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의준 ․ 평만경이 예조에 대장석전의 하사에 감사하는 서신과 예물을 보내다.
원의준․평만경 등이 사람을 보내어 토의를 바치었다. 원의준이 예조에 서신을 보냈는데, 그 서신에,
“우리 국왕이 청구한 대장석전(大藏釋典)을 보내 주심을 보니 은혜롭습니다. 〈대장석전〉을 실은 배가 대마도에서 바로 장문주(長門州)의 적간관(赤間關)에 이…
-
일본 전 총관 원도진이 대장경 청구하는 글을 예조에 올리다.
일본 구주전총관(九州前摠管) 원도진(源道鎭)과 축주부석성관사(筑州府石城管事) 평만경(平滿景) 등이 사람을 보내어 토의를 바치고, 원도진이 예조에 글을 올렸는데, 그 글에,
“우리 전하께서 전년에 대장경을 구하니, 귀국에서 즉시 보내주신 은혜를 베푸셨으며…
-
구주 다다량덕웅 ․ 평만경 등이 토의를 바치다.
일본 구주(九州) 다다량덕웅(多多良德雄)․축전주관사(筑前州管事) 평만경(平滿景) 등이 사람을 보내어 토의를 바치고, 다다량덕웅이 예조에 글을 올려 말하기를,
“받들어 듣건대, 지난해에 태상황께서 세상을 버리셨다 하니, 이는 귀국의 큰 상고입니다. 엎드려…
-
일향 ․ 대우 ․ 원구풍 등이 토물을 바치다.
일향대우살마주태수 수리대부장작(日向大隅薩摩州太守修理大夫匠作)인 원구풍(源久豐)과 〈그의〉 아들 원귀구(源貴久)가 사람을 보내어 토의를 바치고, 구풍이 좌우대정승(左右大政丞)에게 글을 보내기를,
“훈풍 만 리 길에 바다와 하늘을 바라보니, 오색구름이 삼각…
-
왜승 가하 ․ 통사 이춘발 ․ 윤인시를 대질 심문한 후 불문에 붙이기로 하고 석방하다.
왜승 가하(加賀)에게서 나온 서장의 사의가 횡역하고 무례하거늘 규주(圭籌) 등이 모두 알지 못한다 하며, 하늘을 가리켜 맹세하면서 힘써 변명하고, 가하는 도리어
“통사 이춘발(李春發)이 나를 꾀면서 ‘만일 이 글만 내놓게 되면 국가에서 반드시 후하게 상…
-
장청의 거주지를 서울 근도로 정해 주다.
임금이 정부와 육조에 이르기를,
“이제 도망 온 장청(張淸)이 글도 알고 사리를 아는 자이니, 그로 하여금 서울 안에 거주하게 하기로 나의 뜻을 이미 정하였으나, 다시 생각하여 보니, 중국 사신이 나오게 되면 그들로 하여금 나가서 보지 못…
-
구주도원수 원의준이 여러 물품을 바치니 판서 신상이 답서하다.
일본 구주도원수 원의준(源義俊)이 사람을 보내어 유황 3,000근, 동 1,000근, 단목(丹木) 1,000근, 납 100근, 진피(陣皮)․청피(靑皮)․양강(良薑)․봉아출(蓬莪朮)․감초(甘草)․곽향(藿香)․광견(光絹)․선자(扇子), 서각(犀角), 주반(朱槃) …
-
왜객에게 동철을 사는 것을 방해하지 못하게 하다.
경상도감사가 왜객의 동철을 산 사람을 추문하여 계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동철을 사사로이 사는 것에 대한 금령이 있는가.”
하니, 예조판서 신상이 아뢰기를,
“동전을 주조한 후에는 국용이 되어 금령이 있습니다.” …
-
대마도 등에 억류당한 사람들을 찾아오는 것 등에 대해서 의논하다.
예조판서 신상(申商)이 계하기를,
“대마도 등 세 섬에 우리나라 사람으로서 억류당한 사람이 아직 많으니 사람을 보내어 찾아오게 함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그것을 의논하라.”
하였다.…
-
종정성이 보낸 사람이 백성이 되기를 원했으나 허락하지 않다.
정사를 보았다. 예조판서 신상(申商)이 계하기를,
“이번에 온 종정성(宗貞盛)의 보낸 사람이 전지를 받고 우리나라의 백성이 되기를 원합니다.”
하니, 임금이 찬성 권진(權軫)에게 묻기를,
“태종 때에도 또한 이와 같은 자가 있었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