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MKSDB / DB / 한일관계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Historical Materials

Article 19,598 Korean Studies Content 453 View with Viewer
Sort
By most recent record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5년 (1426)
    병조에서 대마주의 사신에 대해 후대할 것을 건의하다.
    병조에서 경상도감사의 관문에 의하여 계하기를, “대마주의 파지라사문(波知羅沙門)이 자기 집에서 부리던 피로된 본국인 김삼(金三)·박양잠(朴陽箴) 및 그의 일가에서 부리던 박기(朴奇)·금순(今順) 등의 사람들을 모두 보내 왔으니 그 마음이 …
    #대마주 #파지라사문 #피로 #김삼 #박양잠 #박기 #금순 #문이라 #서울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5년 (1426)
    대마도 화지난쇄무에게 면포 등을 하사하다.
    대마도 화지난쇄무(和知難洒無)가 피로된 당인(唐人) 남삼(藍三) 등 4명을 돌려보내니, 면포 40필과 쌀 10석을 주게 하고, 남삼 등에게는 의과와 갓․신을 주게 하였다.
    #대마도 #화지난쇄무 #피로 #남삼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5년 (1426)
    왜에 잡힌 당인 영관보에게 의복 등을 하사하다.
    왜인에게 피로된 당인(唐人) 영관보(榮官保)에게 의복․갓․신과 저마포(苧麻布) 각 1필을 주고, 첨지사역원(僉知司譯院) 배온(裵蘊)을 보내어 요동으로 돌려보냈다.
    #피로 #영관보 #배온 #요동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5년 (1426)
    원도진이 객인을 보내 피로인을 쇄환하다.
    원도진(源道鎭)이 객인 이라삼보라(而羅三甫羅)를 보내어 본국 사람으로서 피로된 1명을 거느리고 왔으므로, 면포 5필을 주라고 명하였다.
    #원도진 #이라삼보라 #피로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5년 (1426)
    일본국 회례사 서장관 오경지가 돌아와 복명하다.
    일본국 회례사 서장관 봉례랑 오경지(吳敬之)가 돌아와서 복명하고, 인하여 계하기를, “회례사 박희중(朴熙中)은 본국의 피로된 사람들을 찾아오려고 박다(博多)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하였다.
    #일본국 #회례사 #서장관 #오경지 #박희중 #피로 #박다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5년 (1426)
    도망해온 당인 삼림 등에게 옷 등을 하사하다.
    피로되었다가 도망해 온 당인 산림(散林)․존림(存林)․주지(奏只) 등에게 옷과 갓과 신을 하사하였다.
    #피로 #산림 #존림 #주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5년 (1426)
    일향 ․ 대우 ․ 원구풍 등이 토물을 바치다.
    일향대우살마주태수 수리대부장작(日向大隅薩摩州太守修理大夫匠作)인 원구풍(源久豐)과 〈그의〉 아들 원귀구(源貴久)가 사람을 보내어 토의를 바치고, 구풍이 좌우대정승(左右大政丞)에게 글을 보내기를, “훈풍 만 리 길에 바다와 하늘을 바라보니, 오색구름이 삼각…
    #일향대우살마주태수 #원구풍 #원귀구 #구풍 #피로 #신상 #성염조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6년 (1424)
    왜통사 윤인보와 그의 아우 윤인시, 왜노 3명을 의금부에 가두다.
    왜통사 윤인보(尹仁甫)와 그의 아우 윤인시(尹仁始)와 그의 집에 있는 왜노 3명을 의금부에 가두고, 영의정 유정현과 참찬 안순(安純)․병조판서 조말생․대사헌 하연․형조판서 권진(權軫)․동부대언(同副代言) 정흠지(鄭欽之)․우사간(右司諫) 박관(朴冠)을 보내어 합…
    #왜통사 #윤인보 #윤인시 #왜노 #유정현 #안순 #조말생 #하연 #권진 #박관 #피로 #대마도 #일본국왕 #조선 #대장경판 #경판 #규주 #범령 #가하 #이춘발 #화엄경판 #화엄경 #왜관녹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6년 (1424)
    일본국 사신들이 예궐하여 절하고 하직하다.
    일본국왕 사신이 예궐하여 절하고 하직하니, 임금이 흰 옷에 익선관(翼善冠)과 흑대(黑帶) 차림으로 인정전에 거둥하여 알현하게 하였다. 정사 규주(圭籌)와 부사 범령(梵齡)을 전 안에 들어오게 하고, 도선주 구준(久俊)은 서계(西階)에 있게 하였다. 임금이 규주…
    #일본국왕 #규주 #범령 #구준 #최고음 #피로 #회례사 #대장경판 #화엄경판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6년 (1424)
    영의정 유정현 등을 불러 당인 장청 등의 본국 송환을 논의하다.
    임금이 영의정 유정현(柳廷顯)․좌의정 이원(李原) 등을 불러서 말하기를, “지난번에 당인 장청(張淸)을 조정 논의에 따라 전주(全州)에 우거하게 하였으나, 내 마음에 몹시 미안했소. 경들은 깊이 생각하여서 말을 하오. 전번에 〈장청에게〉 관직을 주어서 …
    #유정현 #이원 #장청 #전주 #피로 #중국 #일본 #박희중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23Next PageLast Page총 25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