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문종
    문종 원년(1047) 정해년
    문종 원년(1047) 정해년
    봄 정월 병술일. 왕이, “갑신(甲申)년(정종 10, 1044)에 적이 동북로(東北路)를 침구해 왔을 때, 군사(軍士) 이섬한(李暹漢) 등 40명이 선봉에 서서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하니 각자 차등을 두어 상과 관직을 내리라.”고 지시했다. …
    #이섬한 #중추원사 #임유간 #임양개 #윤경회 #외리 #사재경 #노우 #지동북면병마사 #형부시랑 #삼사부사 #이인정 #서북면병마부사 #서북로병마사 #양대춘 #연주방어사 #장리 #군민 #방어부사 #소현 #상서이부 #연등회 #봉은사 #충순군절도사 #소신미 #수전중소감 #강화성 #도병마사 #아두간 #거란 #고지문 #외제석원 #일식 #어사대 #춘관정 #유팽 #태사승 #유득소 #건덕전 #반야도량 #봉국장군 #사이라 #귀덕대장군 #문하시랑평장사 #황보영 #김녹숭 #야어해 #선정전 #최충 #문하시중 #김영기 #김원충 #내사시랑평장사 #박유인 #상서좌복야 #참지정사 #이자연 #이부상서 #수태위 #이응보 #개부의동삼사 #정전 #태묘 #체제 #무신 #고열 #수사공 #하흥휴 #수공부상서 #회경전 #백좌인왕도량 #구정 #김정신 #아가주 #평원대장군 #오어내 #큰 비 #문하성 #대상 #오불차 #현화사 #시중 #왕사 #결응 #국사 #문덕전 #영새장군 #노도 #귀덕장군 #야사로 #회화장군 #고무저 #사이불 #왕륜사 #수사도 #장극맹 #음직 #장연현 #문한 #상서형부 #현령 #최덕원 #현위 #최숭망 #예부상서 #이수화 #서북면추동번병마사 #병부시랑 #박종도 #동북면병마부사 #최유선 #어사잡단 #김의진 #전중시어사 #왕총지 #서북면중군사 #행영병마사 #이희로 #홍덕위 #감찰어사 #위위주부 #서경의 #금강도량 #유원장군 #무이로 #아두 #몽라고촌 #앙과지촌 #보제사 #임기 #복주관내관찰사 #송린 #마한 #권지고려국왕사 #왕휘 #일관봉 #환공 #문공 #위청 #곽거병 #좌상 #삼사 #문왕 #강태공 #고조 #수태보 #상주국 #광시치리갈절공신 #고도달 #몽라촌 #진주목사 #최복규 #마지 #고사 #순변관사 #이단 #연덕궁비 #왕휴 #다방 #태의소감 #김징악 #호부상서 #박성걸 #서북면행영병마사 #야고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문종
    문종 원년(1047) 정해년
    문종 원년(1047) 정해년
    元年 春正月 丙戌 制曰, “頃於甲申歲, 寇賊侵掠東北路, 軍士李暹漢等四十人, 先鋒告捷, 其各賞職有差.” 丁亥 制曰, “卒中樞院使林維幹, 忠貞輔弼, 績效實多, 宜行異數, 可授其子良槩八品職.” 丁酉 制曰, “諸州府郡縣, 逐年盛設輪經會, 慮外吏憑此聚斂 斂 『고려사』 …
    #이섬한 #중추원사 #임유간 #임양개 #윤경회 #외리 #사재경 #노우 #지동북면병마사 #형부시랑 #삼사부사 #이인정 #서북면병마부사 #서북로병마사 #양대춘 #연주방어사 #장리 #군민 #방어부사 #소현 #상서이부 #연등회 #봉은사 #충순군절도사 #소신미 #수전중소감 #강화성 #도병마사 #아두간 #거란 #고지문 #외제석원 #일식 #어사대 #춘관정 #유팽 #태사승 #유득소 #건덕전 #반야도량 #봉국장군 #사이라 #귀덕대장군 #문하시랑평장사 #황보영 #김녹숭 #야어해 #선정전 #최충 #문하시중 #김영기 #김원충 #내사시랑평장사 #박유인 #상서좌복야 #참지정사 #이자연 #이부상서 #수태위 #이응보 #개부의동삼사 #정전 #태묘 #체제 #무신 #고열 #수사공 #하흥휴 #수공부상서 #회경전 #백좌인왕도량 #구정 #김정신 #아가주 #평원대장군 #오어내 #큰 비 #문하성 #대상 #오불차 #현화사 #시중 #왕사 #결응 #국사 #문덕전 #영새장군 #노도 #귀덕장군 #야사로 #회화장군 #고무저 #사이불 #왕륜사 #수사도 #장극맹 #음직 #장연현 #문한 #상서형부 #현령 #최덕원 #현위 #최숭망 #예부상서 #이수화 #서북면추동번병마사 #병부시랑 #박종도 #동북면병마부사 #최유선 #어사잡단 #김의진 #전중시어사 #왕총지 #서북면중군사 #행영병마사 #이희로 #홍덕위 #감찰어사 #위위주부 #서경의 #금강도량 #유원장군 #무이로 #아두 #몽라고촌 #앙과지촌 #보제사 #임기 #복주관내관찰사 #송린 #마한 #권지고려국왕사 #왕휘 #일관봉 #환공 #문공 #위청 #곽거병 #좌상 #삼사 #문왕 #강태공 #고조 #수태보 #상주국 #광시치리갈절공신 #고도달 #몽라촌 #진주목사 #최복규 #마지 #고사 #순변관사 #이단 #연덕궁비 #왕휴 #다방 #태의소감 #김징악 #호부상서 #박성걸 #서북면행영병마사 #야고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최언위(崔彦撝)
    최언위崔彦撝
    최언위(崔彦撝) 최언위(868~944) 경주 최씨(慶州崔氏)로, 당나라 빈공과(賓貢科)에 급제한 후 귀국하여 신라에서 벼슬하다가 고려 태조 18년(935) 경순왕과 함께 고려에 귀부하여 문한직(文翰職)을 역임하였다. 원봉성(元鳳省) 학생으로 들어 온 최승로(崔…
    #최언위 #최신지 #경주 #신라 #당나라 #예부시랑 #설정규 #발해 #재상 #오소도 #오광찬 #이동 #집사성시랑 #서서원학사 #태조 #태자사부 #문한 #대상 #원봉태학사 #한림원령 #평장사 #정광 #문영 #최광윤 #최행귀 #최광원 #최행종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최자(崔滋)
    최자崔滋
    최자(崔滋) 최자(1188~1260) 복야(僕射)를 지낸 해주 최씨(海州崔氏) 최민(崔敏)의 아들로, 강종 때 과거에 급제한 후 상주사록(尙州司錄)을 거쳐 고종 때까지 평장사(平章事)․판이부사(判吏部事)를 역임한 문신관료이다.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지낸 정안 …
    #최자 #수덕 #최종유 #최안 #문헌공 #최충 #급제 #상주사록 #국학학유 #최이 #이규보 #문한 #김구 #이수 #이백순 #하천단 #이함 #임경숙 #정언 #상주목사 #안찰사 #전중소감 #보문각대제 #충청도 #전라도 #국자대사성 #지어사대사 #상서우복야 #한림학사승지 #추밀원부사 #중서평장사 #수태사 #문하시랑 #중서문하평장사 #판이부사 #몽고 #침략 #추밀원사 #김보정 #강도 #김준 #동산수 #문청 #가집 #속파한집 #최유후 #밀직부사 #문한학사 #최유부 #동경유수판관 #최유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윤선좌(尹宣佐)
    윤선좌尹宣佐
    윤선좌(尹宣佐) 윤선좌(1265~1343) 자는 순수(淳叟)로서, 삼한공신인 파평 윤씨 윤신달(尹莘達)의 후손이자 윤관(尹瓘)의 7대손이다. 5대조는 명종대 조위총의 난을 진압한 윤인첨(尹鱗瞻)이며, 고조는 판예빈성사 윤종해(尹宗海), 증조는 내고부사 윤세방(…
    #윤선좌 #시중 #윤관 #충렬왕 #김해장서기 #비서랑 #직문한서 #충선왕 #좌정언 #우사보 #내서사인 #선부의랑 #전라도 #안찰사 #도진령 #충숙왕 #성균좨주 #감찰집의 #윤신걸 #백원항 #자치통감 #왕호 #영종 #권한공 #채홍철 #민지 #조호 #원나라 #자운사 #중서성 #대간 #문한 #헌사 #찰관 #조관 #판전교 #민부전서 #한양윤 #용산 #윤부윤 #충혜왕 #계림윤 #첨의평리 #예문관대제학 #감춘추관사 #윤찬 #노장형명 #윤체 #윤음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최언위(崔彦撝)
    최언위崔彦撝
    崔彦撝, 初名愼之, 慶州人. 性寬厚, 自少能文. 新羅末, 年十八, 游學入唐, 禮部侍郞薛廷珪下及第. 時浡海宰相烏炤度子光贊, 同年及第. 炤度朝唐, 見其子名在彦撝下, 表請曰, “臣昔年入朝登第, 名在李同之上, 今臣子光贊宜升彦撝之上.” 以彦撝才學優贍, 不許. 年四十二,…
    #최언위 #최신지 #경주 #신라 #당나라 #예부시랑 #설정규 #발해 #재상 #오소도 #오광찬 #이동 #집사성시랑 #서서원학사 #태조 #태자사부 #문한 #대상 #원봉태학사 #한림원령 #평장사 #정광 #문영 #최광윤 #최행귀 #최광원 #최행종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최자(崔滋)
    최자崔滋
    崔滋, 字樹德, 初名宗裕, 又名安, 文憲公冲之後. 天資淳訥, 不以表表爲能, 少力學, 能屬文. 康宗朝登第, 補尙州司錄, 以政最聞, 入補國學學諭. 崔怡品題朝士, 以文吏俱優者爲第一, 文而不能吏次之, 吏而不能文又次之, 文吏俱不能爲下, 皆手䟽屛風. 每當銓注, 輒考閱之,…
    #최자 #수덕 #최종유 #최안 #문헌공 #최충 #급제 #상주사록 #국학학유 #최이 #이규보 #문한 #김구 #이수 #이백순 #하천단 #이함 #임경숙 #정언 #상주목사 #안찰사 #전중소감 #보문각대제 #충청도 #전라도 #국자대사성 #지어사대사 #상서우복야 #한림학사승지 #추밀원부사 #중서평장사 #수태사 #문하시랑 #중서문하평장사 #판이부사 #몽고 #침략 #추밀원사 #김보정 #강도 #김준 #동산수 #문청 #가집 #속파한집 #최유후 #밀직부사 #문한학사 #최유부 #동경유수판관 #최유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윤선좌(尹宣佐)
    윤선좌尹宣佐
    尹宣佐, 字淳叟, 侍中瓘七世孫. 生而穎異, 七歲能屬文, 忠烈朝, 擢魁科, 由金海掌書記, 入補秘書郞直文翰署. 忠宣初, 授左正言, 再轉右思補, 累遷內書舍人選部議郞. 按全羅道, 以剛直聞, 陞都津令. 忠肅素聞其名, 及卽位, 授成均祭酒, 命掌符印, 在左右. 轉監察執義,…
    #윤선좌 #시중 #윤관 #충렬왕 #김해장서기 #비서랑 #직문한서 #충선왕 #좌정언 #우사보 #내서사인 #선부의랑 #전라도 #안찰사 #도진령 #충숙왕 #성균좨주 #감찰집의 #윤신걸 #백원항 #자치통감 #왕호 #영종 #권한공 #채홍철 #민지 #조호 #원나라 #자운사 #중서성 #대간 #문한 #헌사 #찰관 #조관 #판전교 #민부전서 #한양윤 #용산 #윤부윤 #충혜왕 #계림윤 #첨의평리 #예문관대제학 #감춘추관사 #윤찬 #노장형명 #윤체 #윤음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형법지(刑法志)
    대악(大惡)
    대악大惡
    ○ 주친(周親)(期親)의 손위 어른[尊長]이나 외조부모나 시부모 및 처부모를 살해하려고 모의했다면 미수에 그쳤다 하더라도 참형에 처한다. 처한다 이 규정은 『당률소의(唐律疏議)』 권17, 적도 6, 모살기친존장(謀殺期親尊長)조의 “諸謀殺期親尊長․外祖父母․夫․夫…
    #도사 #여관 #여승 #도형 #유형 #교수형 #참형 #시마친 #유배 #상해죄 #시마 #장형 #태형 #10악 #불목죄 #유배죄 #사형죄 #장연현 #문한 #상서형부 #현령 #최덕원 #현위 #최숭망 #주부 #이경택 #어사대 #사형 #안산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형법지(刑法志)
    대악(大惡)
    대악大惡
    謀殺周親尊長․外祖父母․夫婦之父母, 雖未傷, 斬. 道士․女冠․僧尼, 謀殺師主, 同叔伯父母. 謀殺周親卑幼, 徒二年半, 已傷, 三年, 已殺, 流三千里. 有所規求謀殺, 加一等. …
    #도사 #여관 #여승 #도형 #유형 #교수형 #참형 #시마친 #유배 #상해죄 #시마 #장형 #태형 #10악 #불목죄 #유배죄 #사형죄 #장연현 #문한 #상서형부 #현령 #최덕원 #현위 #최숭망 #주부 #이경택 #어사대 #사형 #안산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Next PageLast Page총 10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