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사신이 우리나라를 통해 중국에 조공하기를 청했으나 언사가 불손하여 거절하다.
일본국이 현소(玄蘇)·평조신(平調信) 등을 시켜 내빙하고는 우리나라를 통하여 중국에 조공하려고 하였는데 그 언사가 불순하여 조정에서는 이를 거절하였다. 김우옹(金宇顒)·이덕형(李德馨)·유근(柳根) 등을 번갈아 선위사로 삼았다.
-
일본 사신을 접반할 때 문장을 잘하는 선비를 임명하라고 전교하다.
전교하였다.
“이웃 나라의 사신을 접반하는 임무는 매우 중요하다. 더구나 일본 사람은 시에 능숙한데, 시를 주고받을 적에 혹시라도 미진한 점이 있다면 필시 그 나라에 비웃음을 살 것이니, 관계가 가볍지 않다. 선위사는 직질의 높고 …
-
상이 임진 전투의 패배 상황, 군량의 조달, 각도의 전투 상황을 논의하다.
상이 대신 최흥원(崔興源)·윤두수(尹斗壽), 우찬성 최황(崔滉), 예조판서 윤근수(尹根壽), 호조판서 한준(韓準), 병조판서 김응남(金應南), 대사헌 이항복(李恒福), 동지 이성중(李誠中), 부제학 심충겸(沈忠謙), 대사간 정곤수(鄭崐壽), 동지 이덕형(李德馨…
-
좌부승지 유근이 경기 ․ 강원이 소모사를 어사로 바꿀 것, 세금과 부역을 감면할 것을 청하다.
좌부승지 유근(柳根)이 아뢰기를,
“해부의 단자에 의하면 경기 · 강원 두 도의 어사를 소모사(召募使)라 이름 하였는데, 명칭이 중하지 않으면 호령도 가볍게 됩니다. 오늘날의 급선무는 진실로 호기 있고 용감한 자를 규합하고 충의로운 자를 격려하는 데 있…
-
이조가 영위사 유근을 2품에 가함으로 차견하기를 청하다.
이조가 아뢰기를,
“영위사 유근(柳根)을 2품의 가함(假銜)으로 차견하소서. 대신의 뜻이 이와 같아 감히 아룁니다.”
하니, 아뢴 대로 하라고 전교하고, 이어서 유근에게 가자하라고 전교하였다.
-
양사가 유근이 영위사로 갔을 때 중국 사신을 잘못 대한 일로 시신의 파견을 청하다.
양사가 아뢰었다.
“예부터 국가가 재난을 당하면 재난을 구제하는 데는 만 사람도 부족하고 국가를 망치는 데는 한마디의 말로도 넉넉하다고 하였습니다. 전일 유근(柳根)이 파견되어 갔을 적에 영위한다는 명분을 갖고 갔지만 실지는 거절하…
-
예조판서 윤근수 등이 중국 군대의 이동 상황을 보고하다.
예조판서 윤근수(尹根壽), 참판 유근(柳根)이 치계 하였다.
“이달 15일에 명조의 병마가 이른 아침부터 강을 건너 미시에 다 건넜습니다. 독전참장 대조변(戴朝弁)과 선봉유격 사유(史儒)가 거느린 군사는 1,029명이며, 말이 1,093필, 수하의 집기…
-
예조판서 윤근수 등이 중국 군대가 또 강을 건넜다고 보고하다.
예조판서 윤근수(尹根壽), 참판 유근(柳根), 홍문관 부응교 심희수(沈喜壽) 등이 치계 하였다.
“참장 곽몽징(郭夢徵)과 유격 왕수관(王守官)이 어젯밤에 또 500군마를 거느리고 강을 건너왔습니다. 오늘 아침에 신근수가 속히 달려가 구원하여 달라고 요청…
-
유근 ․ 조정 ․ 오억령 ․ 이유중 ․ 김신원 ․ 윤형 ․ 이원익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유근(柳根)을 좌승지로, 조정(趙挺)을 세자시강원 보덕으로, 오억령(吳億齡)을 홍문관 직제학으로, 이유중(李有中)을 장령 겸 필선으로, 김신원(金信元)을 성균관 사성으로, 윤형(尹泂)을 사간원 정원 겸 사서로, 이원익(李元翼)을 평안도관찰사로 삼았다.
-
중국 차관을 접견하기 전에 윤근수 등과 중국에 청병하는 일 등을 논의하다.
상이 하시(夏時)·황응양(黃應陽)·서일관(徐一貫) 등 세 사람을 만나기 위하여 용만관(龍灣館)에 나아갔다. 이에 앞서 윤근수와 도승지 박숭원(朴崇元), 봉교(奉敎) 기자헌(奇自獻)을 인견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그 사람들이 왜와 서로 안다 하니, 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