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묘하향제음복연에서 일본국왕사 중 승전 등을 부연하게 하다.
경회루에 나아가 종묘하향제음복연(宗廟夏享祭飮福宴)을 베푸니, 종친으로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褆)·효녕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영응대군(永膺大君) 이염(李琰)·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함녕군(諴寧君) 이인(李⿰礻因)·…
-
문과중시에 책문을 내리고, 왜인 등을 먹이다.
임금이 근정전에 나아가 친히 문과중시(文科重試)를 책문하였는데, 책문에 이르기를,
“도적이 날로 성하고, 육축(六畜)이 번성하지 않고, 군기(軍器)가 단련되지 않으니, 이 세 가지는 이를 생각해 보아도 그 요령을 얻지 못하겠다. 그…
-
사정전에서 일본국 사신 전밀 등에게 잔치를 내려주다.
임금이 사정전(思政殿)에 나아가 상참을 받았다. 내종친 영해군(寧海君) 이상과, 영의정 정인지(鄭麟趾)·운성부원군 박종우(朴從愚)·영중추원사 윤사로(尹師路)·우찬성(右贊成) 신숙주(申叔舟)·판중추원사 이징석(李澄石)·판돈녕부사 송현수(宋玹壽)·병조판서 홍달손(…
-
원의정의 사자인 중 수미를 사정전에서 인견하다.
임금이 사정전에 나아가서 원의정(源義政)의 사자인 중 수미(秀彌) 등 20인을 인견하고 말하기를,
“서계의 말뜻은 내가 이미 자세히 알았다. 청구한 대장경(大藏經)은 마땅히 맡겨 보내겠다.”
하고, 이어서 수미(秀彌) 등에게 명하여 술을 올리게 …
-
행방불명된 일본국 통신사 송처검 등의 녹을 일단 빼앗지 말것을 청하니 따르다.
사간원에서 아뢰기를,
“일본국 통신사 송처검(宋處儉)과 서장관(書狀官) 이근(李覲)이 만리 바닷길에 간고가 극심하여 비록 바람을 만나 패몰되었으나, 오히려 살았는지 죽었는지를 알지 못하는데, 그 직을 갑자기 파면하는 것은 옳지 않습…
-
이극배, 윤자운을 경상도 ․ 충청도 ․ 전라도로 보내 군용을 순찰케 하다.
예조판서 이극배(李克培)를 경상도에, 병조판서 윤자운(尹子雲)을 충청도 · 전라도에 보내어, 군용을 순찰하게 하였다.
-
일본국사신들이 사배례를 마치니 불경 ․ 법책 ․ 채석 ․ 의복을 하사하다.
근정전(勤政殿)에 나아가니, 일본국 사신 준초(俊超)·범고(梵高)와 경극무위(京極武衛) 원교직(源敎直)의 사자가 모두 뜰에 들어와 사배례를 마쳤다. 일본국 사신이 들어와 전 안으로 나아가서 서향(西向)하여 자리하고, 경극무위 원교직 등의 사자와 여러 종사관이 …
-
일본국에 줄 포화를 6백 필로 하다.
명하여 영의정 신숙주(申叔舟)·좌의정 권남(權擥)·우의정 한명회(韓明澮)·예조판서 박원형(朴元亨)을 빈청(賓廳)에 불러서 일본국에 내려줄 포화(布貨)의 숫자를 의논하니, 신숙주 등의 의논이 각각 같지 아니하였다. 한참 있다가 사정전(思政殿)에 나아가서 신숙주 …
-
윤자운이 각도의 연대를 순찰하여 조사할 것을 아뢰다.
경기·충청·전라·경상도 도순찰사 윤자운(尹子雲)이 아뢰기를,
“연대·봉화의 설치는 본래 후망을 통해서 변방의 일을 보고하기 위한 것인데, 지금 여러 도의 연대를 설치한 곳이 낮고 작아서 연기와 봉화 불을 서로 바라볼 수가 없으니, 청컨대 여러 도의 도절…
-
근정전에서 잔치를 베풀고, 진성행 등에게 호피등을 주다.
임금이 근정전(勤政殿)에 나아가 잔치를 베풀었다. 왕세자와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내종친(內宗親)·영의정 신숙주(申叔舟)·좌의정 구치관(具致寬)·인산군(仁山君) 홍윤성(洪允成)·병조판서(兵曹判書) 윤자운(尹子雲)·호조판서(戶曹判書) 김국광(金國光)·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