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마도의 종성가 등이 토물을 바치니 의복 ․ 갓 ․ 목화를 내려주다.
대마도의 종성가(宗盛家)가 소대랑(小大郞) 등 2인을 보내고, 종언칠(宗彦七)이 피공고라(皮孔古羅) 등 2인을 보내고, 종언차랑(宗彦次郞)이 피공고로(皮孔古老) 등 2인을 보내어 토물을 바치니, 의복과 갓․목화를 내려 주었다.
-
왜인을 접대하는 것이 옳은지를 영돈녕 이상에게 의논하도록 하다.
임금이 왜인 의직(義直) 등 6인을 접대하는 것이 적당한가 적당하지 못한가를 영돈녕(領敦寧) 이상의 관원에게 의논하도록 명하였다. 정창손(鄭昌孫)은 의논하기를,
“우리나라는 대마도(對馬島)를 후대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먼 곳에 있는 왜인은 우리나라에…
-
일본국 대마주에서 토물을 바치고 조회를 하다.
일본국(日本國) 대마주태수(對馬州太守) 종정국(宗貞國)이 사람을 보내어 토물을 바쳤고, 왜호군 피공고라(皮孔古羅) 등 3명이 와서 조회하였다.
-
왜호군 피공고라 ․ 우사랑 ․ 성수 등이 방물을 바치다.
왜호군(倭護軍) 피공고라(皮孔古羅)·우사랑(又四郞)·성수(盛數) 등이 와서 방물을 바쳤다.
-
대마주선위관 사역원첨정 전양민이 하직하다.
대마주선위관(對馬州宣慰官) 사역원첨정(司譯院僉正) 전양민(田養民)이 하직하였다. 그가 가지고 가는 글에 이르기를,
“예조참의 김영유(金永濡)는 글을 대마주태수 종공족하(宗公足下)에게 드립니다. 귀도는 우리나라와 대단히 가깝고 통호한 지 이미 오래되어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