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MKSDB / DB / 한일관계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Historical Materials

Article 19,598 Korean Studies Content 453 View with Viewer
Sort
By most recent record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10년 (1428)
    구주의 종금이 예조에 글을 올리다.
    구주의 종금(宗金)이 예조에 글을 올리기를, “가만히 듣자오니 대국(大國)에서 사절을 보내어 장차 우리나라의 상사를 조위하고자 하신다 하오니, 방금 천기가 한절을 향하고 있을 뿐더러 만리 바닷길에 풍파가 안온하지 못하오니, 봄을 기다려서 선척을 발송하시…
    #구주 #종금 #대우 #대내 #대우전 #등원만정 #종언칠 #종성국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11년 (1429)
    박서생이 시행할만한 일들을 갖추어 아뢰다.
    통신사 박서생(朴瑞生)이 시행할 만한 일들을 갖추어 아뢰기를, “1. 신이 일본에 이르러 대마도(對馬島)로부터 병고(兵庫)에 이르기까지 적들의 수효와 왕래하는 길을 살펴보오니, 대마도와 일기주 사이의 내외의 큰 섬들과 지하(志賀) ․ 평호(平戶) 등의 …
    #통신사 #박서생 #일본 #대마도 #병고 #일기주 #지하 #평호 #적간관 #사주 #조호 #사도 #종정성 #대내전 #종상전 #풍후주 #대우전 #일기 #지좌 #좌지전 #평호자 #교린 #김신 #관량 #한강 #임진강 #왜관한증 #해적 #박대 #망고라 #유구국 #피로 #등차랑 #이생 #강남 #남만 #왜적 #일기도 #회례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12년 (1430)
    태재소이 등이 예조에 글을 보내 미곡과 저포 등을 내려줄 것을 간청하다.
    태재소이(太宰小二)와 소법사와(小法師瓦)가 예조에 글을 보내기를, “지난해 겨울부터 대마주에 와서 우거하고 있사오니 보호 구제해 주시기를 원하오며, 또 경도(京都)에 예물을 보내고자 하오니, 비옵건대, 면주 혹은 저포 1천 필과 미곡을 하사해 주소서.”…
    #태재소이 #소법사와 #대마주 #황희 #맹사성 #허조 #구주 #소이 #대마도 #신상 #최부 #대내전 #대우전 #소이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20년 (1438)
    의정부에서 종정성의 문인이 없는 왜인의 접대는 허락하지 말도록 할 것을 아뢰다.
    의정부에서 아뢰기를, “금번에 이예(李藝)를 파견하여 대마주(對馬州)에 가서 종정성(宗貞盛)과 더불어 이미 약속을 정하고 있사오니, 바라옵건대, 이제부터 대마주의 종언칠(宗彦七) ․ 종언차랑(宗彦次郞) ․ 종무직(宗茂直)과, 만호(…
    #이예 #대마주 #종정성 #종언칠 #종언차랑 #종무직 #조전 #육랑차랑 #일기 #지좌전 #좌지전 #구주 #전평전 #대우전 #살마주 #석견주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20년 (1438)
    의정부에서 각 섬의 왜인에게 행상을 경과하는 데에 소요되는 양곡의 양을 적절히 감할 것을 아뢰다.
    의정부에서 아뢰기를, “이 앞서 모든 섬의 왜인들에게 의례히 행상을 경과하는 데에 소요되는 양곡을 주어 왔사온데, 종정성(宗貞盛)과 종무직(宗茂直)이 보낸 사람에게는 10일분의 식량을 주고, 일기주에서 보내 온 사람에게는 20일 분…
    #종정성 #종무직 #일기주 #좌지전 #구주 #종금 #비주태수 #원의 #석견주 #주포겸정 #살마주 #등원희구 #부산포 #대마주 #지좌전 #비주 #등관심 #대우전 #풍후주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21년 (1439)
    이예가 왜인들의 위조 서계의 문제를 말하다.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 이예(李藝)가 이르기를, “왜인으로서 종정성(宗貞盛) ․ 종언칠(宗彦七) ․ 종무직(宗茂直) 등의 서계를 받아서 오는 자들을 신이 자세히 살펴보니, 모두 대마도 사람만이 아니오며, 간혹 농업을 일삼지 아니하고 도둑질로 업을 삼…
    #이예 #종정성 #종언칠 #종무직 #대마도 #좌지전 #지좌전 #살마주 #석견주 #대우전 #소이전 #대내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문종실록
    문종 즉위년 (1450)
    일본국 관서의 비주 ․ 축주 태수가 토물을 바치고 예조에 치서하다.
    일본국 관서(關西) 비주(肥州)․축주(竺州) 두주의 태수 등원조신국지위방(藤原朝臣菊池爲房)이 가라무라(加羅無羅) 등 8인을 보내어 와서 토물을 바치고, 예조에 치서하였다. “지난번에 귀국(貴國)의 아름다운 교화(敎化)를 삼가 듣고 통호(通好)하여 앞으로…
    #일본국 #관서 #비주 #축주 #등원조신국지위방 #가라무라 #정만 #향화 #등현 #구주 #대내전 #소이전 #대우전 #국지전 #박다 #국지위방 #도서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조실록
    세조 1년 (1455)
    겸판예조사 강맹경 등이 왜호군 등구랑에게 구주의 토지 ․ 부락에 관하여 묻다.
    겸판예조사(兼判禮曹事) 강맹경(姜孟卿)·참판(參判) 하위지(河緯地)·참의(參議) 홍윤성(洪允成) 등이 왜호군(倭護軍) 등구랑(藤九郞)을 접견하고 말하기를, “우리들이 모두 본조에 새로 취임하여 구주(九州)의 토지의 대소 및 부락의 수효를 알지 못하고 있…
    #강맹경 #하위지 #홍윤성 #왜호군 #등구랑 #구주 #경상도 #종상사무씨경 #종상조신씨정 #종상전 #종금 #조선국 #도서 #일본국왕 #대내전 #소이전 #일기도 #지좌 #일기 #비주 #상송포 #진궁 #관서도 #원교직 #겸창전 #원지직 #등희구 #호자 #염진 #주포화겸 #원납 #오도 #우구수 #다다랑조신 #대우전 #단후태수 #원성 #원덕의영 #목산원실 #비전주 #평호전 #이예 #일본 #조선 #대마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명종실록
    명종 12년 (1557)
    대마도 세견선이 명나라 장 부사가 대마도에 보낸 자문을 가지고 오다.
    예조가 아뢰기를, “대마도의 제일(第一) 세견선(歲遣船)이 이제 비로소 나왔습니다. 그 서계의 사연에, 명나라의 부사로 성이 장(蔣)인 자의 자문(咨文)【*】이라는 것이 있었는데, 이해하기 어려운 말이 많아서 한리학관(漢吏學官)을 …
    #대마도 #세견선 #명 #장용계 #일본국 #일본국왕 #대우전 #왜적 #덕양수좌 #적왜 #평강차 #중국 #일본 #절강 #해호 #절충 #이어 #진주 #오도 #송포 #박다 #풍후 #대우씨 #덕양좌수 #안남국 #진씨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성종실록
    성종 2년 (1471)
    원풍구 ․ 친상 ․ 종정수 등의 사신들을 인견하고 물건을 내리다.
    선정전(宣政殿)에 나아가서 원풍구(源豊久)가 사신으로 보낸 중 원수장주(圓守藏主) 등을 인견하니, 원상(院相) 정인지(鄭麟趾)·정창손(鄭昌孫)·신숙주(申叔舟)·한명회(韓明澮)·최항(崔恒)·홍윤성(洪允成)·조석문(曹錫文)·윤자운(尹子雲)·김국광(金國光)이 입시하…
    #원풍구 #원수장주 #정인지 #정창손 #신숙주 #한명회 #최항 #홍윤성 #조석문 #윤자운 #김국광 #원의송 #친상 #사두림분쇄문 #대우전 #종정수 #이난사야문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2Next PageLast Page총 17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