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렬왕충렬왕 6년(1280) 경진년충렬왕 6년(1280) 경진년봄 정월 갑진일. 주열(朱悅)과 곽여필(郭汝弼)을 파직 파직 경상도 계점사(計點使)와 전라도 계점사로 각각 파견된 주열과 곽여필이 내고(內庫)의 처간(處干)을 사역시키지 말도록 하는 명령을 따르지 않다가 파면된 사실을 말한다. 이 사건에 대해서는 『고려…#주열 #곽여필 #참형 #교수형 #사면 #대장군 #인후 #장군 #고천백 #타나 #원나라 #동지 #관음사 #덕천사 #익장 #영춘현 #현리 #창기 #옥진 #원종 #쿠치 #친종장군 #박연 #중랑장 #이인 #동녕부 #공장 #교위 #정지연 #환도 #낭기아다이 #응방 #카바나 #유거 #대부 #내부 #수강궁 #사판궁 #밀직부사 #이존비 #전라도 #전함 #현화사 #승지 #염승익 #절령참 #옹진현 #주기 #개경 #사신 #회회 #조인규 #검교대장군 #오광찰 #명인전 #시위장군 #홍정 #동복현 #승려 #조영 #서해도 #전수미 #절령도 #초제 #제왕 #재추 #유경 #황보기 #최영 #송송례 #변윤 #감찰사 #강화경 #공부 #좌창 #우창 #대방주 #칠색 #안색 #아칙치 #양반 #노복 #녹패 #안렴사 #별감 #명주 #모시 #가죽 #돈 #포 #과실 #명표지 #시사 #심양 #숭문관 #잡단 #진척 #문응 #유배 #전중시사 #이승휴 #김일 #시승 #낭장 #우천석 #좌랑 #민훤 #광주판관 #이인정 #지후 #민지 #장경도량 #백문절 #반부 #곽예 #카야 #번국 #유사 #과거 #국자감 #사재윤 #김제 #정랑 #최옹 #좌사간 #방유 #통사사인 #유연 #권지지후 #설조 #이극 #오한경 #경사교수 #조윤통 #중서성 #담선법회 #서리 #간유지 #평장정사 #아카마 #홍원사 #진전직 #장인경 #길상사 #지선 #능묘 #가뭄 #부채 #삿갓 #이백기 #급제 #시부 #서적점녹사 #조간 #황패 #내시 #왜적 #고성군 #칠포 #한희유 #순마 #영부 #경상도 #합포현 #격구 #양루 #우박 #전시 #대제 #유비 #누리 #응경궁 #한벽루 #태통문 #박의 #원경 #첨의중찬 #김방경 #정가신 #서해도 계점사 #우준충 #도지휘사 #김주정 #쌍성 #민호 #한신 #덕광 #연첩아 #차관 #위문개 #전호 #개원로 #선위사 #탐라 #다루가치 #주철 #아야치 #대청도 #창의현 #영녕공 #상도 #차간노르 #일본 정벌 #입조 #힌두 #홍다구 #범문호 #일본 #한족 연합군 #남송군 #강남 #이끼도 #고려군 #한족군 #토리티무르 #몽고군 #동정성사 #군관 #패면 #안찰사 #승상 #안톤 #북경 #강수형 #송정 #정동원수부 #진무 #예쉬데르 #관자 #우승 #좌승 #이정 #행중서성 #선원 #최인저 #북경로 #요양로 #수달단 #일본정벌 #지휘사 #판관 #녹사 #도평의사사 #궁인 #아시감찰 #팔관회 #표문 #마제산 #정동행성 #자모아란 #두목 #중찬 #정동군사 #일본국 #정벌 #추밀원 #아후룩 #관군두목 #카비치바가투르 #두목관령 #군중 #차사 #친관두목 #순초 #군호 #행추밀원 #도원수 #초토만호 #관군관 #수령관 #진무인 #제형안찰사관 #노예 #관총사 #총사 #시위친군 #구구 #친관두목관령 #관군 #신부군인 #카비치 #양양부 #군역 #장정 #두목군인 #종파군관 #전량관 #본관두목인 #방리정 #향사 #천호 #백호 #패자 #총파관원 #전고인 #관군관원 #관군관리 #차 #소금 #술 #세국 #중서행성 #만호 #관군총관 #총파 #관사 #원수 #총관 #산군 #좌우부원수 #사만호 #부만호 #총관소관군 #부총관 #천호소관군 #부천호 #총관파소관군 #원수부 #경력 #지사 #영사 #역사 #통사 #지인 #가각고관 #진무소 #만호부 #총관소 #제령안독 #탄압 #천호소 #지관 #지인탄압 #총파소 #백호소 #사리 #3관 #총랑 #김원 #조윤번 #우승지 #요나라 #금나라 #개부의동삼사 #특진 #상주국 #행성 #자관 #차부 #부마 #두련가 #국왕 #쿠테치 #정토군 #일본 정벌군 #타포호 #진도 #상장군 #박지량 #문수 #나유 #조규 #정수기 #이신 #박보 #노정유 #안사 #조변 #안적재 #허홍재 #김덕지 #서정 #임개 #김신정 #이정익 #박익환 #유보 #김천록 #이신백 #신혁 #최공절 #여문취 #안흥 #이순 #김복대 #차공윤 #이당공 #박성진 #고세화 #송인윤 #옥환 #계부 #김천고 #서광순 #함익심 #충청도 #교주도 #동계 #병선 #원정 #정장 #동경로 #호두패 #수수군 #두령 #박구 #토토카순 #추고관두목 #회동관사 #장헌 #이부주사 #에센카야 #일관 #정인경 #허공 #참문학사 #세자보 #홍자번 #지첨의부사 #세자이사 #한강 #좌상시 #송분 #지밀직사사 #세자원빈 #동지밀직사사 #김백균 #채인평 #삼사사 #판도판서 #조서 #서문 #중서좌승상 #행중서성사 #인신 #중봉대부 #관령고려군도원수 #소용대장군 #좌우부도통 #호두금패 #선무장군 #왕경단사관 #금패 #무덕장군 #관군천호 #소신교위 #관군총파 #은패 #김중성 #충현교위
-
충렬왕충렬왕 12년(1286) 병술년충렬왕 12년(1286) 병술년봄 정월 경오일. 상장군(上將軍) 인후(印侯)를 원나라에 보내 왕의 입조를 허락해 달라고 요청했다. 신미일. 원나라에서 수안(遂安)(지금의 황해북도 수안)과 곡주(谷州)(지금의 황해북도 곡산)를 우리에게 돌려주었다. 갑신일. 왕과 공주…#상장군 #인후 #원나라 #입조 #수안 #곡주 #신효사 #사신 #대사령 #일본정벌 #교위 #주불대 #토토카순 #이영주 #강윤명 #반란 #영월현령 #이순 #시사 #윤해 #연등회 #봉은사 #승천부 #대전 #원나라 사신 #사면령 #강안전 #초제 #판삼사사 #김응문 #지신사 #김흔 #삼사사 #좌승지 #채모 #김혼 #응양군 #왕륜사 #건성사 #부지밀직사사 #장경도량 #우박 #서리 #일식 #제안공 #진킴 #서해도 #재상 #묘련사 #장군 #원경 #새매 #감찰사 #박매 #충주판관 #전장 #관기 #요동부총관 #육십 #여진 #서교 #쌍성 #유민 #쇄환 #지밀직사사 #조인규 #국학 #동진 #영동정 #마백기 #허공 #유배 #일본인 #마제산 #감찰대부 #나유 #중랑장 #지선 #호림침 #수리 #송골매 #가뭄 #금주령 #국자생 #이부 #급제 #영보도량 #직사관 #오양우 #허평 #낭장 #김심 #설지충 #왕유소 #궁전배 #평주 #낭기아다이 #대장군 #정인경 #국자사업 #최옹 #통감
-
충렬왕충렬왕 18년(1292) 임진년충렬왕 18년(1292) 임진년봄 정월 초하루 갑오일. 일식이 있었다. 정유일. 원경(元卿)을 원나라의 요양로(遼陽路)에 보내 기미년(己未年)(고종 46, 1259) 이래 포로로 잡혀갔던 사람들을 찾아서 쇄환해 왔다. 계묘일. 서경유수(西京留守) 엄수안(嚴守安)으로…#일식 #원경 #원나라 #요양로 #서경유수 #엄수안 #서북면 지휘사 #초 #토리티무르 #실록 #선원사 #종묘 #사직 #복규 #지서경유수사 #마제산 #지선 #나유 #서경 #한신 #카다안 #아르도 #잉분도 #유배 #우승 #아살 #탐라 #다루가치 #강안전 #초제 #판삼사사 #박지량 #타예쉬 #백령도 #토기추 #대청도 #티이쉬 #오야도 #영흥도 #조월도 #김연수 #서보통원 #마천 #평주 #부지밀직사사 #이익배 #제왕 #양부 #동지밀직사사 #참형 #교수형 #사면 #만호 #서흥조 #강남 #김혼 #첨의참리 #세자이부 #한희유 #지첨의부사 #세자이보 #김흔 #정인경 #유승 #최유엄 #이혼 #장순룡 #박의 #정해 #좌승지 #우승지 #민지 #좌부승지 #앵무 #공작 #조인규 #진변만호 #송분 #판도총랑 #홍훤 #사공 #사도 #문한학사 #최옹 #낭장 #진양필 #주술사 #무녀 #자단전 #정가신 #유비 #일본 #홍군상 #사신 #왕륜사 #건성사 #현성사 #대방공 #묘련사 #일본인 #일본 정벌 #향각 #수녕궁 #태복윤 #김유성 #공역서령 #곽린 #서장관 #김해 #부마 #국호 #군신 #예악 #문물 #의관 #송나라 #순임금 #입조 #한림학사 #학경 #9묘 #백관 #장군 #여문취 #죽전 #교주도 #팔관회 #홍선 #향다 #목과 #승려 #혜영 #국존 #밀직 #안향 #고세 #의원 #이지저 #중찬 #김방경 #찬성사 #태의 #요생
-
충렬왕충렬왕 6년(1280) 경진년충렬왕 6년(1280) 경진년六年 春正月 甲辰 罷朱悅․郭汝弼. 己酉 以星文屢變, 宥二罪以下. 癸丑 移御本闕. 庚申 遣大將軍印侯, 將軍高天伯與塔納, 如元. 壬戌 王與公主賞東池, 遂幸觀音寺. 乙丑 以德泉寺住持益藏擊殺永春縣吏, 又與妓玉眞通, 流于海島, 益藏元宗寵姬子也. 丙寅 忽赤享王于新殿. 己…#주열 #곽여필 #참형 #교수형 #사면 #대장군 #인후 #장군 #고천백 #타나 #원나라 #동지 #관음사 #덕천사 #익장 #영춘현 #현리 #창기 #옥진 #원종 #쿠치 #친종장군 #박연 #중랑장 #이인 #동녕부 #공장 #교위 #정지연 #환도 #낭기아다이 #응방 #카바나 #유거 #대부 #내부 #수강궁 #사판궁 #밀직부사 #이존비 #전라도 #전함 #현화사 #승지 #염승익 #절령참 #옹진현 #주기 #개경 #사신 #회회 #조인규 #검교대장군 #오광찰 #명인전 #시위장군 #홍정 #동복현 #승려 #조영 #서해도 #전수미 #절령도 #초제 #제왕 #재추 #유경 #황보기 #최영 #송송례 #변윤 #감찰사 #강화경 #공부 #좌창 #우창 #대방주 #칠색 #안색 #아칙치 #양반 #노복 #녹패 #안렴사 #별감 #명주 #모시 #가죽 #돈 #포 #과실 #명표지 #시사 #심양 #숭문관 #잡단 #진척 #문응 #유배 #전중시사 #이승휴 #김일 #시승 #낭장 #우천석 #좌랑 #민훤 #광주판관 #이인정 #지후 #민지 #장경도량 #백문절 #반부 #곽예 #카야 #번국 #유사 #과거 #국자감 #사재윤 #김제 #정랑 #최옹 #좌사간 #방유 #통사사인 #유연 #권지지후 #설조 #이극 #오한경 #경사교수 #조윤통 #중서성 #담선법회 #서리 #간유지 #평장정사 #아카마 #홍원사 #진전직 #장인경 #길상사 #지선 #능묘 #가뭄 #부채 #삿갓 #이백기 #급제 #시부 #서적점녹사 #조간 #황패 #내시 #왜적 #고성군 #칠포 #한희유 #순마 #영부 #경상도 #합포현 #격구 #양루 #우박 #전시 #대제 #유비 #누리 #응경궁 #한벽루 #태통문 #박의 #원경 #첨의중찬 #김방경 #정가신 #서해도 계점사 #우준충 #도지휘사 #김주정 #쌍성 #민호 #한신 #덕광 #연첩아 #차관 #위문개 #전호 #개원로 #선위사 #탐라 #다루가치 #주철 #아야치 #대청도 #창의현 #영녕공 #상도 #차간노르 #일본 정벌 #입조 #힌두 #홍다구 #범문호 #일본 #한족 연합군 #남송군 #강남 #이끼도 #고려군 #한족군 #토리티무르 #몽고군 #동정성사 #군관 #패면 #안찰사 #승상 #안톤 #북경 #강수형 #송정 #정동원수부 #진무 #예쉬데르 #관자 #우승 #좌승 #이정 #행중서성 #선원 #최인저 #북경로 #요양로 #수달단 #일본정벌 #지휘사 #판관 #녹사 #도평의사사 #궁인 #아시감찰 #팔관회 #표문 #마제산 #정동행성 #자모아란 #두목 #중찬 #정동군사 #일본국 #정벌 #추밀원 #아후룩 #관군두목 #카비치바가투르 #두목관령 #군중 #차사 #친관두목 #순초 #군호 #행추밀원 #도원수 #초토만호 #관군관 #수령관 #진무인 #제형안찰사관 #노예 #관총사 #총사 #시위친군 #구구 #친관두목관령 #관군 #신부군인 #카비치 #양양부 #군역 #장정 #두목군인 #종파군관 #전량관 #본관두목인 #방리정 #향사 #천호 #백호 #패자 #총파관원 #전고인 #관군관원 #관군관리 #차 #소금 #술 #세국 #중서행성 #만호 #관군총관 #총파 #관사 #원수 #총관 #산군 #좌우부원수 #사만호 #부만호 #총관소관군 #부총관 #천호소관군 #부천호 #총관파소관군 #원수부 #경력 #지사 #영사 #역사 #통사 #지인 #가각고관 #진무소 #만호부 #총관소 #제령안독 #탄압 #천호소 #지관 #지인탄압 #총파소 #백호소 #사리 #3관 #총랑 #김원 #조윤번 #우승지 #요나라 #금나라 #개부의동삼사 #특진 #상주국 #행성 #자관 #차부 #부마 #두련가 #국왕 #쿠테치 #정토군 #일본 정벌군 #타포호 #진도 #상장군 #박지량 #문수 #나유 #조규 #정수기 #이신 #박보 #노정유 #안사 #조변 #안적재 #허홍재 #김덕지 #서정 #임개 #김신정 #이정익 #박익환 #유보 #김천록 #이신백 #신혁 #최공절 #여문취 #안흥 #이순 #김복대 #차공윤 #이당공 #박성진 #고세화 #송인윤 #옥환 #계부 #김천고 #서광순 #함익심 #충청도 #교주도 #동계 #병선 #원정 #정장 #동경로 #호두패 #수수군 #두령 #박구 #토토카순 #추고관두목 #회동관사 #장헌 #이부주사 #에센카야 #일관 #정인경 #허공 #참문학사 #세자보 #홍자번 #지첨의부사 #세자이사 #한강 #좌상시 #송분 #지밀직사사 #세자원빈 #동지밀직사사 #김백균 #채인평 #삼사사 #판도판서 #조서 #서문 #중서좌승상 #행중서성사 #인신 #중봉대부 #관령고려군도원수 #소용대장군 #좌우부도통 #호두금패 #선무장군 #왕경단사관 #금패 #무덕장군 #관군천호 #소신교위 #관군총파 #은패 #김중성 #충현교위
-
충렬왕충렬왕 12년(1286) 병술년충렬왕 12년(1286) 병술년十二年 春正月 庚午 遣上將軍印侯如元, 請親朝. 辛未 元歸我遂安․谷州. 甲申 王及公主, 幸神孝寺. 丙戌 元遣使, 詔大赦, 寢東征. 丁酉 元遣校尉朱佛大來, 命王勿朝. 二月 戊申 忠淸道脫脫禾孫李英柱報, “康允明作亂, 殺寧越縣令李恂.” 遣侍史尹諧 往鞫…#상장군 #인후 #원나라 #입조 #수안 #곡주 #신효사 #사신 #대사령 #일본정벌 #교위 #주불대 #토토카순 #이영주 #강윤명 #반란 #영월현령 #이순 #시사 #윤해 #연등회 #봉은사 #승천부 #대전 #원나라 사신 #사면령 #강안전 #초제 #판삼사사 #김응문 #지신사 #김흔 #삼사사 #좌승지 #채모 #김혼 #응양군 #왕륜사 #건성사 #부지밀직사사 #장경도량 #우박 #서리 #일식 #제안공 #진킴 #서해도 #재상 #묘련사 #장군 #원경 #새매 #감찰사 #박매 #충주판관 #전장 #관기 #요동부총관 #육십 #여진 #서교 #쌍성 #유민 #쇄환 #지밀직사사 #조인규 #국학 #동진 #영동정 #마백기 #허공 #유배 #일본인 #마제산 #감찰대부 #나유 #중랑장 #지선 #호림침 #수리 #송골매 #가뭄 #금주령 #국자생 #이부 #급제 #영보도량 #직사관 #오양우 #허평 #낭장 #김심 #설지충 #왕유소 #궁전배 #평주 #낭기아다이 #대장군 #정인경 #국자사업 #최옹 #통감
-
충렬왕충렬왕 18년(1292) 임진년충렬왕 18년(1292) 임진년十八年 春正月 甲午朔 日食. 丁酉 遣元卿如元遼陽路, 推刷己未年以來被虜人物. 癸卯 以西京留守嚴守安, 兼西北面指揮使. 丙辰 元賜鈔一千錠, 闍梨帖木兒之還也, 取諸驛牛以去. 帝聞賜鈔償之. 丁巳 移置先代實錄于禪源寺. 庚申 復都開京. …#일식 #원경 #원나라 #요양로 #서경유수 #엄수안 #서북면 지휘사 #초 #토리티무르 #실록 #선원사 #종묘 #사직 #복규 #지서경유수사 #마제산 #지선 #나유 #서경 #한신 #카다안 #아르도 #잉분도 #유배 #우승 #아살 #탐라 #다루가치 #강안전 #초제 #판삼사사 #박지량 #타예쉬 #백령도 #토기추 #대청도 #티이쉬 #오야도 #영흥도 #조월도 #김연수 #서보통원 #마천 #평주 #부지밀직사사 #이익배 #제왕 #양부 #동지밀직사사 #참형 #교수형 #사면 #만호 #서흥조 #강남 #김혼 #첨의참리 #세자이부 #한희유 #지첨의부사 #세자이보 #김흔 #정인경 #유승 #최유엄 #이혼 #장순룡 #박의 #정해 #좌승지 #우승지 #민지 #좌부승지 #앵무 #공작 #조인규 #진변만호 #송분 #판도총랑 #홍훤 #사공 #사도 #문한학사 #최옹 #낭장 #진양필 #주술사 #무녀 #자단전 #정가신 #유비 #일본 #홍군상 #사신 #왕륜사 #건성사 #현성사 #대방공 #묘련사 #일본인 #일본 정벌 #향각 #수녕궁 #태복윤 #김유성 #공역서령 #곽린 #서장관 #김해 #부마 #국호 #군신 #예악 #문물 #의관 #송나라 #순임금 #입조 #한림학사 #학경 #9묘 #백관 #장군 #여문취 #죽전 #교주도 #팔관회 #홍선 #향다 #목과 #승려 #혜영 #국존 #밀직 #안향 #고세 #의원 #이지저 #중찬 #김방경 #찬성사 #태의 #요생
-
제신(諸臣)최유청(崔惟淸)최유청崔惟淸최유청(崔惟淸) 최유청(1093 또는 1095~1174) 평장사를 지낸 철원 최씨(鐵原崔氏) 최석(崔奭)의 아들로, 숙종 때 음서로 장사랑(將仕郞)․군기주부동정(軍器主簿同正)을 지내다가 예종 7년(1112) 3월 과거에 급제한 후 명종 때까지 중서시랑평장사(中…#최유청 #직재 #창원군 #최준옹 #태조 #최석 #문종 #선종 #순종 #수태보 #판이예부사 #예숙 #직한림원 #인종 #평장사 #한교여 #정극영 #이자겸 #내시 #좌사간 #상주 #시어사 #어사중승 #전중소감 #간의대부 #금나라 #호부시랑 #동북면병마부사 #승선 #지주사 #판병부사 #낭중 #정서 #대령후 #남경유수사 #충주 #광주 #목사 #수사공 #상서좌복야 #형부상서 #한취 #단주 #중서시랑평장사 #명종 #집현전태학사 #판예부사 #문숙 #경사자집 #이한림집주 #유문사실 #남도집 #최증 #최후 #최인 #최당 #최선 #최양 #예부상서 #합문지후 #잡직서령 #최옹
-
제신(諸臣)최유청(崔惟淸) 부 최옹(崔雍)최유청崔惟淸 부 최옹崔雍최옹(崔雍)은 자가 대화(大和)이며 원래 이름이 최기(崔夔)였다. 젊어서 공부를 좋아하여 뜻을 같이하는 열 사람과 10년 동안 글을 읽기로 약속을 맺었다. 몇 년도 되지 않아 다른 사람들은 모두 떠나버렸으나 그만 홀로 남아 10년 동안 공부에 힘쓴 결과 읽지 …
-
제신(諸臣)최유청(崔惟淸)최유청崔惟淸崔惟淸, 字直哉, 昌原郡人. 六世祖俊邕, 佐太祖爲功臣, 父奭初名錫, 擢魁科, 事文․順․宣三朝. 位至守太保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判吏禮部事, 謚譽肅. 惟淸少孤嗜學, 睿宗時登第. 乃曰, “儒者當學古入官.” 遂杜門讀書, 不求仕宦. 有薦者, 辭以學未就, 後被薦直翰林院.…#최유청 #직재 #창원군 #최준옹 #태조 #최석 #문종 #선종 #순종 #수태보 #판이예부사 #예숙 #직한림원 #인종 #평장사 #한교여 #정극영 #이자겸 #내시 #좌사간 #상주 #시어사 #어사중승 #전중소감 #간의대부 #금나라 #호부시랑 #동북면병마부사 #승선 #지주사 #판병부사 #낭중 #정서 #대령후 #남경유수사 #충주 #광주 #목사 #수사공 #상서좌복야 #형부상서 #한취 #단주 #중서시랑평장사 #명종 #집현전태학사 #판예부사 #문숙 #경사자집 #이한림집주 #유문사실 #남도집 #최증 #최후 #최인 #최당 #최선 #최양 #예부상서 #합문지후 #잡직서령 #최옹
-
제신(諸臣)최유청(崔惟淸) 부 최옹(崔雍)최유청崔惟淸 부 최옹崔雍雍, 字大和, 初名夔. 少嗜學, 與同志十人, 約十年讀書. 未數年, 餘皆弃去. 雍獨力學十年, 無書不讀, 時以博洽稱. 高宗時登第, 補大官丞, 累遷典理佐郞. 忠烈王, 自太孫時, 迎以爲傅, 及卽位, 留意文學, 召拜國子司業, 日與論通鑑. 歷官國學典酒, 世子宮令, 眷遇尤…
-
충렬왕 6년(1280) 경진년봄 정월 갑진일. 주열(朱悅)과 곽여필(郭汝弼)을 파직 파직 경상도 계점사(計點使)와 전라도 계점사로 각각 파견된 주열과 곽여필이 내고(內庫)의 처간(處干)을 사역시키지 말도록 하는 명령을 따르지 않다가 파면된 사실을 말한다. 이 사건에 대해서는 『고려…
-
충렬왕 12년(1286) 병술년봄 정월 경오일. 상장군(上將軍) 인후(印侯)를 원나라에 보내 왕의 입조를 허락해 달라고 요청했다. 신미일. 원나라에서 수안(遂安)(지금의 황해북도 수안)과 곡주(谷州)(지금의 황해북도 곡산)를 우리에게 돌려주었다. 갑신일. 왕과 공주…
-
충렬왕 18년(1292) 임진년봄 정월 초하루 갑오일. 일식이 있었다. 정유일. 원경(元卿)을 원나라의 요양로(遼陽路)에 보내 기미년(己未年)(고종 46, 1259) 이래 포로로 잡혀갔던 사람들을 찾아서 쇄환해 왔다. 계묘일. 서경유수(西京留守) 엄수안(嚴守安)으로…
-
충렬왕 6년(1280) 경진년六年 春正月 甲辰 罷朱悅․郭汝弼. 己酉 以星文屢變, 宥二罪以下. 癸丑 移御本闕. 庚申 遣大將軍印侯, 將軍高天伯與塔納, 如元. 壬戌 王與公主賞東池, 遂幸觀音寺. 乙丑 以德泉寺住持益藏擊殺永春縣吏, 又與妓玉眞通, 流于海島, 益藏元宗寵姬子也. 丙寅 忽赤享王于新殿. 己…
-
충렬왕 12년(1286) 병술년十二年 春正月 庚午 遣上將軍印侯如元, 請親朝. 辛未 元歸我遂安․谷州. 甲申 王及公主, 幸神孝寺. 丙戌 元遣使, 詔大赦, 寢東征. 丁酉 元遣校尉朱佛大來, 命王勿朝. 二月 戊申 忠淸道脫脫禾孫李英柱報, “康允明作亂, 殺寧越縣令李恂.” 遣侍史尹諧 往鞫…
-
충렬왕 18년(1292) 임진년十八年 春正月 甲午朔 日食. 丁酉 遣元卿如元遼陽路, 推刷己未年以來被虜人物. 癸卯 以西京留守嚴守安, 兼西北面指揮使. 丙辰 元賜鈔一千錠, 闍梨帖木兒之還也, 取諸驛牛以去. 帝聞賜鈔償之. 丁巳 移置先代實錄于禪源寺. 庚申 復都開京. …
-
최유청崔惟淸최유청(崔惟淸) 최유청(1093 또는 1095~1174) 평장사를 지낸 철원 최씨(鐵原崔氏) 최석(崔奭)의 아들로, 숙종 때 음서로 장사랑(將仕郞)․군기주부동정(軍器主簿同正)을 지내다가 예종 7년(1112) 3월 과거에 급제한 후 명종 때까지 중서시랑평장사(中…
-
최유청崔惟淸 부 최옹崔雍최옹(崔雍)은 자가 대화(大和)이며 원래 이름이 최기(崔夔)였다. 젊어서 공부를 좋아하여 뜻을 같이하는 열 사람과 10년 동안 글을 읽기로 약속을 맺었다. 몇 년도 되지 않아 다른 사람들은 모두 떠나버렸으나 그만 홀로 남아 10년 동안 공부에 힘쓴 결과 읽지 …
-
최유청崔惟淸崔惟淸, 字直哉, 昌原郡人. 六世祖俊邕, 佐太祖爲功臣, 父奭初名錫, 擢魁科, 事文․順․宣三朝. 位至守太保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判吏禮部事, 謚譽肅. 惟淸少孤嗜學, 睿宗時登第. 乃曰, “儒者當學古入官.” 遂杜門讀書, 不求仕宦. 有薦者, 辭以學未就, 後被薦直翰林院.…
-
최유청崔惟淸 부 최옹崔雍雍, 字大和, 初名夔. 少嗜學, 與同志十人, 約十年讀書. 未數年, 餘皆弃去. 雍獨力學十年, 無書不讀, 時以博洽稱. 高宗時登第, 補大官丞, 累遷典理佐郞. 忠烈王, 自太孫時, 迎以爲傅, 及卽位, 留意文學, 召拜國子司業, 日與論通鑑. 歷官國學典酒, 世子宮令, 眷遇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