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강에서 장령 김안국 ․ 정언 성세창 ․ 영사 송일 ․ 호판 이계남이 어살 일을 아뢰다.
조강에 나아갔다. 장령 김안국(金安國)이 아뢰기를,
“어살 일은 신 등이 누차 아뢰었으되 윤허하시지 않으니, 상의를 알지 못하겠습니다. 임금이란 생민의 주인이 되는 것이니, 만일 백성에게 이익이 있는 것이면 비록 자기가 가진 것을 덜어서라도 주어야 ...
-
의금부에 갇힌 왜인의 처리 문제가 분분하자 남방 평정 뒤에 결정하기로 하다.
의금부에 갇혀 있는 왜인 10명 중에 5인은 일본국 사람이라 자칭하고 5인은 대마도 사람이라 칭하였으며, 그 공초한 것도 모두 반란을 꾸민 사유를 알지 못하였다고 하였다. 상이 이것을 여러 재상에게 보이고, 이어서 정부·육조판서·한성 판윤 이상으로 의논하여...
-
김응기 ․ 정광필 ․ 구지신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김응기(金應箕)를 우찬성으로, 정광필(鄭光弼)을 병조판서로, 구지신(具之愼)을 장령으로, 이성언(李誠彦)을 지평으로, 성세창(成世昌)을 헌납으로, 황형(黃衡)을 경상좌도병마 절도사로, 유담년(柳聃年)을 경상우도 병마절도사로, 신계종(申繼宗)을 전라도 병마절...
-
특진관 이손이 귀화한 박산동개와 구세안 등에게 상을 더하자 하니 따르다.
조강에 나아갔다. 지평 김우서(金禹瑞)·헌납 성세창(成世昌)이 유담년·강중진·유회철·이계복·한형윤(韓亨允) 등의 일을 논계하였으나, 모두 윤허하지 않았다. 특진관 이손(李蓀)이 아뢰기를,
“귀화한 박산동개(朴山同介)는 거제에 살았는데, 왜적이 입구하...
-
송호의 ․ 성세창이 안윤덕 ․ 유회철 등과 족친 종량 등의 일을 아뢰다.
조강에 나아갔다. 지평 송호의(宋好義)·헌납 성세창(成世昌)이 안윤덕·유회철·이해의 일과 족친 종량 등의 일을 아뢰고, 시독관 서후(徐厚) 등도 또한 대간의 논계에 따를 것을 청하였으나, 상이 윤허하지 않았다.
-
왜인의 처치를 의논하는데 이라다라는 속히 석방하게 하다.
유순(柳洵)이 의논드리기를,
“제포(薺浦) 사람들이 다 말하기를, ‘이라다라(而羅多羅)는 간교하여, 자주 왕래하면서 혹 오래도록 포소에 살기도 하여 항거왜들과 통정한 자이니 돌려보내는 것은 마땅치 않다.’ 고 하므로, 관찰사가 이 말을 근거로 하여 ...
-
대사헌 안당 등이 고형산의 일을 아뢰다.
조강에 나아갔다. 대사헌 안당(安瑭)·헌납 성세창(成世昌)이, 고형산(高荊山) 등의 일을 아뢰었다. 영사 김수동(金壽童)이 아뢰기를,
“황형(黃衡)의 일을 신이 일찍이 자세히 알지 못하였습니다. 대간의 아룀으로 하여 비로소 자세히 들었는데, 과실이 ...
-
붕중에게 화친하는 것을 의논하게 하다.
붕중(弸中)에게 화친을 허락하는 것이 옳은지 그른지에 대하여 의논하게 하였다. 유순(柳洵)·홍숙(洪淑)·황맹헌(黃孟獻)·이장생(李長生)이 의논드리기를,
“오랑캐들은 대국에 대하여, 이득을 보게 되면 꼬리를 흔들며 따라 붙고 성을 내면 반란을 일으켜 ...
-
일본인 중림의 사건으로 중국과 일본과의 관계를 의논하다.
진하사 서장관(書狀官)【유지선(柳智善).】이 문견한 사건【그 말속에 계묘년에 왜인 중 중림(中林) 등이 중국에 가서 노략질을 하여 영파부지휘사(寧波府指揮使) 원진(元璡)을 잡아갔고, 또 우리나라에서 노략질을 하자 우리나라에서 잡아서 중국에 보냈었는데, 이제...
-
삼공과 왜인과 은을 무역하는 문제를 의논하다.
상이 사정전으로 나아갔다. 영의정 윤은보(尹殷輔), 우의정 김극성(金克成), 좌참찬 김안국(金安國), 우참찬 성세창(成世昌), 지중추부사 이기(李芑), 병조판서 양연(梁淵), 이조참판 임백령(林百齡), 동지중추부사 정만종(鄭萬鍾), 우윤 신광한(申光漢)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