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현전직제학 양성지가 경상도는 왜인을 지대하는 방법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상소하다.
집현전직제학(集賢殿直提學) 양성지(梁誠之)가 상소하기를,
“공경히 생각하건대, 우리 주상 전하께서 그 문무의 비상하신 자질로써 새로 보위에 오르시어 공경히 종묘에 알현하시니, 이는 정히 정신을 가다듬고 다스림을 도모하여 서정을 일신하게 하실 때입니다...
-
일본국사 전밀 등이 예조에 돌아갈 것을 아뢰는 서신을 올리다.
일본국사 중 전밀(全密)·영숭(永嵩)·혜광(惠光) 등이 예조에 서신을 올리기를,
“신등은 욕되게 전하의 옥여를 수행하고, 또 도성밖의 경치가 좋은 곳에 유람했는데 산악은 정기가 한데 뭉쳐서 수려하고 의관이 엄숙하고 장하니, 이는 천하의 장관이었으며 ...
-
일본국왕이 양국 상인간의 거래에 대해 시정과 감독을 청하는 글을 보내다.
일본국왕이 선주(船主) 도행(道幸)을 시켜 예조에 글을 보내기를,
“대개 듣건대, 교역은 있는 것과 없는 것을 융통하는 방도이니, ≪주역(周易)≫의 서합괘(噬嗑卦)에서 취한 것이라 합니다. 주(周)나라에서 시역사(市易司)를 세워서 시장 정책을 균평하...
-
단성현감 조식이 상소하다.
새로 제수된 단성현감(丹城縣監) 조식(曺植)이 상소하였다.
“…… 그리고 신이 보건대, 근래 변방에 변이 있어 여러 대부가 제때에 밥을 먹지 못합니다. 그러나 신은 이를 놀랍게 여기지 않습니다. 그것은 이 사건이 20년 전에 터졌을 것인데 전하의 ...
-
간원이 병조판서 정사룡을 체직할 것을 아뢰다.
간원이 아뢰기를,
“국가의 방어는 변장에게 달려 있으며, 변장에 적합한 사람을 얻는 것은 병조에 달려 있습니다. 주(周)나라의 대사마(大司馬)나 한(漢)나라의 태위(太尉)는 모두 병권이 중한 지위로서 반드시 군사의 업무를 잘 아...
-
조식이 을묘년에 국사를 비판하며 사직 상소를 올리다.
을묘년에 올린 사직상소는 다음과 같다.
“선무랑(宣務郞)으로 새로 단성현감(丹城縣監)에 제수된 신 조식(曹植)은 황공하여 머리를 조아리고 주상 전하께 상소를 올립니다.
…… 그리고 신이 보건대 근래 변방에 변이 있어 여...
-
윤두수가 양총병을 만나 왜적에 대한 정보, 조선군의 투항설 등을 해명하다.
좌의정 윤두수(尹斗壽)가 아뢰었다.
“신이 양총병이 주둔하고 있는 구련성의 촌가에 도착하여 정문하고, 홍수언(洪秀彦)을 시켜 고하게 하기를 ‘과군은 사유격이 힘껏 싸우다가 운명했다는 소식을 듣고 이는 오로지 우리나라 때문이어서 놀랍고 애통함을 이기지...
-
종묘 ․ 사직 ․ 명산 ․ 대천에 두루 제사하고 기도하도록 지시하다.
비망기로 우승지 우준민(禹俊民)에게 전교하기를,
“옛날에 나라에 큰일이 있으면 반드시 산천에 기도하였으니 감통하는 이치를 어찌 속일 수 있겠는가. 옛날에 주무왕(周武王)이 주(紂)를 정벌할 적에 산천에 제사한 일이 있었고, 진나라 부견(符堅)이 중국...
-
마제독의 차관이 승전 상황을 보고하자 위로하고 배웅하다.
마제독(麻提督)의 차관이 첩서를 가지고 울산에서 오니 상이 별전에서 접견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여러 대인들이 소방 때문에 친히 시석을 무릅쓴 탓으로 큰 공이 거의 이루어져 가고 있으니 감격스러움을 견디지 못하겠소이다. 천병이 다치지나 않았소이까?...
-
사헌부가 상에게 자리에서 물러나서는 안 될 것으로 차자를 올리다.
6382. 사헌부가 상에게 자리에서 물러나서는 안 될 것으로 차자를 올리다.
사헌부가 상차하기를,
“신들이 삼가 듣건대, 어첩을 대신들에게 봉하여 내렸다 하니 놀랍고 민망스러움을 견딜 수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