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순정이 관에 머물러 있는 왜인을 유인하여 죽이자고 청하다.
도체찰사 유순정(柳順汀)이 사인(舍人) 한효원(韓效元)을 시켜서 아뢰기를,
“관에 머물러 있는 왜인을 예조에서 사연한다고 유인하여 데리고 와서, 역사로 하여금 철퇴를 가지고 중로에서 쳐 죽이게 함이 어떠하겠습니까.”
하니...
-
경외에 머물러 둔 왜인 문제를 의논하다.
명하여, 경외에 머물려 둔 왜인을 돌려보내는 일의 편부를 의논하게 하였다.김수동(金壽童)·유순정(柳順汀)·성희안(成希顔)·홍경주(洪景舟)·신윤무(辛允武)·신용개(申用漑)·김봉(金崶)·최관(崔灌)·김무(金碔)·민상안(閔祥安)·
홍임(洪任)·손주(孫澍)...
-
경상감사를 신중히 가려 임용하도록 하다.
조강에 나아갔다. 사간 한효원(韓效元)·지평 권오기(權五紀)가 장임(張琳)·오보(吳堡)·이우(李堣) 및 장리의 아들의 일 등을 아뢰니, 상이 이르기를,
“경상감사를 과연 물망이 중한 사람으로 가려 보낸다면, 남쪽 일을 조정에서 걱정할 것이 없게 될 ...
-
영사 성희안이 성수재의 탁월함을 칭찬하고 남방 수령의 유임을 청하다.
조강에 나아갔다. 영사 성희안(成希顔)이 아뢰기를,
“왜적이 비록 화친을 청하는 것 같으나 끝내 보장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성수재(成秀才)는 재간이 탁월하고 성품 역시 침착하니, 참으로 장수 재목입니다. 그리고 여러 번 남방 수령을 지내 남방의 일을...
-
일본국왕이 붕중을 시켜 화친을 청하게 하다.
일본국왕이 대마도주에게 신칙하여 경오년 반란 때의 왜적(倭賊)을 베어, 붕중(弸中)을 시켜 머리를 함에 담아 와서 바치고 화친을 청하게 하였다. 처음에 홍문관(弘文館)이 상소하기를,
“웅천(熊川) 제포(薺浦)의 치욕을 아직 통쾌하게 씻지 못하였는데,...
-
붕중에게 화친하는 것을 의논하게 하다.
붕중(弸中)에게 화친을 허락하는 것이 옳은지 그른지에 대하여 의논하게 하였다. 유순(柳洵)·홍숙(洪淑)·황맹헌(黃孟獻)·이장생(李長生)이 의논드리기를,
“오랑캐들은 대국에 대하여, 이득을 보게 되면 꼬리를 흔들며 따라 붙고 성을 내면 반란을 일으켜 ...
-
영의정 정광필 등이 재변 ․ 봉수 ․ 제사의 일을 아뢰다.
영의정 정광필, 좌의정 장순손, 우의정 한효원, 좌참찬 홍언필, 우참찬 손주 등이 빈청에 나아갔다.【예조와 병조 당상도 전수 다 모였으니 제사 마치는 등의 일을 의논하여 아뢰기 위해서였다.】광필 등이 아뢰기를,
“근래 재변이 연달아 일어나서 없는 날...
-
상이 왜금 때문에 죄지은 자들을 놓아주도록 전교하다.
영의정 정광필, 좌의정 장순손, 우의정 한효원 등이 아뢰기를, …… 전교하기를,
“…… 또 지난번에 각 도의 죄인을 적간한 계본을 보니 비단 기묘년에 죄를 입은 사람과 폐조 때 폐단을 일으키다 죄를 입은 사람들 뿐만 아니라 또 왜금(倭金)【이익을 얻...
-
정부에 보고한 등장국 사신에 대한 공사를 내리다.
정부에 보고한 예조의 공사를 내렸다.
【공사의 내용은,
“등장국(等長國)에서 사신으로 보낸 융춘당(融春堂)이 전에는 국왕의 동생 등민의(等悶意)라고 사칭했었습니다. 국왕의 성은 상(尙)입니다. ‘상’...
-
영의정 장순순이 성안 돌입한 왜노의 처벌을 청하다.
영의정 장순손(張順孫)이 의논드리기를,
“왜노가 칼을 빼어 들고 성 안으로 돌입한 일은 매우 완악한 짓입니다만, 먼 나라 사람을 우리 법으로 다스릴 수는 없습니다. 지난번에도 왜인이 마음에 흡족하지 않다 하여 예빈시 앞에서 칼을 빼어 들고 발악하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