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MKSDB / DB / 한일관계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Historical Materials

Article 19,598 Korean Studies Content 453 View with Viewer
Sort
By most recent record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4년 (1422)
    일본의 원의준 ․ 등원뢰 ․ 원성 등이 토의를 바치다.
    일본의 원의준(源義俊)․등원뢰(藤源賴)․원성(源省) 등이 각기 사람을 보내어 토의를 바치므로, 〈그들에게〉 면포를 차등이 있게 내려 주었다.
    #일본 #원의준 #등원뢰 #원성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4년 (1422)
    일본의 원의준이 토의를 바치다.
    일본 구주총관(九州摠管) 원의준(源義俊)이 사람을 보내어 토의를 바치고, 대마도 왜인을 보내 줄 것을 청하였다.
    #일본 #구주총관 #원의준 #대마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4년 (1422)
    원도진과 평만경이 방물을 바치고 포로 송환을 요구하다.
    일본 전 구주도원수(九州都元帥) 원도진(原道鎭)이 사람을 보내어 조문하고, 방물을 바치고 대마도 왜인의 포로를 돌려보내기를 청하였다. 예조판서가 그 서계에 답하기를, “만일 종언륙(宗彦六)이 정성을 다하여 조공하면 청하는 바를 들어주리라.” …
    #일본 #구주도원수 #대마도 #종언륙 #축주부 #평만경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4년 (1422)
    구주절도사 원의준이 방물을 바치고 억류민 송환을 요구하다.
    일본 구주절도사(九州節度使) 원의준(源義俊)이 사신을 보내어 방물을 바치고, 억류되어 있는 대마도 사람을 돌려보내 달라고 청하였다.
    #일본 #구주절도사 #원의준 #대마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4년 (1422)
    일본 도영 ․ 평만경 ․ 웅수 ․ 평민소조천 ․ 입도상가 등이 방물을 바치다.
    일본 일기주(一岐州) 상만호(上萬戶) 도영(道永)과 민부소보(民部少輔) 평만경(平滿景)․대마도 웅수(熊壽)․구주 상사(上使) 평민소조천(平民少早川)․미작주전사(美作州前司) 입도상가(入道尙嘉) 등이 사신을 보내어 방물을 바쳤다.
    #일본 #일기주 #상만호 #도영 #민부소보 #평만경 #대마도 #웅수 #구주 #상사 #평민소조천 #미작주전사 #입도상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4년 (1422)
    왜인이 토의를 바치고 ≪대장경≫을 청구하다.
    일본의 구주도원수(九州都元帥) 원의준(源義俊)이 본국 황태후의 명령으로 3사람을 보내어 토의를 바치고, 더불어 ≪대장경≫을 청구하였다.
    #일본 #구주도원수 #원의준 #대장경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4년 (1422)
    예조에서 일본에 보내는 회례사 일에 대해 아뢰다.
    예조에서 계하기를, “일본에 보내는 회례사(回禮使)는 도상에서는 흰색의 관복을 입되, 가서 그 나라 국왕을 볼 때에는 길복을 입게 할까 하나이다.” 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옳지 않다. 황제의 처소에서는 길복…
    #일본 #회례사 #삼의정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4년 (1422)
    구주총관 원의준이 토의를 바치다.
    일본의 구주총관(九州摠官) 원의준(源義俊)이 사람을 보내어 토의를 바쳤다.
    #일본 #원의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4년 (1422)
    구주총관이 사람을 보내 토의를 바치다.
    일본 구주총관(九州摠官) 원의준(源義俊)이 사람을 보내어 토의를 바쳤다.
    #일본 #원의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5년 (1426)
    판한성부사 최용소에게 제를 내리다.
    돌아간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최용소(崔龍蘇)에게 제를 내렸는데, 그 제문에 왕이 말하기를, “신하로서 임금께 몸을 바치매, 절개가 험난하고 평탄함을 따라서 변하지 않고, 임금은 공로를 생각하매, 은혜가 처음부터 끝까지 돈독하였도다. 이것은 고금의 공통…
    #최용소 #일본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2345678910Next PageLast Page총 1,627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