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국 비주 태수 원성의 후실 융선이 토의를 바치다.
일본국 비주(肥州) 전평우진(田平寓鎭) 해주태수(海州太守) 원성(源省)의 후실(後室) 융선(融仙)이 사람을 보내어 토의를 바치고, 이어 예조에 글을 올려 말하기를,
“우리 부자는 비록 이역에서 났으나, 이웃나라를 공경하는 예의를 다해서 헤마다 태만하지 …
-
일본국 석성관사 평만경이 토의를 바치고 양적이라는 자를 찾아주도록 청하다.
석성관사(石城管事) 평만경(平滿景)이 사람을 시켜 토의를 바치고 예조에 보낸 글에
“양적(亮積)이라는 자가 있는데 부도(浮圖)입니다. 축주(筑州)가 본관이면서 잠깐 대마에 우거하였던 것인데, 화재가 한번 일어나매 옥석을 분별치 못하였습니다. 근래에 대마…
-
사간 김전 등이 원각사 수리를 중단할 것을 청하다.
사간원사간 김전(金琠) 등이 차자를 올리기를,
“…… 신 등이 또 듣건대, 요즘 선공감(繕工監)에 명하여 원각사를 수리한다고 하니, 모르는 사이에 팔뚝을 잡고서 놀라고 의혹하여, ‘전하의 착하고 밝으심으로 어찌 이같은 일이 있겠느냐?’ 고 여겼습니다.…
-
김전 등이 원각사 수리와 사헌부 관리의 추국을 중단할 것을 청하다.
김전(金琠) 등이 와서 아뢰기를,
“지금 원각사(圓覺寺)를 수리하는 데에 관에서 군인을 주고 또 관원을 정하여 그 역사를 감독하게 하였으니, 부처를 숭상하는 것이 아니고 무엇이겠습니까? 빌건대 빨리 파하소서. ……”
하니, 전교하기를, …
-
김전 ․ 유자광 ․ 홍흥 등이 오랑캐에게 사신을 보내는 일에 대해 의논하다.
왕이 경연에서 납시어 강을 하는데, ‘흉노가 화친을 청해왔으나, 허락하지 않았다.’ 에 이르러 시강관(侍講官) 김전(金詮)이 아뢰기를,
“제왕이 오랑캐를 대했을 때에, 귀순해 오는 자는 막지 않고 가는 자는 쫓지 않았는데, 지금 두 번이나 동청례(童淸禮…
-
조강에서 왜적의 일을 의논하다.
조강에 납시었다. …… 시강관 이세인이 아뢰기를,
“대마도에서 면포 3,000필을 청구하니, 진실로 이를 좇아야 합니다. 그러나 제주(濟州) 왕래에 왜적이 있어서 사람과 가축을 죽이고 약탈하여 유헌(柳軒)·김양보(金良輔)는 모두 피살되고, 이운거(李芸秬…
-
박원종 등이 빈청에 나가 완천정의 사죄를 감하자고 청하니 정배하게 하다.
영의정 유순(柳洵), 좌의정 박원종(朴元宗), 부원군 성희안(成希顔)·송일(宋軼), 판서 홍경주(洪景舟)·김응기(金應箕), 참판 김전(金詮)이 빈청으로 나아갔다. 박원종이 아뢰기를,
“신이 완천정(完川正)의 일을 상세히 알고 있는데, 신복의(辛服義)·박…
-
삼포의 첨사 ․ 만호 및 수령의 직질에 대해 논의하다.
김응기(金應箕)가 의논드리기를,
“왜노를 진복시킴은 사람을 얻는 데 있고, 직질의 고하에 있지 않으니, 삼포의 첨사·만호 및 수령을 옛 법례대로 하는 것이 합당합니다. 첨사 등이 비록 이미 부임하여 왜노들이 의장을 보았더라도, 도로 고쳐도 또한 무방합니…
-
정원이 원의의 사신 접대에 관한 논의를 아뢰다.
정원이 원의(源義)의 사개 접대에 관한 당부의 논의를 가지고 들어와 아뢰었다. 영의정 유순·영가부원군 김수동·밀원부원군 박건 등은 마땅히 너그러이 용납하여 포황하는 뜻을 보여야 한다 하고, 좌의정 박원종·우의정 유순정·교성군 노공필·창상 부원군 성희안·영중추부…
-
김전 ․ 이세인 등이 변장을 가려뽑는 것등을 아뢰다.
대사헌 김전(金詮)·대사간 이세인(李世仁) 등이 상소를 올렸는데, 대략 이러하였다.
“신 등이 삼가 구언하시는 전지를 읽고서 마음속에 스스로 기쁘고 반가웠습니다.
옛날 성탕(成湯)은 6가지 일로써 자신을 책망했는데, 지금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