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현종
    현종 9년(1018) 무오년
    현종 9년(1018) 무오년
    9년 봄 정월 초하루 을미일. 태조의 새 영정이 완성되자 사자를 서경(西京)으로 보내 성용전(聖容殿) 성용전 고려시대 서경(西京)에 있었던 전각이다. 현종 9년(1018)에 왕이 태조의 초상(肖像)을 새로 만들었기에 사신을 보내어 태조를 제사하였다는 …
    #태조 #서경 #성용전 #미알달 #정안국 #골수 #서율불 #아주 #해군 #노군 #교위 #선두 #능거 #거이 #예기 #노전 #중추원부사 #상호군 #노어 #문하성 #용천교위 #박명금 #마문 #마알달 #장정 #송광습 #이개 #정충절 #김승위 #병부상서 #아리고 #흰 기운이 해를 꿰뚫었다 #원정왕후 #현덕궁 #개경 #구타라 #거일 #목사 #목개 #아려대 #강남 #왕숙자 #개국사 #사리 #사부 #우나 #특오 #이불 #강감찬 #서경유수 #내사시랑평장사 #양진 #예부상서 #중추원사 #이공 #한림학사승지 #서눌 #좌간의대부 #좌윤 #강윤봉 #서북계 #명충 #황정 #타억 #실불 #채충순 #이부상서 #참지정사 #가을불 #좌․우상시 #대자은현화사 #혜성 #이골이 #제모 #병부 #장군 #양악 #중랑장 #함진 #구정 #초제 #연경원 #왕형 #제위원 #오두주 #진함조 #호부상서 #주덕명 #공부상서 #김심언 #이우불 #윤징고 #상서우복야 #김노현 #귀주 #서북면행영도통사 #수창궁 #염지거 #이나 #서을나 #예빈소경 #원영 #거란 #천희 #정전 #전인보 #상서좌복야 #한빈경 #시강학사 #우산국 #이원구 #아차 #오을불 #왕수 #소손녕 #침략 #평장사 #상원수 #대장군 #강민첨 #부원수 #흥화진 #자주 #부아산 #향림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충목왕
    충목왕 3년(1347) 정해년
    충목왕 3년(1347) 정해년
    봄 3월 초하루 갑진일. 일식이 있었는데도 일관(日官)이 보고하지 않았다. 정사일. 원나라 사신 바이쿠룩[白狗兒]이 황제의 지시를 가지고 오자 왕이 도성 밖까지 마중 나갔다. 경진일. 태백성이 낮에 나타났다. 정묘일. 원나라…
    #일관 #바이쿠룩 #정승 #노책 #전윤장 #교주도 도순문사 #쌍성 #윤지표 #서북면존무사 #아탄부카 #봉은사 #계림군공 #왕후 #좌정승 #김영돈 #찬성사 #안축 #판밀직사사 #김광철 #판사 #정연 #속관 #김규 #양광도 #이원구 #김영리 #전라도 #남궁민 #이배중 #경상도 #박광후 #최원우 #서해도 #평양 #김군발 #강릉 #곽균 #교주도 #민전 #안렴존무사 #이군해 #우대언 #정사도 #정방 #제조 #원나라 #외제석원 #기삼만 #정치도감 #금주령 #민천사 #안자유 #모시베 #중서성 #우리부카 #원사 #고용보 #금강산 #태묘 #감찰사 #염제신 #기양도량 #남산 #아루 #초 #태복시 #이가노테무르 #안바얀부카 #탐라 #강안전 #장경도량 #호강 #전장 #이문소 #밀성부사 #이손경 #여흥부사 #이몽정 #서주부사 #조동휘 #김용겸 #서북면 도순문사 #영보도량 #해아도감 #왕서 #직성사인 #승가노 #정치관 #백문보 #신군평 #전성안 #하즙 #조신옥 #김달상 #노중부 #이천백 #허식 #이승윤 #안극인 #정광도 #오경 #서호 #전녹생 #대호군 #이수산 #영도첨의사사 #강백 #강윤충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현종
    현종 9년(1018) 무오년
    현종 9년(1018) 무오년
    九年 春正月 乙未朔 遣使西京, 祭太祖于聖容殿, 以重新肖像也. 丙申 西女眞未閼達等七人來, 獻甲鍪及馬. 定安國人骨須來犇. 庚子 宰臣率百官上表, “請還御正殿, 復常膳.” 不允. 壬子 東女眞鋤栗弗, 西女眞阿主等四十餘人來, 獻馬及甲鍪․旗幟․貂鼠․靑鼠皮. 戊牛 群臣累請復…
    #태조 #서경 #성용전 #미알달 #정안국 #골수 #서율불 #아주 #해군 #노군 #교위 #선두 #능거 #거이 #예기 #노전 #중추원부사 #상호군 #노어 #문하성 #용천교위 #박명금 #마문 #마알달 #장정 #송광습 #이개 #정충절 #김승위 #병부상서 #아리고 #흰 기운이 해를 꿰뚫었다 #원정왕후 #현덕궁 #개경 #구타라 #거일 #목사 #목개 #아려대 #강남 #왕숙자 #개국사 #사리 #사부 #우나 #특오 #이불 #강감찬 #서경유수 #내사시랑평장사 #양진 #예부상서 #중추원사 #이공 #한림학사승지 #서눌 #좌간의대부 #좌윤 #강윤봉 #서북계 #명충 #황정 #타억 #실불 #채충순 #이부상서 #참지정사 #가을불 #좌․우상시 #대자은현화사 #혜성 #이골이 #제모 #병부 #장군 #양악 #중랑장 #함진 #구정 #초제 #연경원 #왕형 #제위원 #오두주 #진함조 #호부상서 #주덕명 #공부상서 #김심언 #이우불 #윤징고 #상서우복야 #김노현 #귀주 #서북면행영도통사 #수창궁 #염지거 #이나 #서을나 #예빈소경 #원영 #거란 #천희 #정전 #전인보 #상서좌복야 #한빈경 #시강학사 #우산국 #이원구 #아차 #오을불 #왕수 #소손녕 #침략 #평장사 #상원수 #대장군 #강민첨 #부원수 #흥화진 #자주 #부아산 #향림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충목왕
    충목왕 3년(1347) 정해년
    충목왕 3년(1347) 정해년
    三年 春正月 甲辰朔 日食, 日官不告. 丁巳 元使白狗兒, 奉聖旨來, 王出迎于郊. 庚申 太白晝見. 丁卯 元遣人, 取政丞盧𩑠二女以歸. 壬申 以同知密直司事全允臧爲交州道都巡問使, 令檢括雙城人口. 二月 丙子 以平壤尹尹之彪爲西北面存撫使. 庚辰 盜入太廟. …
    #일관 #바이쿠룩 #정승 #노책 #전윤장 #교주도 도순문사 #쌍성 #윤지표 #서북면존무사 #아탄부카 #봉은사 #계림군공 #왕후 #좌정승 #김영돈 #찬성사 #안축 #판밀직사사 #김광철 #판사 #정연 #속관 #김규 #양광도 #이원구 #김영리 #전라도 #남궁민 #이배중 #경상도 #박광후 #최원우 #서해도 #평양 #김군발 #강릉 #곽균 #교주도 #민전 #안렴존무사 #이군해 #우대언 #정사도 #정방 #제조 #원나라 #외제석원 #기삼만 #정치도감 #금주령 #민천사 #안자유 #모시베 #중서성 #우리부카 #원사 #고용보 #금강산 #태묘 #감찰사 #염제신 #기양도량 #남산 #아루 #초 #태복시 #이가노테무르 #안바얀부카 #탐라 #강안전 #장경도량 #호강 #전장 #이문소 #밀성부사 #이손경 #여흥부사 #이몽정 #서주부사 #조동휘 #김용겸 #서북면 도순문사 #영보도량 #해아도감 #왕서 #직성사인 #승가노 #정치관 #백문보 #신군평 #전성안 #하즙 #조신옥 #김달상 #노중부 #이천백 #허식 #이승윤 #안극인 #정광도 #오경 #서호 #전녹생 #대호군 #이수산 #영도첨의사사 #강백 #강윤충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양규(楊規)
    양규楊規
    양규(楊規)는 목종 때의 관리로 여러 차례 승진하여 형부낭중(刑部郎中)이 되었다. 현종 원년(1010)에 거란 임금이 스스로 군사를 거느리고 와서 강조(康兆)를 치고 흥화진(興化鎭)(지금의 평안북도 의주군 위원․피현군 백마)을 포위하자, 양규가 도순검사(都巡檢…
    #양규 #형부낭중 #강조 #흥화진 #도순검사 #흥화진사 #호부낭중 #정성 #흥화진부사 #장작주부 #이수화 #판관 #늠희령 #장호 #거란 #통주 #왕송 #개경 #비단옷 #은그릇 등속 #인주 #무로대 #동산 #통주성 #행영도통부사 #이현운 #행영도통판관 #노전 #감찰어사 #노의 #양경 #이성좌 #행영도병마부사 #노정 #사재승 #서숭 #주부 #노제 #장군 #김훈 #김계부 #이원 #신녕한 #완항령 #합문사 #마수 #중랑장 #최질 #홍숙 #방어사 #이원구 #부사 #최탁 #대장군 #채온겸 #시거운 #곽주 #호부원외랑 #조성유 #행영수제관 #승리인 #대회덕 #공부낭중 #이용지 #예부낭중 #간영언 #귀주별장 #김숙흥 #보량 #이수 #석령 #여리참 #애전 #압록강 #말 #낙타 #병장기 #공부상서 #홍씨 #양대춘 #교서랑 #공신녹권 #삼한후벽상공신 #문종 #대중상부 #서북면 도순검사 #부지휘 #공신각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왕후(王煦)
    왕후王煦
    왕후(王煦) 왕후(1296~1349)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증조는 한림학사(翰林學士) 권위(權韙)이고, 조부는 권단(權㫜)이다. 부친은 권보(權溥)이고, 모친은 문화 유씨(文化柳氏) 유승(柳陞)의 딸이며, 5남 4녀 중 왕후는 4남이다. 맏형은 권준(權準)이…
    #왕후 #권재 #토군 #권보 #권준 #충선왕 #낭장 #삼사판관 #원나라 #사복부정 #사헌집의 #충숙왕 #삼중대광 #계림부원군 #부원대군 #쉬구치 #계림군공 #환관 #바얀퇴귀스 #토번 #임조 #충목왕 #첨의우정승 #전리사 #군부사 #녹과 #김영후 #좌정승 #김영돈 #우정승 #노책 #정치도감 #찬성사 #안축 #판밀직 #김광철 #판사 #정연 #김규 #속관 #안렴사 #양광도 #이천현 #공전 #정승 #채하중 #이문 #윤계종 #도감 #녹사 #안길상 #초 #기황후 #기삼만 #순군옥 #행성이문소 #좌랑 #서호 #교감 #전녹생 #첨의부 #하유원 #중서성 #우사도사 #우리부카 #동선역 #오경 #진영서 #안극인 #이원구 #전성안 #공부낭중 #아루 #형부낭중 #왕호유 #직성사인 #승가노 #정치관 #백문보 #영도첨의사사 #경성 #양광 #서해 #덕녕공주 #기철 #정동성 #이제현 #충정왕 #창의현 #요동부 #역리 #공민왕 #정헌 #왕중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이숭인(李崇仁)
    이숭인李崇仁
    이숭인(李崇仁) 이숭인(1347~1392) 본관은 성주(星州)이며 자(字)는 자안(子安), 호(號)는 도은(陶隱)이다. 증조는 밀직사사(密直司事)를 지낸 이백년(李百年)이며 조부는 평양윤(平壤尹)을 지낸 이인기(李麟起)이다. 부친은 성산군(星山君) 이원구(李元…
    #이숭인 #자안 #경산부 #과거 #숙옹부승 #장흥고사 #진덕박사 #명나라 #예의산랑 #예문응교 #문하사인 #전리총랑 #김구용 #정도전 #북원 #성균사성 #우사의대부 #서경 #헌사 #서연 #시경 #서운관 #수령 #양부 #대간 #육조 #안렴사 #삼원수 #병마사 #원수 #육도 도순찰사 #내시부 #중관 #왜구 #경기지역 #숭경부 #상서시 #흥복 #숭복 #전보 #도감 #진관 #첨관 #사첩 #당후관 #동반 #전리사 #서반 #군부사 #밀직제학 #정당문학 #정몽주 #동지밀직사사 #이인임 #통주 #유배 #첨서밀직사사 #이색 #김사안 #하정사 #예문관제학 #박천상 #하륜 #영흥군 #이차약 #이현 #우리 태조 #시중 #이림 #창왕 #간관 #구성우 #오사충 #남재 #심인봉 #이당 #임견미 #산기상시 #감시 #시관 #상시 #상호군 #요 #순 #시독 #대졸 #비서감 #박돈지 #박계양 #권근 #대성 #이원구 #공자 #형리 #박가흥 #중국 #사신 #지휘 #공민왕 #금은 #말 #베 #시강 #도평의사 #문하부사 #주공 #맹자 #광장 #불의 #대사헌 #조준 #부사 #백거마 #도평의사사 #문하부 #헌부 #통사 #송희정 #백금 #저마포 #채단 #견 #목면 #색실 #백인 #하 #은 #주 #예부 #중서성 #간원 #종묘 #팔관회 #연등회 #염흥방 #명륜당 #낭사 #우봉현 #기거사인 #맹사성 #우왕 #윤이 #이초 #옥사 #청주옥 #지밀직사사 #동지춘추관사 #고황제 #도은집 #이차점 #이차건 #이차참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반역(叛逆)
    신돈(辛旽)
    신돈辛旽
    신돈(辛旽)은 영산(靈山)(지금의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사람으로 그 어미는 계성현(桂城縣)(지금의 경상남도 창녕군 계성면) 옥천사(玉川寺) 옥천사 지금의 경상남도 창녕군 화왕산에 있었던 절로서 창건연대는 미상이다. 신돈(辛旽)의 어머니가 이 절의 종이었으나…
    #신돈 #영산 #계성현 #옥천사 #편조 #공민왕 #김원명 #이승경 #정세운 #밀직 #김란 #최영 #계림윤 #찬성사 #이인복 #조희고 #홍사범 #최맹손 #김보 #이춘부 #임군보 #박희 #찬성 #이구수 #평리 #양백익 #판밀직 #박춘 #예성군 #석문성 #환관 #부원군 #이영 #김수만 #상호군 #이득림 #순군경력 #오계남 #양천군 #허유 #전공판서 #변광수 #판사 #홍인계 #전리판서 #허서 #첨의평리 #김귀 #양제 #대호군 #이인수 #호군 #홍승로 #백현 #이원구 #왕안덕 #배인길 #수정이순논도섭리보세공신 #벽상삼한삼중대광 #영도첨의사사사 #판중방감찰사사 #취성부원군 #제조승록사사 #판서운관사 #재상 #영도첨의 #이공수 #시중 #경천흥 #판삼사사 #이수산 #송경 #한공의 #정당 #원송수 #동지밀직 #왕중귀 #총재 #대간 #기현 #응양군 #밀직제학 #이달충 #연등회 #간관 #정추 #이존오 #덕풍군 #왕의 #산기 #안극인 #정랑 #정우 #판관 #정양생 #목인길 #황상 #한방신 #안우상 #이금강 #지용수 #양백연 #김달상 #이운목 #장필례 #이선 #금위제조관 #재추 #광주 #천왕사 #왕륜사 #이인임 #천수사 #도당 #유탁 #고라리 #윤환 #전민변정도감 #역리 #도감 #개경 #장해 #낭장 #순군 #공경대부 #낙산사 #익비 #정비 #허강 #상락군 #김영후 #원나라 #영록대부 #집현전대학사 #문수회 #연복사 #수미산 #범패 #쿠치 #충용위 #달자 #부소산 #송도 #도선비기 #평양 #예의판서 #윤충좌 #전교령 #임박 #내서사인 #김린 #지제교 #김희 #감찰대부 #김한귀 #성균관 #이색 #숭문관 #문선왕 #선현 #천희 #강절 #달마 #불복장 #강안전 #사관 #윤소종 #부목 #걸철 #봉선사 #박보안 #삼재 #강석 #지도첨의 #오인택 #삼사우사 #안우경 #밀직부사 #판개성 #이희필 #한휘 #조린 #윤승순 #도선밀기 #판소부시사 #강원보 #판서 #신귀 #오영좌 #유인재 #한덕경 #전영귀 #박세원 #경상 #강릉도 #찰방사 #김정 #양광 #전라도 #고한우 #서해 #교주도 #찰방 #판대복사 #손용 #현풍 #곽의 #일본 #범탕 #행성 #지신사 #염흥방 #대위 #전라도 안렴 #헌부 #대관 #반주 #내시별감 #이제현 #예문관 #전교시 #이첨 #유숙 #김문현 #김군정 #김흥조 #조사공 #유사의 #김제안 #김구보 #이원림 #윤희종 #홍주목사 #정휘 #제학 #한천 #순군옥 #손연 #경상도 #홍영통 #수원도 #오도도사심관 #삼사 #충숙왕 #사심관 #오도도사심 #충주 #판사천감 #진영서 #팔관회 #의봉루 #석온 #보리군 #고인기 #판소부감사 #금강산 #명나라 #채색 비단 #육부 #대성 #권적 #화산대 #양청 #경대부 #최사원 #헌릉 #경릉 #선부의랑 #이인 #한림거사 #김속명 #순위부 #소윤 #정구한 #장군 #진윤검 #기중수 #한을송 #신수 #광명사 #승선 #권중화 #망룡의 #정릉 #두리쉬구치 #수원 #이성림 #이부 #헌사 #문하성 #중방 #도평의사 #체복사 #김규 #아지 #반야 #모니노 #우왕 #수원부사 #박동생 #상장군 #이미충 #민유의 #이지 #강성을 #이백수 #김두달 #김원만 #천정 #철관 #기중제 #기숙륜 #기중평 #임희재 #신순 #임세 #최진 #임인무 #임단 #김천보 #임계 #김횡 #허완 #승지 #김진 #이광부 #이원부 #김중원 #송란 #손주 #김안 #석란 #오중화 #민부상서 #성준덕 #성여완 #예부직랑 #오일악 #대상소경 #조사겸 #유준 #박천우 #군부정랑 #유자택 #윤덕방 #한휴 #양천식 #나송 #김휘서 #신올지 #김양검 #고민 #정방소경 #중랑장 #하영홍 #감찰사 #삼사우윤 #이우룡 #정당문학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양규(楊規)
    양규楊規
    楊規, 事穆宗, 累官刑部郞中. 顯宗元年, 契丹主自將來, 討康兆, 圍興化鎭. 規爲都巡檢使, 與鎭使戶部郞中鄭成, 副使將作注簿李守和, 判官廩犧令張顥, 嬰城固守. 契丹主, 獲通州城外收禾男婦, 各賜錦衣, 授紙封一箭, 以兵三百餘人, 送興化鎭諭降. 其箭封有書曰, “朕以前王…
    #양규 #형부낭중 #강조 #흥화진 #도순검사 #흥화진사 #호부낭중 #정성 #흥화진부사 #장작주부 #이수화 #판관 #늠희령 #장호 #거란 #통주 #왕송 #개경 #비단옷 #은그릇 등속 #인주 #무로대 #동산 #통주성 #행영도통부사 #이현운 #행영도통판관 #노전 #감찰어사 #노의 #양경 #이성좌 #행영도병마부사 #노정 #사재승 #서숭 #주부 #노제 #장군 #김훈 #김계부 #이원 #신녕한 #완항령 #합문사 #마수 #중랑장 #최질 #홍숙 #방어사 #이원구 #부사 #최탁 #대장군 #채온겸 #시거운 #곽주 #호부원외랑 #조성유 #행영수제관 #승리인 #대회덕 #공부낭중 #이용지 #예부낭중 #간영언 #귀주별장 #김숙흥 #보량 #이수 #석령 #여리참 #애전 #압록강 #말 #낙타 #병장기 #공부상서 #홍씨 #양대춘 #교서랑 #공신녹권 #삼한후벽상공신 #문종 #대중상부 #서북면 도순검사 #부지휘 #공신각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왕후(王煦)
    왕후王煦
    王煦, 初姓名權載, 蒙古名脫歡, 政丞溥子也. 其兄準, 受知忠宣王, 王問其兄弟, 聞載名則喜, 未及見授郞將, 俄遷三司判官. 王在元召之, 一見遂以爲子, 賜姓名王煦係屬籍. 王還國, 出入常同車, 由司僕副正, 轉司憲執義. 忠肅元年, 陞爲三重大匡雞林府院君, 三年, 加府院大…
    #왕후 #권재 #토군 #권보 #권준 #충선왕 #낭장 #삼사판관 #원나라 #사복부정 #사헌집의 #충숙왕 #삼중대광 #계림부원군 #부원대군 #쉬구치 #계림군공 #환관 #바얀퇴귀스 #토번 #임조 #충목왕 #첨의우정승 #전리사 #군부사 #녹과 #김영후 #좌정승 #김영돈 #우정승 #노책 #정치도감 #찬성사 #안축 #판밀직 #김광철 #판사 #정연 #김규 #속관 #안렴사 #양광도 #이천현 #공전 #정승 #채하중 #이문 #윤계종 #도감 #녹사 #안길상 #초 #기황후 #기삼만 #순군옥 #행성이문소 #좌랑 #서호 #교감 #전녹생 #첨의부 #하유원 #중서성 #우사도사 #우리부카 #동선역 #오경 #진영서 #안극인 #이원구 #전성안 #공부낭중 #아루 #형부낭중 #왕호유 #직성사인 #승가노 #정치관 #백문보 #영도첨의사사 #경성 #양광 #서해 #덕녕공주 #기철 #정동성 #이제현 #충정왕 #창의현 #요동부 #역리 #공민왕 #정헌 #왕중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2Next PageLast Page총 14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