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원이 동래부사 기효복을 체차하고 문관을 보내도록 건의하다.
    간원이 아뢰기를, “동래부는 바다의 문호가 되는 곳인데 불타 없어진 끝에 형편없이 잔파되어 이제 남아 있는 자라곤 유민과 달아나 돌아온 사람들뿐입니다. 난리를 겪고 새로 모이긴 하였으나 아직 그 주거에 안정되지 못했으므로, 수령이 …
  • 사행이 쓸 잡물과 예물을 전례대로 하고 원역들에게 군직을 주다.
    좌승지 이형욱(李馨郁)이 예조의 말로 아뢰기를, “회답사 일행의 일들 중에서 미진한 조항을 뒤미처 마련하여 아뢸 것을 윤허하셨습니다. 경인년에 다녀온 사람에게서 다시 듣건대, 대마도주와 대마도의 수직인(受職人)에게는 주는 물건이 있다고 하는데, 대신에게…
  • 귤왜가 머물 집을 짓지 않고 있으니 우선 절영도의 관사에 머물게 하다.
    이형욱(李馨郁)이 비변사의 말로 아뢰기를, “귤왜(橘倭)가 일본의 서계를 가지고 나오면 전처럼 절영도(絶影島)에 맞아 두는 것은 미안할 듯하니, 부산구진(釜山舊鎭) 근처에 몇 칸의 집을 빨리 지으라는 내용으로 이미 계하하여 경삼감사·수사에게 행회하였습니…
  • 왜적이 사신에게 물을 예상 질문에 대한 답변을 가르쳐 주어 보내도록 하다.
    이형욱(李馨郁)이 비변사의 말로 아뢰기를, “이번 사신의 행차에 적이 묻는 것이 있을 적에 그 대답을 잘못한다면 관계되는 바가 가볍지 않을 것이므로, 신들이 바야흐로 문목을 마련하고 조목마다 말을 만들어 가르쳐 주어 보내려 하였습니다. 이제 받은 비망 …
  • 통신사의 군관 이하가 노자를 데려가는 일을 다시 아뢰게 하다.
    좌승지 이형욱(李馨郁)이 아뢰기를, “통신사(通信使)의 군관 이하가 노자를 데려가는 일을 이조판서 허성(許筬)에게 물었더니, 군관은 데려가는 노자가 없고 상통사(上通事)는 데려가는 자가 있는 듯한데 또한 분명히 알 수 없다고 하였습니다.” 하니,…
  • 군관 이하가 노자를 데려가는 일은 편의를 참작하여 시행하게 하다.
    이형욱(李馨郁)이 아뢰기를, “노자를 데려갔다고 한 것이 어디에서 나온 것인지 예조에 문의하였더니, ‘회답사 일행의 모든 일은 의거할 만한 전례가 없다. 통사 박대근(朴大根)이 경인년에 다녀온 사실이 있어서 가장 잘 안다 하므로 불러서 문의했더니 그의 …
  • 사헌부에서 도성 밖으로 가족을 피신시키는 벼슬아치들의 파직을 청하다.
    사헌부가 아뢰기를, “이 어려운 때를 당하여 민심이 동요되니 이를 진정시킬 계책이 우선 시급한 일입니다. 지난날 정사가 왜영을 탈출할 때 그리 다급한 변보도 없었는데, 벼슬아치들이 먼저 동요하여 심지어 가족을 내보내고 재물을 실어내…
  • 비변사가 요동의 자문 3통에 따라 처치할 내용으로 시급히 회자할 것을 아뢰다.
    비변사가 아뢰기를, “요동의 자문 3통을 받아 보았습니다. 그 하나에는 ‘병부가 아뢰어 성지를 받으니 「손군문(孫軍門)을 시켜 요동 지방에 가서 본국으로 하여금 병마를 정집하여 요새지에 머물러 지키고 양초를 예비하여 구원을 기다리게…
  • 홍문관이 배신의 차출이 사체에 부당함을 상차하다.
    홍문관이【부제학 이호민(李好閔), 응교 김홍미(金弘微), 교리 권협(權悏), 수찬 이심(李愖), 부수찬 이형욱(李馨郁), 저작 김광엽(金光燁)】상차하기를, “신들이 듣건대, 근반(跟伴)을 차출하여 보내어 책사(冊使)에 뒤미처 가게 하였다 합니다. 신들이…
  • 홍문관에서 원수를 갚기 위해 명분과 실속을 구분할 것을 차자하다.
    홍문관이【부제학 이호민(李好閔), 응교 김홍미(金弘微), 교리 권협(權悏), 부교리 이심(李愖), 부수찬 이형욱(李馨郁), 저작 김광엽(金光燁), 정자 윤의립(尹義立) 등이다.】차자를 올리기를, “…… 무릇 이 몇 가지만으로도 하늘의 재변과 요괴가 일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