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태조
    태조 13년(930) 경인년
    태조 13년(930) 경인년
    13년 봄 정월 정묘일. 재암성 재암성 지금의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眞寶面) 일대로, 고려 초에 진안현(眞安縣)과 진보현(眞寶縣)을 합하여 설치한 보성부(甫城府)의 별칭이다. 보성부는 고려시대 예주(禮州)의 속읍이었다. 장군(載巖城將軍) 선필(善弼)…
    #선필 #고창군 #병산 #견훤 #석산 #시랑 #김악 #순주 #원봉 #고창군성주 #김선평 #대광 #권행 #장길 #대상 #영안 #하곡 #직명 #송생 #신라 #명주 #흥례부 #일어진 #북미질부성주 #훤달 #남미질부성주 #백서성낭중 #행순 #영식 #내의사인 #서경 #안화선원 #왕신 #대목군 #대승 #제궁 #천안도독부사 #원보 #엄식 #부사 #청주 #우릉도 #백길 #토두 #정위 #정조 #개지변 #최환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성종
    성종 16년(997) 정유년
    성종 16년(997) 정유년
    16년 가을 8월 을미일. 왕이 동경(東京)에 행차하여 신하들에게 잔치를 베풀고 호종한 신료와 군사들에게는 차등을 두어 물품을 내려주었다. 또 전국의 관리들을 모두 승진시키고 의부(義夫)․열녀․효자․효손에게는 정문(旌門)을 세워주고 선물을 주었다. 이어…
    #동경 #정문 #흥례부 #태화루 #개경 #개령군 #왕송 #내천왕사 #평장사 #왕융 #문의 #성종 #강릉 #강위 #장헌 #광효 #헌명 #양정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태조
    태조 13년(930) 경인년
    태조 13년(930) 경인년
    十三年 春正月 丁卯 載巖城將軍善弼來投. 丙戌 王自將, 軍古昌郡甁山, 甄萱軍石山, 相去五百步許. 遂與戰, 至暮, 萱敗走, 獲侍郞金渥, 死者八千餘人. 是日, 古昌郡奏, “萱遣將, 攻陷順州, 掠人戶而去.” 王卽幸順州, 修其城, 罪將軍元奉. 庚寅 以古昌郡城主金宣平爲大…
    #선필 #고창군 #병산 #견훤 #석산 #시랑 #김악 #순주 #원봉 #고창군성주 #김선평 #대광 #권행 #장길 #대상 #영안 #하곡 #직명 #송생 #신라 #명주 #흥례부 #일어진 #북미질부성주 #훤달 #남미질부성주 #백서성낭중 #행순 #영식 #내의사인 #서경 #안화선원 #왕신 #대목군 #대승 #제궁 #천안도독부사 #원보 #엄식 #부사 #청주 #우릉도 #백길 #토두 #정위 #정조 #개지변 #최환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성종
    성종 16년(997) 정유년
    성종 16년(997) 정유년
    十六年 秋八月 乙未 幸東京, 宴群臣, 扈從臣僚軍士, 賜物有差. 中外官各加勳階, 義夫節婦孝子順孫, 旌門賜物. 遂頒赦. 九月 遂幸興禮府, 御太和樓, 宴群臣. 捕大魚於海中. 王不豫, 己巳 至自東京. 冬十月 戊午 王疾大漸, 召開寧君誦,…
    #동경 #정문 #흥례부 #태화루 #개경 #개령군 #왕송 #내천왕사 #평장사 #왕융 #문의 #성종 #강릉 #강위 #장헌 #광효 #헌명 #양정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최승로(崔承老)
    최승로崔承老
    최승로(崔承老) 최승로(927~989) 최승로(崔承魯)라고도 하며, 경주 최씨(慶州崔氏) 최은함[崔殷含․崔殷諴]의 아들로, 고려 태조에게 원봉성학생(元鳳省學生)으로 발탁된 후 성종 때까지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역임하고 목종 원년(998) 성종의 묘정에 배향된 …
    #최승로 #경주 #최은함 #원보 #태조 #논어 #염분 #원봉성학생 #안마 #예식 #정광 #행선관어사 #상주국 #당나라 #현종 #개원 #오긍 #정관정요 #태종 #신라 #고려 #요하 #패수 #진한 #거란 #발해 #대광현 #문무 참좌 #후백제 #견훤 #여진 #명주 #흥례부 #종묘사직 #혜종 #감국 #무군 #정종 #형제 #재신 #왕규 #서도 #장군 #서경 #광종 #쌍기 #분향 #수법 #경종 #중관 #내수 #흥화낭군 #개경 #천안낭군 #진주낭군 #문황 #마헐탄 #압록강가 #석성 #대조 #공덕재 #비로자나참회법 #구정 #귀법사 #무차회 #수륙회 #내도량 #신지 #혈구 #마리산 #쌀 #잡곡 #땔나무 #숯 #건초 #콩 #장 #술 #메주 #국 #전장 #전정 #외관 #굴산 #여철 #선회 #공경 #백료 #서인 #신발 #버선 #공란 #천집 #비단 의복 #버선신 #명주신 #가죽신 #화려한 문양이 있는 깁 #주름이 잡힌 고운 비단 #광록시 #연등회 #팔관회 #주역 #장리 #예기 #전단목 #진 #삼한공신 #양나라 #무제 #덕종 #왕경선 #고염 #강회 #기일재 #예기』 #좌전 #종묘와 사직 #향관 #한나라 #문제 #대목왕후 #후경 #주이 #의동 #중령군 #주나라 #유왕 #여왕 #선왕 #평왕 #여후 #경제 #문하시랑평장사 #문하시중 #청하후 #문정 #태사 #베 #면 #경미 #유향 #뇌원다 #대다 #대광 #내사령 #최숙 #최제안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최승로(崔承老)
    최승로崔承老
    崔承老, 慶州人. 父殷含, 仕新羅至元甫, 久無嗣, 禱而生承老. 性聰敏, 好學善屬文. 年十二, 太祖召見, 使讀論語, 甚嘉之, 賜塩盆. 命隷元鳳省學生, 賜鞍馬例食二十碩. 自是, 委以文柄. 成宗元年, 爲正匡行選官御…
    #최승로 #경주 #최은함 #원보 #태조 #논어 #염분 #원봉성학생 #안마 #예식 #정광 #행선관어사 #상주국 #당나라 #현종 #개원 #오긍 #정관정요 #태종 #신라 #고려 #요하 #패수 #진한 #거란 #발해 #대광현 #문무 참좌 #후백제 #견훤 #여진 #명주 #흥례부 #종묘사직 #혜종 #감국 #무군 #정종 #형제 #재신 #왕규 #서도 #장군 #서경 #광종 #쌍기 #분향 #수법 #경종 #중관 #내수 #흥화낭군 #개경 #천안낭군 #진주낭군 #문황 #마헐탄 #압록강가 #석성 #대조 #공덕재 #비로자나참회법 #구정 #귀법사 #무차회 #수륙회 #내도량 #신지 #혈구 #마리산 #쌀 #잡곡 #땔나무 #숯 #건초 #콩 #장 #술 #메주 #국 #전장 #전정 #외관 #굴산 #여철 #선회 #공경 #백료 #서인 #신발 #버선 #공란 #천집 #비단 의복 #버선신 #명주신 #가죽신 #화려한 문양이 있는 깁 #주름이 잡힌 고운 비단 #광록시 #연등회 #팔관회 #주역 #장리 #예기 #전단목 #진 #삼한공신 #양나라 #무제 #덕종 #왕경선 #고염 #강회 #기일재 #예기』 #좌전 #종묘와 사직 #향관 #한나라 #문제 #대목왕후 #후경 #주이 #의동 #중령군 #주나라 #유왕 #여왕 #선왕 #평왕 #여후 #경제 #문하시랑평장사 #문하시중 #청하후 #문정 #태사 #베 #면 #경미 #유향 #뇌원다 #대다 #대광 #내사령 #최숙 #최제안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지리지(地理志)경상도(慶尙道)
    2. 울주(蔚州)
    蔚州
    본래 굴아화촌(屈阿火村)으로 신라 파사왕 때 신라가 차지하여 현(縣)을 두었다가 경덕왕 때 이름을 하곡(河曲)【하서(河西)로도 적는다】으로 고쳐 임관군(臨關郡)의 영현으로 삼았다. 고려 초에 지금 이름으로 바꾸었다. 현종 9년(1018)에 방어사(防禦…
    #굴아화촌 #신라 #하곡 #하서 #임관군 #고려 #현종 #방어사 #경덕왕 #우화현 #우풍현 #율포현 #동진현 #태조 #박윤웅 #흥례부 #공화현 #지울주사 #신학성 #계변성 #개지변 #화성군 #학성 #성종 #속현 #거칠산군 #동래군 #거지화현 #양주 #인종 #감무 #언양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지리지(地理志)경상도(慶尙道)
    2. 울주(蔚州)
    蔚州
    本屈阿火村, 新羅婆娑王, 取之, 置縣, 景德王, 改名河曲【一作河西】, 爲臨關郡領縣, 高麗初, 更今名. 顯宗九年, 置防禦使.【景德王, 改于火縣, 爲虞風縣, 栗浦縣, 爲東津縣, 皆合屬, 太祖時, 郡人朴允雄, 有大功, 乃倂河曲․東津․虞風等縣, 置興禮府. 後降爲恭化縣…
    #굴아화촌 #신라 #하곡 #하서 #임관군 #고려 #현종 #방어사 #경덕왕 #우화현 #우풍현 #율포현 #동진현 #태조 #박윤웅 #흥례부 #공화현 #지울주사 #신학성 #계변성 #개지변 #화성군 #학성 #성종 #속현 #거칠산군 #동래군 #거지화현 #양주 #인종 #감무 #언양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Next PageLast Page총 8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