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율 등의 처벌과 원균의 체직 등에 대해 논의하다.
장령 이철(李鐵)이 아뢰기를,
“거제의 싸움에서 제장 중에 어떤 자는 배회하면서 관망만 하고 나아가 싸우려고 하지 않았으며, 사후선 3척이 행방 불명되었는데도 사실대로 보고하지 않았습니다. 그들이 군대를 무너뜨리고 위를 무시한 죄를 여러 날 논집하고...
-
사헌부가 남쪽 지역의 군신들의 직무 상태에 대해 논하다.
사헌부가 아뢰기를,
“현재 흉적들이 떠나는 기미를 보니 이미 복수의 대의를 잃었습니다. 상께서도 차마 들을 수 없는 바이고 신민들도 차마 말하지 못할 바입니다. 우리의 백성과 강토는 조종의 옛 물건이니, 요리하는 계책을 시급히 ...
-
상이 별전에서 남방과 서북쪽의 변고에 대한 비변사 당상들의 의견을 듣다.
상이 별전에 나아가 비변사 당상을 인견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남쪽의 일이 아직도 평정되지 못하였는데 서북쪽에 또 변고가 있으니, 각기 소회를 진술하라.”
하니, 영의정 유성룡(柳成龍)이 나아와 아...
-
사간원에서 해주에 머물러 있는 중전을 모시고 올 것을 건의하다.
사간원이 아뢰기를,
“황해병사 구사직(具思稷)은 중한 임무를 맡고서도 직무를 제대로 살피지 않아 군사 훈련 등에 관한 일에 전혀 마음을 쓰지 아니하고 자리만 지키고 앉아서 날을 보내는 것을 상책으로 삼고 있습니다. 이처럼 경급한...
-
구사직의 대임으로 마땅한 사람이 없자 구사직을 잉임시키다.
비변사가 아뢰기를,
“구사직(具思稷)의 대임은 신들이 적임자를 구하기가 극히 어려워 삼가 이광악(李光岳)으로 의계하였으나 또한 어떠한지 모르겠습니다. 다만 진주의 일만【김시민(金時敏)과 진주를 지킬 때에 자못 담용이 있었다. 김...
-
왜적이 변장을 하고 침입해 오는 것에 대해 방어하는 것을 비변사가 아뢰다.
비변사가 아뢰기를,
“상께서 ‘어제 청정(淸正)의 글을 보니 「경성에 사신을 보내겠다.」 하였으니, 그것은 바로 경사로 쳐들어오겠다는 말이 아닌가. 지금 경성이 판탕되어 사방을 둘러보아도 한 곳도 믿을 곳이 없는데, 왜적들이 만...
-
병조에서 강원도 ․ 영동 지방 군병의 영남 투입건에 대해 아뢰다.
병조가【판서 이항복(李恒福), 참판 박홍로(朴弘老), 참의 허성(許筬)이다.】아뢰기를,
“당초 징병할 적에 의논하는 자들이 ‘강원도의 군병은 꼭 서울로 집결시키지 않아도 되니 본도에서 곧바로 영남으로 보내는 것이 편리하다.’ 고 하자, 비변사에서 대...
-
우승지 임몽정에게 전교하다.
우승지 임몽정(任蒙正)에게 전교하였다.
“충청병사 구사직(具思稷)은 속히 부임케 하고, 회령부사(會寧府使) 조경(趙儆)은 재촉하여 내려보내라.”
【사신은 말한다. 임진년 여름 조경은 방어사(防禦使)가 되어 변응성(邊應星)과 함께 대군을 거느리...
-
상이 경상등도도체찰사 이덕형을 인견하고 남방의 일 등에 대해 논하다.
상이 별전에 나아가 경상등도도체찰사인 판중추부사 이덕형(李德馨)을 인견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남방의 방비 등에 관한 일은 어떠한가?”
하니, 덕형이 아뢰기를,
“탕패가 더욱 극심하여 이루 형언할 수 없습니다. ...
-
정원에서 적병의 침입에 대비해 강원감사 등에게 하유하라고 아뢰다.
정원이 비변사의 말에 따라 아뢰기를,
“강원도는 경기에 잇닿아 있으므로 적이 경병으로 깊이 들어온다면 영로의 곳곳이 다 염려스럽습니다. 원주목사 구사직(具思稷)이 바야흐로 조방장(助防將)이 되었으니, 원유남(元裕男) 등이 올라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