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양의 강 여울의 방어가 무너지자 이호민에게 상황을 보고하게 하다.
평양의 강여울의 방어가 무너지자 이원익(李元翼) 등이 미처 장계할 겨를이 없어 그 종사관좌랑 이호민(李好閔)을 보내어 빨리 달리어 그 사실을 아뢰도록 하니, 상이 인견토록 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지금 들으니 왜적이 강여울을 건넜다고 하는데 사실인가?…
-
심대 ․ 오억령 ․ 이곽 ․ 박종남 ․ 심희수 ․ 이호민 ․ 정종영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심대(沈岱)를 승정원 우승지에, 오억령(吳億齡)을 승정원 동부승지에, 이곽(李⿰石國)을 이조참의에, 박종남(朴宗男)을 병조참의에, 심희수(沈喜壽)를 병조참지에, 이호민(李好閔)을 이조정랑에, 정종명을 예조좌랑에, 이상신(李尙信)을 병조좌랑에 제수하였다.
-
윤근수 등을 가자하고, 유희림 ․ 오억령 ․ 박종남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행 예조판서 윤근수(尹根壽)를 숭록에 가자하고, 행 대사간 정곤수(鄭崑壽)를 자헌에 가자하였다. 도승지 박숭원(朴崇元)을 자헌에, 우승지 홍진(洪進)을 가선에 가자하였다. 유희림(柳希霖)을 통정대부 좌승지에, 오억령(吳億齡)을 통정대부 이조참의에, 박종남(朴宗…
-
오억령 ․ 박종남 ․ 심희수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오억령(吳億齡)을 승지에, 박종남(朴宗男)을 병조참의에, 심희수(沈喜壽)를 병조참지에, 이곽(李⿰石國)을 이조참의에, 윤승훈(尹承勳)을 선유사(宣諭使)에, 이상신(李尙信)을 병조좌랑에, 이호민(李好閔)을 이조좌랑에, 이산보(李山甫)를 이조판서에 제수하였다.
-
고경명 ․ 김천일 ․ 박광옥 ․ 이호민 ․ 정운룡 ․ 박희수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고경명(高敬命)을 통정대부 공조참의 지제교(知製敎)지제교(知製敎)임금의 교서(敎書) 따위의 글을 짓는 일을 맡은 벼슬. 또는 그 벼슬아치. 내지제교(內知製敎)와 외지제교(外知製敎)가 있었는데, 홍문관(弘文館)의 부제학(副提學) 이하 부수찬(副修撰) 이상의 관원…
-
춘추관이 기록이 유실되었다며 각 장계를 기록하여 대비하자고 청하다.
춘추관이 아뢰었다.
“변고가 발생한 이후 조야의 기록이 남김없이 모두 유실되었습니다. 거가가 서쪽으로 파천한 후 호종하는 사관 등이 소지했던 일기가 모두 불타 없어졌습니다. 지금 수정하지 않으면 시간이 점점 멀어질수록 점차 잊게 되…
-
사헌부가 중국군의 출동이 늦어지자 왜적에 대응할 방책을 논하며 차자를 올리다.
사헌부집의 이호민(李好閔), 장령 이시언(李時彦), 지평 유몽인(柳夢寅)이 차자를 올리기를,
“군사가 지치면 반드시 패하고 적이 오래 머물면 반드시 익숙하게 되는 법입니다. 오늘날 적을 섬멸하는 일은 일각이 급한데도 앉아서 천장(天將)과의 약속을 지키다…
-
윤두수 등을 인견하여 심유경의 강화 노력, 조 ․ 중 합동 작전 등을 논의하다.
좌의정 윤두수, 행 예조 판서 윤근수, 우찬성 최황(崔滉), 부제학 김응남(金應南), 공조판서 한응인(韓應寅), 병조판서 이항복(李恒福), 이조판서 이산보(李山甫), 행 이조 참판 구사맹(具思孟), 대사헌 이덕형(李德馨), 병조참판 민여경(閔汝慶), 집의 이호…
-
이호민이 심유경의 강화책에 대해 이여송이 화를 낸 일 등을 보고하다.
집의 이호민(李好閔)이 아뢰었다.
“신이 19일에 제독을 보았던 곡절은 이미 치계하였습니다. 20일 새벽에 신이 군마와 양초(粮草)의 수효를 적어 가지고 갔더니, 이여백(李如栢)이 표정로(表廷老)를 불러서 사적으로 말하기를 ‘심유경이 많은 은냥(銀兩)과…
-
우의정 윤두수 등을 인견하고 이빈과 이일의 갈등, 중국군의 출병 등을 논의하다.
우의정 윤두수(尹斗壽), 행 예조판서 윤근수(尹根壽), 우찬성 최황(崔滉), 공조판서 한응인(韓應寅), 병조판서 이항복(李恒福), 호조판서 이성중(李誠中), 행 이조판서 구사맹(具思孟), 서천군(西川君) 정곤수(鄭崐壽), 형조참판 이희득(李希得), 동지중추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