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묘하향제음복연에서 일본국왕사 중 승전 등을 부연하게 하다.
경회루에 나아가 종묘하향제음복연(宗廟夏享祭飮福宴)을 베푸니, 종친으로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褆)·효녕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영응대군(永膺大君) 이염(李琰)·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함녕군(諴寧君) 이인(李⿰礻因)·…
-
사정전에 나아가 음복연을 베풀 때 왜인과 야인이 시연하다.
사정전에 나아가서 음복연(飮福宴)을 베푸니, 양녕대군 이제(李褆)·효령대군 이보(李補)·임영대군 이구(李璆)·계양군 이증(李璔)·밀성군 이침(李琛)·의창군 이공(李玒)·영해군 이당(李瑭)·운성부원군 박종우(朴從愚)·하동부원군 정인지(鄭麟趾)·우의정 강맹경(姜孟…
-
사정전에 나아가 납향제의 음복연을 베풀니 왜인과 야인도 시연하다.
사정전(思政殿)에 나아가 납향제(臘享祭)의 음복연(飮福宴)을 베푸니, 왕세자와 종친·육조참판이상과 승지 등이 시연하고, 왜인·야인들도 시연하였는데,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褆)와 우의정 강맹경(姜孟卿)이 술잔을 올렸다. 군사들에게 술을 내려 주었다.
-
경회루에 나아가 연회를 베풀고, 왜국사자 수미등을 인견하다.
임금이 경회루(慶會樓) 아래에 나아가서 연회를 베풀고 관사(觀射)하니, 양녕대군 이제(李褆)·효령대군 이보(李補)·임영대군 이구(李璆)·함녕군 이인(李⿰礻因)·익녕군 이치(李⿰示多)·계양군 이증(李璔)·의창군 이공(李玒)·밀성군 이침(李琛)·익현군 이관(李璭)…
-
경회루에서 활쏘는 것을 구경하고 일본국 사자 수미 등을 인견하다.
임금이 경회루(慶會樓) 아래에 나아가서 활 쏘는 것을 구경하니, 양녕대군 이제(李褆)·효령대군 이보(李補)·계양군 이증(李璔)·영해군 이당(李瑭)·영천부원군 윤사로(尹師路)·하동부원군 정인지(鄭麟趾)·좌의정 강맹경(姜孟卿)·우의정 신숙주(申叔舟)·좌찬성 황수신…
-
근정전에서 연회를 베푸니, 야인 ․ 왜인 등이 입시하다.
근정전(勤政殿)에 나아가서 연회를 베푸니, 효령대군 이보·임영대군 이구·익녕군 이치·계양군 이증·의창군 이공·밀성군 이침·익현군 이관·영해군 이당·의성군 이심·순성군 이애·운성부원군 박종우·화천군 권공·오산군 이주·함양경 이포·보성윤 이합·낙안윤 이몽·영천윤 …
-
모화관에 거둥하여 왜인과 야인에게 술을 내리다.
모화관(募華館)에 거둥하여 활 쏘는 것을 구경하니, 양녕대군 이제·효령대군 이보·임영대군 이구·영응대군 이염·익녕군 이치·계양군 이증·밀성군 이침·익현군 이관·영해군 이당·의성군 이심·순성군 이애·오산군 이주·영순군 이부·원천경 이의·의평군 이원생·귀성윤 이준…
-
근정전에서 음복연을 베풀고 유구국의 사신을 인견하다.
새벽에 임금이 경복궁(景福宮)에 거둥하여 대가의장(大駕儀仗)을 갖추고, 근정전(勤政殿)에 나아가서 음복연(飮福宴)을 베풀고, 유구국 사신을 인견하였다. 시연관(侍宴官)이 동서의 뜰에 나누어 서는데 자리를 달리하여 겹줄로 하였다. 통사가 유구국의 사신을 인도하고…
-
선정전에 나아가 연회를 베풀고 대내전의 상관인과 부관인에게 물건을 내려주다.
선정전(宣政殿)에 나아가 술자리를 베풀고, 대내전(大內殿)의 사인인 상관인 원숙(元肅)과 부관인 주촌(朱村) 등을 인견하였는데, 덕원군 이서․하성부원군 정현조․옥산군 이제(李躋)․정양군 이순(李淳)․운산군 이계(李誡)․팔계군 이정․풍천위 임광재․좌의정 홍응․우…
-
각도와 각포의 만호와 첨사 중에 적간에 걸린 자를 파직하다.
헌부가 아뢰기를,
“각 도 각 포의 만호와 첨사들을 어사가 적간할 때에 현착한 가운데에서 더욱 심한 자 경상도의 10원【부산포첨사 김한질(金漢軼)·두모포만호(豆毛浦萬戶) 이희적(李熙勣)·감포만호(甘浦萬戶) 고식손(高湜孫)·해운포만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