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현종
    현종 11년(1020) 경신년
    현종 11년(1020) 경신년
    11년 봄 정월 계해일. 진함조(晋含祚)를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 겸 도정사(都正使) 도정사 고려시대 전곡의 회계 출납을 맡아보던 재정기구 삼사(三司)가 현종 5년(1014)에 바뀐 도정사(都正司)의 정3품 사(使)를 말한다. 현종 5년(1014) 무신…
    #진함조 #상서우복야 #도정사 #최원 #호부상서 #이가도 #상서우승 #이수화 #기거랑 #최충 #기거사인 #이작충 #우보궐 #알시경 #고지문 #박유인 #김가 #좌․우습유 #고두화 #수안현 #대정 #혁연 #이증 #귀주 #시음달 #고부영사 #유한 #금불라 #문하시랑 #진적 #이예균 #내사시랑 #왕동영 #사재경 #윤여 #장작소감 #왕좌섬 #소부승 #김덕화 #장작주부 #김징호 #태의감 #김득굉 #거란 #개성군군 #왕이보 #예부주사 #천주 #회지 #이작인 #번국 #지자리 #야율행평 #검교사도 #한소옹 #강민첨 #병부상서 #귀덕장군 #불나 #팽홍패 #정신용 #최사위 #지중추사 #왕흠 #개부의동삼사 #검교태사 #수사도 #내사령 #상주국 #숭인광효보운공신 #연경군 #명복전 #상참 #예부상서 #양진 #형부시랑 #한거화 #재신 #유방 #달로 #내정 #인왕경 #윤징고 #우산기상시 #이원현 #오두나 #최원신 #안홍점 #사헌잡단 #서북계 #누리 #지서사 #차사재소경 #노집중 #동경 #사가문 #노울달 #안서도 #현화사 #양성 #집사성시랑 #최치원 #수창궁 #관인전 #법경 #왕사 #이현재 #전중시어사헌 #연주 #지진 #최제안 #김맹 #송나라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현종
    현종 18년(1027) 정묘년
    현종 18년(1027) 정묘년
    18년 봄 정월 신해일. 최사위(崔士威)를 태자태사(太子太師)로, 채충순(蔡忠順)․이공(李龔)을 문하시랑(門下侍郞)으로, 서눌(徐訥)을 내사시랑(內史侍郞)으로, 곽원(郭元)․이가도(李可道)를 참지정사(叅知政事)로, 이단(李端)․김맹(金猛)을 중추원사(…
    #최사위 #태자태사 #채충순 #이공 #문하시랑 #서눌 #내사시랑 #곽원 #이가도 #참지정사 #이단 #김맹 #중추원사 #양진 #상서좌복야 #최충 #급사중 #창부 #유방 #특진 #문하시중 #이정윤 #태묘 #귀덕대장군 #아골아가 #슬불달 #배현경 #홍유 #복지겸 #신숭겸 #유금필 #최응 #박술희 #김견술 #왕식렴 #유신성 #서필 #최지몽 #박양유 #최승로 #최량 #이지백 #서희 #이몽유 #한언공 #김승조 #최숙 #기우제 #가뭄 #정전 #공주 #서리 #왕형 #개부의동삼사 #검교태사 #내사령 #왕서 #검교태부 #상서령 #황주량 #형부시랑 #이주좌 #기거사인 #허원 #시어사 #이유량 #전중시어사 #진현석 #우보궐 #이응년 #감찰어사 #양주 #장의사 #삼천사 #청연사 #공부시랑 #유품렴 #탐라 #모일라 #태부 #이광일 #야율호도곤 #영광군 #산호수 #송악산 #동경사 #고연 #이문통 #혜일중광사 #보신 #간관 #좌승선 #이괴 #곽숭원 #이능봉 #구정 #인왕경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문종
    문종 즉위년(1046) 병술년
    문종 즉위년(1046) 병술년
    5월 기해일. 왕이, “돌아가신 왕께서 쓰시던 용상과 발받침[踏斗 답두 왕의 용상 앞에 놓인 발받침을 말한다. 한편 실내의 고정된 사다리나 도교의례에 있어 독특한 보법(步法) 등의 의미도 있다.]은 모두 금과 은으로 장식하고 또 금실과 은실로 수놓은 …
    #상서공부낭중 #최원준 #초제 #신봉루 #휘신도량 #왕륜사 #은질 #양도 #광협 #관달 #영길 #중윤 #정변진 #별장 #정광순 #금오위 #낭장 #건덕전 #화엄경도량 #선정전 #시중 #최제안 #평장사 #최충 #보제사 #상서좌복야 #최보성 #상서우복야 #조옹 #상장군 #이응보 #김홍광 #내전 #백좌인왕경도량 #임진현 #배행 #조경 #구정 #묘통사 #회경전 #소재도량 #팔관회 #법왕사 #급사중승 #외제석원 #기상영복도량 #흥국사 #동경 #서경 #4도호 #기거사인 #주종백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문종
    문종 32년(1078) 무오년
    문종 32년(1078) 무오년
    32년 봄 2월 병진일. 이 달 보름이 한식(寒食)이기 때문에 사흘 앞당겨 연등회를 열었다. 여름 4월 을사일. 우원령(禹元齡) 우원령(?~?) 숙종 때 사은사(謝恩使) 겸 고주사(告奏使)․중사인(中舍人) 등을 역임한 문신관료…
    #연등회 #우원령 #동림사 #대운사 #축수재 #교련사 #고윤공 #공부상서 #문황 #호부시랑 #최사훈 #안흥정 #국신사 #좌간의대부 #안도 #기거사인 #진목 #예성강 #병부상서 #노단 #연반 #서교정 #중추원사 #형부상서 #김제 #순천관 #지중추원사 #호부상서 #김양감 #예부시랑 #이양신 #관반 #창합문 #회경전 #건덕전 #이부상서 #유홍 #불진연 #시랑 #여단 #일본국 #고려 #도병마사 #팔조음부곡 #고마수 #마리해 #선사사 #익주관내관찰사 #야율온 #위위경 #여사안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예종
    예종 2년(1107) 정해년
    예종 2년(1107) 정해년
    2년 봄 정월 초하루 무자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경인일. 요나라에서 고존수(高存壽)를 보내 왕의 생일을 축하하면서 대장경을 내려 주었다. 병신일. 요나라 사신을 위해 건덕전(乾德殿)에서 잔치를 베풀었다. 무술일. 왕…
    #신년 하례행사 #요나라 #고존수 #대장경 #건덕전 #신중원 #인왕도량 #문덕전 #천제석도량 #김경용 #검교태자태사 #수사공 #문하시랑평장사 #임개 #명경전 #승려 #담진 #왕사 #외제석원 #왕륜사 #안무사 #기거랑 #이여림 #양광충청주도 #대부소경 #최위 #전라주도 #시어사 #지록연 #경상진주도 #예기 #호부시랑 #유태수 #서북도 #우부승선 #임언 #동북도 #불정도량 #구산사 #초제 #붉은 띠 #묘통사 #삼각산 #국망봉 #박연 #숙종 #우궁 #법운사 #송악 #동신사 #개국사 #금강경도량 #흥국사 #봉은사 #고공낭중 #박경백 #천흥절 #형부원외랑 #이소영 #기거사인 #박경중 #하언석 #종묘 #사직 #최홍사 #권판상서이부사 #감수국사 #중서시랑평장사 #이오 #문덕전태학사 #판상서예부사 #수국사 #참지정사 #윤관 #상주국 #임의 #판상서형부사 #서경유수사 #추밀원사 #왕하 #판삼사사 #문하시중 #문충공 #이정공 #순묘 #경렬공 #왕국모 #숙묘 #송림현 #불정사 #자천사 #산호정 #회경전 #백좌인왕도량 #원시천존상 #옥촉정 #여진 #순천관 #원수 #오연총 #부원수 #일식 #보제사 #서경 #일관 #자비령 #장락전 #대동강 #용선 #웅주 #영주 #복주 #길주 #동여진 #요을내 #김상우 #어사대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예종
    예종 16년(1121) 신축년
    예종 16년(1121) 신축년
    16년 봄 정월 초하루 정유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기해일. 다음과 같은 지시를 내렸다. “남녀 관계에 대한 규범은 특히 중요한 윤리적 문제로서, 제왕(帝王)의 흥기도 또한 그 내조(內助)에 힘을 입어 이루어지는 법이다…
    #신년 하례행사 #시경 #진한공 #대경 #최용 #예사 #왕씨를 귀비 #최씨를 숙비 #수춘궁 #관례 #함녕절 #건덕전 #귀비 #숙비 #중서사인 #한충 #서경부유수 #좌정언 #임원준 #전중내급사 #창신사 #수릉 #송나라 #요희 #외제석원 #청연각 #한림학사 #박승중 #예기 #기거주 #김부식 #서경 #보제사 #묘통사 #안화사 #이자겸 #소성군개국백 #상춘정 #일월사 #왕륜사 #고봉사 #극락사 #소재도량 #흥국사 #봉은사 #왕사 #덕연 #무당 #산호정 #참형 #교수형 #순복전 #초제 #승려 #법운사 #기거사인 #임존 #장령전 #문덕전 #도량 #기우제 #나한재 #좌복야 #참지정사 #박경인 #천화사 #이수 #서북면병마사 #최자성 #동북면병마사 #흥왕사 #선정전 #영릉 #숭릉 #인효원 #장원정 #천수사 #회경전 #백좌도량 #홍원사 #태백성 #재추 #시신 #복원궁 #구산사 #옥잠정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인종
    인종 11년(1133) 계축년
    인종 11년(1133) 계축년
    11년 봄 정월 계해일. 금나라에서 고진가(高陳可)를 보내 왕의 생일을 축하했다. 2월 경자일. 왕의 거처를 인덕궁(仁德宮)으로 옮겼다. 계묘일. 왕이 정전(正殿)을 피해 평대(平臺)에서 원자(元子) 왕철(王徹)을 왕…
    #금나라 #고진가 #인덕궁 #정전 #평대 #왕철 #역경 #예기 #종묘 #사직 #수창궁 #한유충 #이지저 #사은사 #송나라 #홍주 #보제사 #인덕전 #책봉 #사면령 #문공인 #판상서병부사 #감수국사 #최유 #참지정사 #판상서공부사 #태자소보 #임원애 #판한림원사 #임경청 #상서우복야 #임원준 #동지추밀원사 #추밀원부사 #대명궁 #안화사 #개경 #형관 #서경 #유수 #양계 #병마사 #안렴사 #숭문전 #금강경도량 #진 #무제 #가충 #양준 #양나라 #대동 #한나라 #경방 #도성청 #평장사 #김부식 #주역 #상서 #한림학사승지 #김부의 #지주사 #황이서 #승선 #정항 #기거주 #정지상 #사업 #윤언이 #서경』 #중용』 #봉은사 #보살계도량 #백료 #기우제 #최홍재 #수사공 #우복야 #이준양 #중서시랑평장사 #수락당 #주역』 #외제석원 #김우번 #급제 #예빈소경 #정택 #천청절 #묘통사 #문하시중 #이위 #백좌도량 #승려 #동경회사사 #전중시어사 #고안원 #낭중 #김영석 #연경궁 #신화지 #문공미 #판이부사 #기거랑 #장공주 #최윤의 #전중내급사 #이중부 #기거사인 #판병부사 #판예부사 #판공부사 #예부상서 #지추밀원사 #이부상서 #강후현 #어사대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의종
    의종 7년(1153) 계유년
    의종 7년(1153) 계유년
    봄 정월 초하루 신묘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계묘일. 왕의 맏아들의 이름을 왕홍(王泓)이라고 지었는데 뒤에 왕기(王祈)로 바꾸었다. 갑자일. 연등회(燃燈會) 참석차 왕이 봉은사(奉恩寺) 봉은사 광종 2년(951)에 태조의 원당…
    #신년 하례 #왕홍 #왕기 #연등회 #봉은사 #장원정 #우방재 #형부상서 #수창궁 #영통사 #보제사 #오백나한재 #흥성사 #전시 #대관전 #목청전 #보살계 #안화사 #금나라 #천덕 #정원 #봉원전 #우란분재 #선인전 #곽원 #어사대 #팔관회 #법왕사 #탐라현 #도상 #인용 #부위 #중련 #진직 #소부감 #아륵근언충 #기거사인 #최루백 #용흥절 #예부원외랑 #윤인첨 #어사잡단 #이양신 #박유 #신년을 하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의종
    의종 9년(1155) 을해년
    의종 9년(1155) 을해년
    9년 봄 정월 신해일. 대부경(大府卿) 최유칭(崔褎偁)을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로, 시형부시랑(試刑部侍郞) 허순(許純)을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로 임명했다. 기미일. 봉원전(奉元殿)에서 승려들에게 음식을 대접했다. 임술일. 연…
    #최자영 #지문하성사 #양원준 #기거사인 #최루백 #좌사간 #박득령 #좌정언 #허홍재 #우정언 #최우보 #팔관회 #법왕사 #금나라 #우사원외랑 #김순 #용흥절 #형부원외랑 #김온중 #호부낭중 #최자파 #사공 #왕장 #대관전 #송나라 #문하시랑평장사 #유필 #대부경 #최유칭 #서북면병마사 #시형부시랑 #허순 #동북면병마사 #봉원전 #승려 #연등회 #봉은사 #장원정 #급사중 #민각 #경천사 #권판상서이부사 #최윤의 #권판상서병부사 #국청사 #일식 #단오 #경령전 #판이부사 #서경유수사 #임극충 #추밀원사 #한림학사승지 #태자빈객 #수문전 #보살계 #서북면병마판사 #판중군병마사 #동북면병마판사 #문공유 #병마부사 #명주 #지리선 #평장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고종
    고종 12년(1225) 을유년
    고종 12년(1225) 을유년
    12년 봄 정월 기사일. 연등회와 팔관회 행사 때 유밀과(油蜜果) 상을 올리던 의례를 다시 행하게 했다. 계미일. 몽고의 사신이 서경을 떠나 압록강을 건너면서 국가의 공식 예물인 수달 가죽만 챙기고 나머지 비단필 등의 물품은 모조리 들판에 버리…
    #연등회 #팔관회 #유밀과 #몽고 #서경 #압록강 #수달 가죽 #비단필 #사건 #법왕사 #왕륜사 #건성사 #보제사 #장군 #김약선 #임장경 #강화 #위원 #의복 #안장 갖춘 말 #술 #과일 #왜선 #경상도 #봉은사 #동진 #주한 #서창진 #개경 #판사재사 #이윤함 #서북면병마사 #대호군 #금휘 #동북면병마사 #낭장 #최종조 #경상도안찰부사 #시랑 #김득순 #양광도안찰사 #황수 #전라도안찰부사 #시어사 #유유 #서해도안찰부사 #기거사인 #백돈분 #교주도안찰부사 #삭주 #강종 #진전 #현화사 #장수 #최량 #우가하 #초주마 #대운도 #소재도량 #건원사 #지추밀원사 #좌산기상시 #이적유 #전유마장교 #내탕 #추밀원사 #어사대부 #이적 #법운사 #구정 #저상전 #봉원전 #목친전 #함원전 #내시장군 #송서 #홍정 #대창 #정통보 #판추밀원사 #이부상서 #최정분 #첨서추밀원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23456789Next PageLast Page총 84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