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MKSDB / DB / 한일관계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Historical Materials

Article 19,598 Korean Studies Content 453 View with Viewer
Sort
By most recent record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16년 (14334)
    왜인 종언차랑과 종정성이 보낸 마두보 등을 접대하다.
    예조에서 아뢰기를, “이번에 온 왜인 종언차랑(宗彦次郞)은 전에는 비록 통신하고 지내던 사람이 아니오나, 종정징(宗貞澄)의 양자로서 그 토지를 전해 받은 자입니다. 다른 예에 의하여 접대하시고, 또 종정성이 보낸 마두보(馬豆甫) 등도 기왕…
    #종언차랑 #통신 #종정징 #종정성 #마두보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16년 (14334)
    왜인 종언차랑이 서계없이 쌀을 청구하므로 이를 거절하다.
    왜인 종언차랑(宗彦次郞)이 사람을 시켜 쌀을 청구하므로, 예조에서 아뢰기를, “이 사람은 이제부터 통신하는 사람이옵니다. 또 서계도 없이 단지 사인의 말만으로 쌀을 주기는 타당치 못하오니, 감호관(監護官)으로 하여금 예조에 고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대답하…
    #종언차랑 #통신 #감호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18년 (1436)
    종정성 ․ 종언차랑 ․ 적하리 등이 토물을 바치다.
    종정성(宗貞盛)이 보낸 온 등린(等麟) 등 3인과 종언차랑(宗彦次郞)이 보내온 가지로(加知老) 등 2인과, 야인천호(野人千戶) 적하리(赤下里) 등이 와서 토물을 바쳤다.
    #종정성 #등린 #종언차랑 #가지로 #적하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19년 (1437)
    종정성 등이 토의를 바치다.
    종정성(宗貞盛)․종언차랑(宗彦次郞)․성세(盛世) 등이 사람을 보내어 토의를 바쳤다.
    #종정성 #종언차랑 #성세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19년 (1437)
    종언차랑이 양식을 청하니 쌀 ․ 콩 등을 하사하다.
    종언차랑(宗彦次郞)이 사람을 보내어 양식을 청하니, 쌀과 콩 합계 20석을 하사하였다.
    #종언차랑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20년 (1438)
    의정부에서 종정성의 문인이 없는 왜인의 접대는 허락하지 말도록 할 것을 아뢰다.
    의정부에서 아뢰기를, “금번에 이예(李藝)를 파견하여 대마주(對馬州)에 가서 종정성(宗貞盛)과 더불어 이미 약속을 정하고 있사오니, 바라옵건대, 이제부터 대마주의 종언칠(宗彦七) ․ 종언차랑(宗彦次郞) ․ 종무직(宗茂直)과, 만호(…
    #이예 #대마주 #종정성 #종언칠 #종언차랑 #종무직 #조전 #육랑차랑 #일기 #지좌전 #좌지전 #구주 #전평전 #대우전 #살마주 #석견주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21년 (1439)
    종정성이 중국으로 도적질 떠나는 육랑차랑에게 조선 국경을 범하지 말라 하였다고 예조에 이문하다.
    경상도관찰사가 예조에 이문(移文)하기를, “왜인 다라시라(多羅時羅)가 와서 고하기를, ‘이제 들으니, 왜적의 만호 육랑차랑(六郞次郞)이 중국으로 도적질하러 가고자 종정성(宗貞盛) ․ 종여직(宗汝直) ․ 종언칠(宗彦七) ․ 종언차랑(…
    #다라시라 #왜적 #육랑차랑 #중국 #종정성 #종여직 #종언칠 #종언차랑 #조선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21년 (1439)
    대마주 종언차랑이 토물을 바치다.
    대마주(對馬州) 종언차랑(宗彦次郞)이 사람을 보내어 토물을 바치고, 인하여 군량(軍糧)을 청하므로 베 5필과 쌀과 콩 각각 10석을 하사하였다.
    #대마주 #종언차랑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24년 (1442)
    조회에서 종언차랑 등이 보낸 토물을 받다.
    임금이 근정문(勤政門)에 나아가서 조회를 받았다. 종언차랑(宗彦次郞)이 보낸 가지로(加知老)․시라보(時羅甫) 등 2인과, 대마도(對馬島)의 도만호(都萬戶)인 육랑(六郞) 등 5인과, 종정성(宗貞盛)이 보낸 나이조(羅伊照) 등 4인과, 오랑합(吾郞哈)의 대두마(…
    #종언차랑 #가지로 #시라보 #대마도 #육랑 #종정성 #나이조 #대두마 #이정개 #누시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25년 (1443)
    대마도의 종성가 등이 토물을 바치니 의복 ․ 갓 ․ 목화를 내려주다.
    대마도의 종성가(宗盛家)가 소대랑(小大郞) 등 2인을 보내고, 종언칠(宗彦七)이 피공고라(皮孔古羅) 등 2인을 보내고, 종언차랑(宗彦次郞)이 피공고로(皮孔古老) 등 2인을 보내어 토물을 바치니, 의복과 갓․목화를 내려 주었다.
    #대마도 #종성가 #소대랑 #종언칠 #피공고라 #종언차랑 #피공고로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2Next PageLast Page총 12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