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종문종 3년(1049) 기축년문종 3년(1049) 기축년3년 봄 정월 을사일. 동여진(東女眞) 사람 아골(阿骨) 등 32명이 와서 좋은 말을 바쳤다. ○ 거란이 소유덕(蕭惟德)과 왕수도(王守道)를 보내 왕을 책봉했다. 그 조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경은 왕의 봉작을 세습해 조상…#아골 #소유덕 #왕수도 #정사 #천우위 #부사 #어사대부 #광시치리갈절공신 #개부의동삼사 #수태보 #상주국 #고려국왕 #왕휘 #옥조 #발해 #곤륜산 #상장군 #수태부 #중서령 #최충 #이자연 #수사도 #왕총지 #수사공 #정걸 #동지중추원사 #채충현 #예부상서 #최연하 #양감 #수태사 #내사령 #동북로감창사 #교주방어판관 #이유백 #연성군 #장양군 #상서이부 #상서우복야 #최보성 #사재경 #조옹 #태자첨사 #이택성 #합문 #정아문 #구정 #위정 #위숭 #섭호부상서 #오연 #섭공부상서 #거란 #봉주 #희달 #마리해 #이인정 #상서좌복야 #주국 #김정준 #중추원사 #판어사대사 #비서감 #지중추원사 #김원정 #예빈경 #부거 #봉국장군 #사이라 #평장사 #문덕전 #복시 #박인수 #임도현 #동북로병마사 #운암현 #절충군 #대정 #유고 #복야 #상서 #경 #감 #대장군 #금양현 #태주 #서찬 #천주 #왕이종 #연덕궁비 #왕증 #탐라국 #진위교위 #부을잉 #동남해선병도부서사 #대마도 #명임 #김효 #금주 #전중소감 #마우
-
문종문종 3년(1049) 기축년문종 3년(1049) 기축년三年 春正月 乙巳 東女眞阿骨等三十二人來, 獻駿馬. 契丹遣蕭惟德․王守道, 來冊王. 詔曰, “卿纘襲王封, 紹興祖業, 飛章雙闕, 嘉織篚之聿修. 考禮曲臺, 宜冊函之顯錫, 兼申頒賜, 用示眷懷. 今差使千牛衛上將軍蕭惟德, 副使 副使 『고려사』 모든 판본의 원문이 ‘사부(使…#아골 #소유덕 #왕수도 #정사 #천우위 #부사 #어사대부 #광시치리갈절공신 #개부의동삼사 #수태보 #상주국 #고려국왕 #왕휘 #옥조 #발해 #곤륜산 #상장군 #수태부 #중서령 #최충 #이자연 #수사도 #왕총지 #수사공 #정걸 #동지중추원사 #채충현 #예부상서 #최연하 #양감 #수태사 #내사령 #동북로감창사 #교주방어판관 #이유백 #연성군 #장양군 #상서이부 #상서우복야 #최보성 #사재경 #조옹 #태자첨사 #이택성 #합문 #정아문 #구정 #위정 #위숭 #섭호부상서 #오연 #섭공부상서 #거란 #봉주 #희달 #마리해 #이인정 #상서좌복야 #주국 #김정준 #중추원사 #판어사대사 #비서감 #지중추원사 #김원정 #예빈경 #부거 #봉국장군 #사이라 #평장사 #문덕전 #복시 #박인수 #임도현 #동북로병마사 #운암현 #절충군 #대정 #유고 #복야 #상서 #경 #감 #대장군 #금양현 #태주 #서찬 #천주 #왕이종 #연덕궁비 #왕증 #탐라국 #진위교위 #부을잉 #동남해선병도부서사 #대마도 #명임 #김효 #금주 #전중소감 #마우
-
식화지(食貨志)농상(農桑)농상農桑농사와 양잠은 의식(衣食)의 근본으로 정치에서 가장 우선해야 할 사항이다. 태조께서 즉위하신 초기에 먼저 온 나라에 조서를 내려 3년 동안 전조(田租)를 면제해 주시고 농사와 양잠을 권장했으며, 민들과 더불어 한 숨을 돌리시었다. 성종 5년(…#태조 #전조 #12목 #주 #진 #수령 #목사 #서북면 #홍범 #금기방 #잡직방 #갑방 #강남 #도병마사 #흥화진 #우산국 #동북여진 #이원구 #동주 #수안 #곡주 #상산 #협계 #잠주 #신은 #거란 #개경 #정호 #백정 #백성 #어사대 #입춘 #안찰사 #문하성 #서북로병마사 #양대춘 #연주방어사 #장리 #군민 #방어부사 #소현 #이부 #동북로감창사 #교주방어사 #판관 #이유백 #연성 #장양 #동북로병마사 #영흥진 #군인 #성후 #상사직장 #정작염 #서경 #권농사 #둔전 #궁원전 #조가전 #군인전 #양호 #전호 #수양도감 #뽕나무 #밤나무 #옷나무 #닥나무 #7도 #감창사 #제서 #배나무 #대추나무 #민희 #경상주도 #손습경 #전라주도 #송국첨 #충청주도 #순문사 #산성 #조부 #기인 #휴한지 #권무 #정부 #제포 #와포 #좌둔전 #이포 #초포 #우둔전 #신흥창 #백은 #농무별감 #황주 #봉주 #원나라 #홍다구 #농무도감 #충청도 #서해도 #감찰사 #김상 #낭장 #김양수 #충선왕 #밀직제학 #백문보 #강회 #계수관 #직파 #이앙 #안렴사
-
식화지(食貨志)농상(農桑)농상農桑農桑衣食之本, 王政所先. 太祖卽位之初, 首詔境內, 放三年田租, 勸課農桑, 與民休息. 成宗五年五月 敎曰, “國以民爲本, 民以食爲天, 若欲懷萬姓之心, 惟不奪三農之務. 咨! 爾十二牧․諸州鎭使, 自今至秋, 並…#태조 #전조 #12목 #주 #진 #수령 #목사 #서북면 #홍범 #금기방 #잡직방 #갑방 #강남 #도병마사 #흥화진 #우산국 #동북여진 #이원구 #동주 #수안 #곡주 #상산 #협계 #잠주 #신은 #거란 #개경 #정호 #백정 #백성 #어사대 #입춘 #안찰사 #문하성 #서북로병마사 #양대춘 #연주방어사 #장리 #군민 #방어부사 #소현 #이부 #동북로감창사 #교주방어사 #판관 #이유백 #연성 #장양 #동북로병마사 #영흥진 #군인 #성후 #상사직장 #정작염 #서경 #권농사 #둔전 #궁원전 #조가전 #군인전 #양호 #전호 #수양도감 #뽕나무 #밤나무 #옷나무 #닥나무 #7도 #감창사 #제서 #배나무 #대추나무 #민희 #경상주도 #손습경 #전라주도 #송국첨 #충청주도 #순문사 #산성 #조부 #기인 #휴한지 #권무 #정부 #제포 #와포 #좌둔전 #이포 #초포 #우둔전 #신흥창 #백은 #농무별감 #황주 #봉주 #원나라 #홍다구 #농무도감 #충청도 #서해도 #감찰사 #김상 #낭장 #김양수 #충선왕 #밀직제학 #백문보 #강회 #계수관 #직파 #이앙 #안렴사
-
문종 3년(1049) 기축년3년 봄 정월 을사일. 동여진(東女眞) 사람 아골(阿骨) 등 32명이 와서 좋은 말을 바쳤다. ○ 거란이 소유덕(蕭惟德)과 왕수도(王守道)를 보내 왕을 책봉했다. 그 조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경은 왕의 봉작을 세습해 조상…
-
문종 3년(1049) 기축년三年 春正月 乙巳 東女眞阿骨等三十二人來, 獻駿馬. 契丹遣蕭惟德․王守道, 來冊王. 詔曰, “卿纘襲王封, 紹興祖業, 飛章雙闕, 嘉織篚之聿修. 考禮曲臺, 宜冊函之顯錫, 兼申頒賜, 用示眷懷. 今差使千牛衛上將軍蕭惟德, 副使 副使 『고려사』 모든 판본의 원문이 ‘사부(使…
-
농상農桑농사와 양잠은 의식(衣食)의 근본으로 정치에서 가장 우선해야 할 사항이다. 태조께서 즉위하신 초기에 먼저 온 나라에 조서를 내려 3년 동안 전조(田租)를 면제해 주시고 농사와 양잠을 권장했으며, 민들과 더불어 한 숨을 돌리시었다. 성종 5년(…
-
농상農桑農桑衣食之本, 王政所先. 太祖卽位之初, 首詔境內, 放三年田租, 勸課農桑, 與民休息. 成宗五年五月 敎曰, “國以民爲本, 民以食爲天, 若欲懷萬姓之心, 惟不奪三農之務. 咨! 爾十二牧․諸州鎭使, 自今至秋, 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