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참찬 황수신이 ≪경상도지도≫ ․ ≪웅천현도≫를 올리고, 웅천 축성을 청하다.
우참찬(右參贊) 황수신(黃守身)이 ≪경상도지도(慶尙道地圖)≫ 및 ≪웅천현도(熊川縣圖)≫를 올리고 인하여 아뢰기를,
“신이 관찰사가 되어 웅천(熊川) 및 제포(薺浦)를 친히 둘러보니 거기에 항상 거주하는 왜인은 우리 인민과 더불어 어염을 판매하여 서로 왕…
-
예조참의 홍윤성이 변장을 잘 가려서 남방의 수어에 유념할 것을 청하다.
예조참의 홍윤성(洪允成)이 아뢰기를,
“국가에서 양계만 오로지 뜻을 두고 남방의 수어에는 일찍이 유념하지 않았습니다. 더구나 근래에 왜인의 무역하는 자의 형세가 옛과 같지 않습니다. 신은 틈을 타서 입구하면 막을 길이 없을까 염려되니, 청컨대 방어의 계…
-
종묘하향제음복연에서 일본국왕사 중 승전 등을 부연하게 하다.
경회루에 나아가 종묘하향제음복연(宗廟夏享祭飮福宴)을 베푸니, 종친으로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褆)·효녕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영응대군(永膺大君) 이염(李琰)·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함녕군(諴寧君) 이인(李⿰礻因)·…
-
박원형과 구치관이 하삼도의 선제와 진수를 고치는 것이 불가함을 아뢰다.
도승지 박원형(朴元亨)과 좌승지 구치관(具致寬) 등이 아뢰기를,
“근일에 박강(朴薑)에게 명하여 하삼도 여러 포구(浦口)의 배 만드는 제도와 여러 포구와 여러 진을 병합하는 가부를 살펴보게 하였으나, 전라도 · 경상도 두 도는 연전에 크게 흉년이었는데다…
-
하삼도 순찰사 박강과 부사 구치관이 배사하니 전송하게 하다.
경상·전라·충청 삼도 순찰사 지중추원사(知中樞院使) 박강(朴薑)과 부사 이조참판 구치관(具致寬) 등이 배사하니, 사정전에 나아가서 인견하고 소작을 베풀었다. 환관 전균(田畇)에게 명하여 술과 안주를 가지고 가서 한강에서 전송하게 하고, 이어서 풍악을 내려 주었…
-
박강 ․ 구치관에게 창원과 울산에 성을 쌓는 일의 편부를 아뢰게 하다.
경상도·전라도·충청도 순찰사(巡察使) 박강(朴薑)·구치관(具致寬)에게 유시하기를,
“창원(昌原) · 울산(蔚山)은 연해의 큰 고을이어서 성보(城堡)가 없을 수 없다. 의논하는 자가 혹은 말하기를, ‘두 고을은 모두 절제사의 영에 가까워서 비록 사변이 있…
-
하삼도 도순찰사 박강 등에게 행해야 할 일들의 조목을 아뢰게 하다.
충청도·전라도·경상도의 도순찰사 박강(朴薑)과 부사 구치관(具致寬) 등이 경상도·전라도·충청도의 여러 진과 여러 포를 순심하고, 당연히 행할 사건을 아뢰어, 하나씩 하나씩 조목조목을 열기 하였다.
“1. 이보다 앞서 남쪽 변방에서는 수군은 많이 설치했는…
-
병조에서 경상도 유포 ․ 웅천과 전라도 강진에 성을 축조가 급함을 아뢰다.
경상도·전라도·충청도의 도순찰사 박강(朴薑)과 부사 구치관(具致寬) 등이 치계하기를,
“일찍이 내린 유서, ‘「경상도의 창원(昌原) · 울산(蔚山)의 연변 거읍(巨邑)에는 성보가 없을 수 없다.」 고 했는데, 의논하는 자는 말하기를, 「두 고을은 모두 …
-
정인지 등이 양계와 각 지역 연변의 방비 등에 대한 일을 아뢰다.
영의정 정인지(鄭麟趾) 등이 순찰사 박강(朴薑)과 구치관(具致寬)의 계본에 의거하여 의논하였는데, 의논은 이러하였다.
“여러 포는 밖의 번리(藩籬)이요, 여러 진은 다음의 번리입니다. 대저 촘촘하려고 한다면 성기게 하려고 하지 않는 법인데, 촘촘하면 서…
-
모화관에서 술자리를 베풀어 왜국 사자를 위로하다.
임금이 모화관(慕華館)에 거둥하니, 문무백관들이 시위하였으며, 일본국왕사 중 전밀(全密)·영숭(永嵩) 등 9인과 대내전(大內殿) 다다량교홍(多多良敎弘)의 사자인 중 덕모(德模) 등 80여 인도 또한 시위하였다. 장차 무과를 시험하려다가 해양대군(海陽大君)【예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