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조에서 중국인 양길의 거취에 대해 아뢰다.
도성에 머물러 있던 예조에서 아뢰기를,
“일본국 비전주(肥前州) 상송포(上松浦) 뇌영(賴永)이 보낸 중국인 양길(楊吉)이 말하기를, ‘나는 본디 중국 절강성(浙江省) 항주(杭州)의 영파부(寧波府)사람인데, 어릴 때에 부모가 모두 죽…
-
순행중 상서의 기이함이 있어 백관이 진하하다.
동쪽에 순행하여 지나는 곳에 상서가 여러 번 나타났고, 환궁한 뒤에 사리가 또 분신한 까닭으로써 백관이 진하(陳賀)하니, 전교를 내려 살인 및 도둑과 남형(濫刑)한 관리 외에 유형(流刑) 이하의 죄를 사유(赦宥)하였다. 임금이 근정전(勤政殿)에 나아가니, 의정…
-
예조에서 일본 사신 뇌영의 서계를 아뢰다.
예조에서 아뢰기를,
“뇌영(賴永)의 서계에 이르기를, ‘나구야진(那久野津)은 바로 본도의 요진입니다. 무릇 명(明)나라와 조선이 본국에 보내는 것은 냉천진(冷泉津)에 도달하지 아니하면 반드시 이 진(津)에 닿아서 험한 풍파를 피하였…
-
뇌영의 사자편에 일본 국왕에게 글을 부치다.
뇌영(賴永)의 사자 중 수린(壽藺)이 돌아갔다. 임금이 일본국왕에게 글을 부쳤는데, 그 글은 이러하였다.
“이웃에서 수빙(修聘)하는 것은 예가 진실로 당연하나, 다만 바다가 멀리 막히고 풍파가 험함으로 인연하여, 일찍이 한 사신을 보냈는데 중로에 바람을…
-
사정전에서 뇌영의 사자 수린에게 사물을 내리고 유시하다.
사정전(思政殿)에 나아가서 상참을 받았다. 하동군 정인지(鄭麟趾)·봉원군 정창손(鄭昌孫)·고령군 신숙주(申叔舟)·좌의정 황수신(黃守身)·우의정 박원형(朴元亨)·좌찬성 최항(崔恒)·우찬성 조석문(曹錫文)·병조판서 김국광(金國光)·이조판서 한계희(韓繼禧)·호조판서…
-
일본국 원의 ․ 성구 ․ 등원위행 ․ 중조 등이 토물을 바치다.
일본국 상송포(上松浦) 나구야능등수(那久野能登守) 뇌영(賴永)과 비전주(肥前州) 송포(松浦) 지좌(志佐) 일기태수(一岐太守) 원의(源義), 번마주(幡摩州) 일향태수(日向太守) 성구(盛久), 관서로(關西路) 비후주수(肥後州守) 국지(菊池) 등원위행(藤原爲幸), …
-
일본국 뇌영 ․ 신중 등이 사람을 보내 토물을 바치다.
일본국 상송포(上松浦) 나구야(那久野) 능등수(能登守) 뇌영(賴永)과 축전주(筑前州) 냉천진(冷泉津) 등씨평좌위문위신중(藤氏平左衛門尉信重) 등이 사람을 보내어 와서 토물을 바쳤다.
-
일본국 오도, 비전주 등지에서 토물을 바치다.
일본국 오도저도주(五島鴡島主) 원번(源繁), 비전주(肥前州) 하송포(下松浦) 오도우구수(五島宇久守) 원승(源勝), 일기태수(一岐太守) 원의(源義), 상송포(上松浦) 좌지(佐志) 원차랑(源次郞), 나구야능등수(那久野能登守) 뇌영(賴永), 서해로(西海路) 축전주(…
-
일본국 살마주 도진 등원지구 등이 토의를 바치다.
일본국 살마주(薩摩州) 도진(島津) 등원지구(藤原持久), 비전주(肥前州) 전평우진(田平寓鎭) 탄정소필홍(彈正少弼弘), 상송포(上松浦) 나구야(那久野) 능등수(能登守) 뇌영(賴永), 보천사주지(寶泉寺住持) 원우위(源祐位), 대마주태수(對馬州太守) 종정국(宗貞國)…
-
일본국 상송포 나구야 능등수 뇌영과 대마주에서 토물을 바치다.
일본국 상송포(上松浦) 나구야(那久野) 능등수(能登守) 뇌영(賴永)과 대마주(對馬州) 종언칠정수(宗彦七貞秀)가 사람을 보내어 와서 토물을 바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