휘 #내사사인 #황주량 #최충 #조원 #중추원직학사 #채충순 #손원선 #강감찬 #안창령 #국자사업 #손몽주 #서숭 #좌복야 #김심언 #임유간 #비서감 #주저 #우현부 #예빈경 #이공 #김현 #정배걸 #급사중 #김맹 #황정 #국자좨주 #유징필 #이원현 #산기상시 #조패 #장교 #예부상서 #이자연 #최황 #낭중 #이작인 #정재원 #예부낭중 #박유인 #최유선 #상서좌승 #이작충 #백가이 #은사과 #최희목 #형부상서 #김무체 #노연패 #좌간의대부 #황항지 #문하시중 #유창 #내사시랑 #김원현 #문하시랑 #최융 #이인정 #중추원부사 #김정신 #중추원사 #김정준 #박인수 #최석 #우상 #지중추원사 #유선여 #상서우복야 #이영간 #이간방 #좌산기상시 #이준 #김화숭 #양신린 #나계함 #김행경 #홍기 #기거사인 #노인 #고중신 #최상 #최인 #상서좌복야 #최익신 #이성미 #박유각 #정유산 #이하 #이정공 #이욱 #참지정사 #문정 #우원령 #노단 #김상제 #이부상서 #최연 #태학생 #전덕조 #중서시랑 #시강학사 #박인량 #음정 #동지중추원사 #최사량 #이부시랑 #김상기 #고민익 #상서이부사랑 #이예 #김준 #이자위 #김근 #박경백 #판상서이부사 #예빈소경 #최사추 #김부필 #김량감 #간의대부 #손관 #이경비 #오함서 #김성 #위계정 #정극공 #유석 #좌승선 #최홍사 #유진 #임성개 #김보신 #황영 #임원통 #이덕윤 #동지추밀원사 #이오 #지주사 #유신 #한숙단 #윤관 #사재경 #이굉 #강척 #송 #장침 #별두을과 #홍패 #안장 #정문 #유재 #태자 #송위 #김연 #황보허 #임의 #박경작 #한즉유 #이재 #노현용 #김상우 #이정승 #평장사 #오연총 #시랑 #임언 #정지원 #한교여 #백유 #임완 #별사을과 #조중장 #박승중 #대책 #김정 #지추밀원사 #직문하성 #이수 #어시 #쇄청 #배우 #정당문학 #이궤 #김고 #김복윤 #한안인 #김부일 #이지저 #과거 #무학생 #김인규 #나경순 #임유문 #홍관 #변순부 #김약온 #병부시랑 #김부식 #고효충 #이지미 #이양신 #이공수 #김부철 #왕좌재 #문공인 #최유 #이원철 #강후현 #박동주 #최자성 #임존 #최광원 #김부의 #홍이서 #김우번 #임원애 #우승선 #정항 #허홍재 #이중 #이신 #상서우승 #이대유 #김단 #최급 #임광 #팽희밀 #추밀원사 #왕충 #형부시랑 #권적 #고주 #한유충 #최유청 #김돈중 #윤언이 #조문진 #이인실 #최함 #황문부 #김영관 #김자의 #이유창 #고조기 #유필 #문공원 #이지무 #안영유 #임극충 #김의 #유희 #김영석 #문하성사 #최윤의 #김존중 #황보탁 #이원응 #황문장 #이양승 #이공승 #김정명 #김영부 #이지심 #최효저 #이덕수 #이계원 #김영윤 #김양 #이순우 #김원례 #지문하성사 #서순 #박소 #김광중 #장영재 #이익충 #한취 #우간의 #김신윤 #임수 #김천 #한언국 #장문경 #윤인첨 #문극겸 #최시행 #추밀부사 #민영모 #곽양선 #백용섭 #이문탁 #대부경 #한문준 #진간공 #추밀원부사 #판대부사 #염신약 #최기정 #우간의대부 #이응초 #진광순 #문하평장사 #윤종함 #이득옥 #우산기상시 #이지명 #허징 #임민비 #금극의 #왕봉진 #송돈광 #최증 #이당모 #임유 #황보위 #조영인 #유공권 #손희작 #최유가 #판비서사 #최선 #김군수 #이자문 #조정관 #최당 #민공규 #방연보 #전민유 #김평 #최득검 #백광신 #조문발 #첨서추밀원사 #국자대사성 #최종준 #조준 #황극중 #안유부 #인득후 #이계장 #판예빈성사 #최홍윤 #마중기 #최탄 #유양재 #우부승선 #금의 #황보관 #유택 #김홍 #대사성 #조충 #강창서 #전경성 #동평장사 #최보순 #허수 #채정 #김신정 #박현규 #염후 #전중감 #임영령 #이득소 #김중룡 #한광연 #이종규 #박승유 #김량경 #양부 #우복야 #최부 #조균정 #판비서성사 #최정분 #손완 #위위경 #최종재 #임장경 #유승단 #오예 #판위위사 #이규보 #이돈 #유충기 #전경 #한림학사승지 #김인경 #김태서 #문진 #이백순 #김연성 #판예부사 #박정규 #박희 #이방무 #임경숙 #지순 #최린 #장천기 #송순 #정안 #최종균 #김창 #설신 #홍지경 #홍균 #위순 #박훤 #양저 #대복경 #민인균 #김균 #김효인 #김응문 #최자 #황보기 #유성재 #조수 #좌부승선 #윤극민 #윤정형 #최온 #판사재감사 #김지대 #곽왕부 #홍진 #장한문 #이장용 #유경 #위문경 #정지 #정겸 #유천우 #조득주 #최윤개 #박륜 #김주정 #곽여익 #민지 #김애 #윤승관 #원부 #허공 #김황 #김구 #이의 #정현좌 #장일 #주정 #한강 #승선 #박항 #최지보 #밀직부사 #설공검 #이익방 #찬성사 #법전판서 #곽여필 #조간 #백문절 #이백기 #서적점녹사 #지밀직사사 #이존비 #승지 #곽예 #최백륜 #판밀직사사 #판위위시사 #권단 #조선열 #지첨의부사 #좌승지 #최수황 #곽린 #이익배 #이부 #중찬 #안향 #윤선좌 #정가신 #김변 #최함일 #윤안비 #김순 #강훤 #전승 #정윤의 #이자세 #밀직사사 #권영 #좌부승지 #노승관 #오기 #삼사좌사 #지우공 #최응 #조광한 #김태현 #비서윤 #김우 #박리 #정해 #지신사 #송린 #장자빈 #허유전 #판도총랑 #안분 #권한공 #최성지 #안진 #이진 #고시관 #윤혁 #동고시관 #박인간 #연흥군 #박전지 #총부전서 #백원항 #홍의손 #이제현 #박효수 #최용갑 #권준 #박원 #최원우 #순흥부원군 #안문개 #우대언 #이담 #송천봉 #밀직제학 #한종유 #이군해 #주빈 #채홍철 #안규 #남궁민 #김영돈 #안축 #판전의시사 #김광재 #안원룡 #김진 #신예 #이자을 #박충좌 #이천 #하을지 #양천군 #허백 #한산군 #이곡 #김인관 #김해군 #홍언박 #이색 #안보 #안을기 #이인복 #김희조 #염흥방 #김득배 #추밀원직학사 #한방신 #정몽주 #우시중 #지도첨의 #유숙 #박실 #흥안부원군 #첨서밀직사사 #윤소종 #9재 #이첨 #흥안백 #유백유 #전록생 #김잠 #이무방 #김자수 #홍중선 #지밀직 #한수 #정총 #죽성군 #안극인 #권중화 #성석연 #서성군 #밀직사 #박형 #이문화 #순흥군 #안종원 #판후덕부사 #윤진 #유량 #문하평리 #우현보 #이인민 #김한로 #염국보 #우홍명 #한산부원군 #맹사성 #정도전 #권근 #이치 #판개성부사 #유원 #후덕부윤 #이종학 #김여지 #성석린 #평리 #이조 #판삼사사 #설장수 #이원굉 #김권
-
창왕 원년(1389) 기사년정월 ○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과 전교시(典校寺)에서 다음과 같이 건의했다. “예문관은 문서를 작성하는 일을 맡고 춘추관은 사안을 기록하는 일을 맡으며 전교시는 제사의 의례와 축문(祝文)의 작성을 맡고 있으니, 이 세 가지는 모두가 중…
-
공양왕 3년(1391) 신미년봄 정월 초하루 기축일. 왕이 신하들에게 잔치를 베풀었다. 을미일. 우리 이성계를 삼군도총제사(三軍都摠制使)로, 배극렴(裴克廉)을 중군총제사(中軍摠制使)로, 조준(趙浚)을 좌군총제사(左軍摠制使)로, 정도전(鄭道傳)을 우군총제사(右軍摠制使)로 …
-
창왕 원년(1389) 기사년元年 正月 藝文春秋館․典校寺上言, “藝文掌詞命, 春秋掌記事, 典校掌祀典而修祝文, 此三者, 皆重事也. 是以, 先王置官禁中, 仍號禁內, 而今館寺在外, 非先王設官之意也. 願自今, 以史翰二人, 典校一人, 正字一人, 入直于內, 以復舊制.” 從之. 二月 …
-
공양왕 3년(1391) 신미년三年 春正月 己丑朔 宴群臣. 乙未 以我太祖爲三軍都摠制使, 裴克廉爲中軍摠制使, 趙浚爲左軍摠制使, 鄭道傳爲右軍摠制使. 設帝釋道場于報平廳. 乙巳 以國大妃生日 宥禹仁烈․李仁敏․鄭熙啓․李崇仁․河崙․權近․尹師德․柳琰․李彬․盧贇․李行․元庠等, 皆許京外從便. 丙午 三軍摠制府…
-
김도金濤김도(金濤) 김도(?~1379)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증조는 김경성(金景成), 조부는 김우(金祐), 아버지는 밀직부사 김광후(金光厚)이다. 공민왕 19년(1370) 명나라에 가서 이듬해 제과(制科)에 급제하여 동창부승(東昌部丞)에 임명되었다. 우왕이 즉위한 …
-
정몽주鄭夢周정몽주(鄭夢週) 정몽주(1337~1392) 본관은 영일(迎日)(지금의 경상북도 포항시 영일읍)이고 호는 포은(圃隱)이다. 영일 정씨의 시조는 정종은(鄭宗殷)인데 그는 신라시대의 간관(諫官)이었다가 언사(言事)로 쫓겨났고, 그 후손인 정의경(鄭宜卿)이 영일로 옮…
-
김도金濤金濤, 字長源, 延安府人. 恭愍朝登第, 補全州司錄, 五遷爲正言, 言事罷. 中洪武四年制科, 勑授東昌府丘縣丞, 濤辭以不解華語且親老, 願還本國, 詔許之. 及還, 王謂左右曰, “我國之人, 登制科者固罕, 况此人旣登科, 又蒙勑授, 名揚一時, 使天下知我國有人. 恨不早知其來…
-
정몽주鄭夢周鄭夢周, 字達可, 知奏事襲明之後. 母李氏有娠, 夢抱蘭盆忽墮, 驚寤而生, 因名夢蘭. 生而秀異, 肩上有黑子七列如北斗. 年至九歲, 母晝夢黑龍升園中梨樹, 驚覺出視, 乃夢蘭也, 因改夢龍. 旣冠, 改今名. 恭愍九年, 應擧連魁三場, 遂擢第一人. 十一年, 選補藝文檢閱, 十三…
-
凡選場대체로 과거 시험[選場]은 해마다 열기도 하고, 혹은 한 해를 건너뛰기도 하는 등 정해진 기간이 없으며, 선비를 뽑는 데에도 또한 정원이 없었다. 없었다 고려사회에서 과거시험이 처음 시행된 광종 9년(958)부터 공양왕 4년(1392)까지의 435년 동안, 제…
-
凡選場或比年, 或閒歲, 未有定期, 其取士, 亦無定額. 光宗九年五月 翰林學士雙冀知貢擧, 取進士, 賜甲科崔暹等二人, 明經三人, 卜業二人及第. 十一年三月 雙冀知貢擧, 取進士, 賜甲科崔光範等七人, 明經一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