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종고종 11년(1224) 갑신년고종 11년(1224) 갑신년11년 봄 정월 초하루 무술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병오일. 몽고사신 저고여[札古也] 등 10명이 왔다. 무신일. 동진국(東眞國)에서 사신을 보내 공문 두 통을 전달했는데 그 내용은 각각 다음과 같다. “몽고의 칭기스[…
-
고종고종 18년(1231) 신묘년고종 18년(1231) 신묘년18년 여름 4월. ○ 가뭄이 들었다. 5월 초하루 병술일. 가뭄이 계속되자 전국의 죄수들을 사면했다. 무자일. 다시 기우제를 지냈다. 6월 초하…#기우제 #봉은사 #왕륜사 #몽고 #원수 #살리타이 #함신진 #철주 #최우 #대장군 #채송년 #북계병마사 #귀주성 #서경성 #황주 #봉주 #철도 #북계 #용주 #부사 #위소 #선주 #곽주 #평주 #전중시어사 #김효인 #동진 #낭장 #지의심 #개경 #여진 #귀주 #신서문 #안북성 #후군진주 #대집성 #진주 #지병마 #기병 #우군 #중군 #장군 #이언문 #정웅 #우군판관 #채식 #동계 #화주 #동진군 #선덕진 #도령 #문하시중 #이항 #북계분대어사 #민희 #병마판관 #원외랑 #최계년 #분대관인 #오군병마 #선의문 #포도 #금교 #적거 #오산 #탕꾸 #포리 #예성강 #흥왕사 #어사 #지합문사 #최공 #접반사 #의장대 #선은관 #안북도호부 #대관전 #양털 옷 #양털 모자 #활 #칼 #자줏빛 비단 도포 #허리띠 #공문 #살리타고르치 #흑거란 #거란 #차라 #카치운 #사신 #화리일녀 #저고여 #아토 #금으로 만든 술그릇 #술잔 #쟁반 #은병 #수달가죽으로 만든 옷 #비단 #모시 #회안공 #왕정 #광주 #충주 #청주 #베 #말다래 #말굴레장식 #조숙창 #대몽고국 #살리타코르치 #구슬 #수달피 #거위 털로 만든 좋은 의복 #자색 비단 #대마 #소마 #오로토 #지빈목 #도호 #주전자 #술잔받침 #모시베 #적황색 말 #안장 #웃옷 #말 #조시저 #술그릇 #백은 #식기 #수놓은 옷 #붉은 집으로 만든 웃옷 #은도금 허리띠 #명주 웃옷 #수달가죽 #능라깁으로 만든 웃옷 #가불애 #상국 #털옷 #모자 #안장 딸린 말
-
고종고종 19년(1232) 임진년고종 19년(1232) 임진년19년 봄 정월 임오일. 몽고의 사신이 도착했다. 계미일. 내전에서 사신을 위해 잔치를 베풀었다. 임진일. 몽고군이 철수하자 회안공(淮安公) 왕정(王侹), 수재(首宰) 김취려(金就礪), 대장군 기윤숙(奇允肅) 기윤숙(?~?) 본관은 …#몽고 #사신 #내전 #회안공 #왕정 #수재 #김취려 #대장군 #기윤숙 #법왕사 #충주 #관노 #반란 #재추 #최우 #청주판관 #유홍익 #주서 #박문수 #봉어사 #김공정 #안무별감 #박돈보 #동북면병마사 #우간의 #유준공 #서북면병마사 #최임수 #지서경유수 #개경 #노군도령령사 #지광수 #우본 #삼군 #삼령군 #연등회 #봉은사 #도단 #왕륜사 #전목사 #건성사 #양제방 #광화문 #우승선 #유경현 #영송판관 #낭중 #민회적 #술그릇 #모시베 #거란 #강동성 #현성사 #통사 #지의심 #녹사 #홍거원 #살리타이 #개주관 #선성 #서경도령 #정응경 #정주부사 #박득분 #배 #용주포 #선주 #상장군 #조숙창 #시어사 #설신 #나 #견 #능 #주 #말다래 #부채 #그릇 #포백 #수달가죽 #원수 #병마사 #의주 #의주성 #기우제 #문진 #선경전 #정무 #대집성 #북계 #용강 #다루가치 #자연도 #교위 #송득창 #강화 #이령군 #선의문 #지문하성사 #김중구 #지추밀원사 #김인경 #왕경유수병마사 #팔령군 #안남판관 #곽득성 #백악 #내시 #윤복창 #승천부 #서경순무사 #민희 #사록 #최자온 #서경 #평주 #유수 #판관 #분대어사 #저도 #참지정사 #유승단 #송립장 #허공재 #사타 #조병마 #조숙장 #포선만노 #금나라 #카치운 #차라 #저고여 #파속로 #우가하 #왕호비 #대관인 #처인성 #동진 #수주 #처인부곡
-
고종고종 40년(1253) 계축년고종 40년(1253) 계축년40년 봄 정월 초하루 경진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2월 ○ 최항(崔沆)을 문하시중․판이부․어사대사로 임명했다. ○ 왕이 대궐로 돌아 왔다. 경신일. 안경후…#최항 #문하시중 #판이부 #어사대사 #안경후 #왕간 #연등회 #봉은사 #현성사 #동계병마사 #동진 #동주 #공덕천도량 #건성사 #복령사 #묘통사 #오랑캐 #북계병마사 #몽고 #원주 #아모간 #홍복원 #송주 #동계 #북계 #대이주 #왕륜사 #화엄신중도량 #인왕도량 #외원 #구요당 #예구대왕 #아토 #제포궁 #포백 #사면 #양반 #남반 #잡로 #동정직 #홍유후 #설총 #문창후 #최치원 #주․부․군․현 #진 #역 #잡척 #장전 #무산계 #약사전 #천병신중도량 #압록강 #안찰사 #순문사 #대동강 #하마탄 #화주 #갑곶강 #교위 #대금취 #우봉별초 #금교 #흥의 #말 #활 #화살 #갑옷 #유배 #원수 #예구 #육사 #서해도 #양산성 #낭장 #최동식 #토산 #경령전 #고주 #척후 #광주 #재추 #안경공 #동주산성 #전주성 #반석역 #별초지유 #이주 #대장군 #고열 #승천부 #백마산 #동북계 #술그릇 #비단 #삼베 #수달 가죽 #삿갓 #띠 #이송무 #중양절 #충주 #창정 #최수 #금당협 #대정 #춘주성 #등주 #금양성 #양근성 #방호별감 #윤춘 #천룡산성 #황려 #현령 #정신단 #조방언 #양주 #승선 #이세재 #내시 #민양선 #시중 #소경 #정수 #경산부 #영안백 #왕희 #복야 #김보정 #우열 #왕만호 #팔관회 #법왕사 #남경 #수주 #병부상서 #한림학사 #김효인 #개경 #보정문 #강화도 #사신 #몽고대 #야별초 #교동 #평주성 #장자방 #둔장 #다루가치 #호화 #수달가죽 #소재도량 #제포관 #초제 #왕창 #후릉 #예릉 #경상주도 #임주 #백마 #서대 #흰모시
-
고종고종 44년(1257) 정사년고종 44년(1257) 정사년44년 봄 정월 초하루 정해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병진일. 재추(宰樞)들이, 몽고가 해마다 전란을 일으키니 아무리 힘껏 섬겨도 이득이 없다고 의견을 모은 후, 봄철마다 정기적으로 보내는 공납을 중지하기로 결정했다. …#재추 #몽고 #공납 #연등회 #봉은사 #현성사 #건성사 #복령사 #묘통사 #문하시랑평장사 #기윤숙 #왕륜사 #외제석원 #원주 #도적 #안열 #반란 #장군 #윤군정 #낭장 #권찬 #흥원창 #송비 #돈정 #당로 #중서령 #최항 #동진 #동주 #참형 #교수형 #기거주 #김수강 #진세기 #동북면병마사 #분사어사 #안희 #영풍 #병장기 #군마 #청천강 #용강 #함종 #등주 #방호별감 #태주 #부사 #최제 #척후병 #개경 #장작감 #이응 #평장사 #김태서 #남경 #보파대 #쟈릴타이 #직산 #시어사 #김식 #서북면병마사 #서경 #승천관 #제포관 #최의 #우부승선 #안북부 #상장군 #조성 #대정 #신거룡 #유배 #최자 #김보정 #영안공 #왕희 #은병 #술 #과일 #봉주 #송산 #승천부 #갑곶강 #대안 #신사 #주과 #은폐 #수달가죽 #신위도 #맹주 #호수 #별장 #이성의 #유거 #강도 #왕아낭가대 #왕도 #정옥 #이양 #교정소 #참수 #염주 #내시소경 #선인열 #붉은 가죽 띠 #창린도 #이수송 #별초 #외원 #구요당 #팔관회 #법왕사 #정준 #지문하성사 #이세재 #어사대부 #박홍무 #추밀원부사 #황보기 #좌복야 #안경공 #왕창 #최영
-
원종원종 3년(1262) 임술년원종 3년(1262) 임술년3년 여름 4월 ○ 판비서성사(判秘書省事) 박륜(朴倫) 박륜(?~1268) 고종 때 과거에 급제한 이후 원종 때까지 판비서성사(判秘書省事)․추밀원우승선(樞密院右承宣)․수사공(守司空)․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를 역임한 문신관료이다. 그에 대해서는 『고려사』…#판비서성사 #박륜 #몽고 #매 #새매 #역마 #다루가치 #현성사 #안탈릉철아 #예부시랑 #유헌 #접반사 #강화상 #구리 #붉은 구리 #놋쇠 #재추 #문․무 관원 #태백성 #몽고 사신 #예부낭중 #고예 #누런 종이 #흰 종이 #압록강 #한토 #보제사 #오백나한재 #왕륜사 #묘통사 #미륵사 #공신당 #천도공신 #최이 #위사공신 #추밀원사 #김인준 #상장군 #박희실 #이인환 #김승준 #박송비 #유경 #장군 #김대재 #김용재 #김석재 #차송우 #임연 #이공주 #대장군 #김홍취 #최항 #동산동 #경목현비 #정순왕후 #낭중 #조서 #동화 #육자양 #호적 #역우 #우정 #주 #한 #이단 #사신 #코르부카 #달아자사 #승상 #금술병 #금주전자 #은주전자 #수달가죽 #진자라 #세 모시 #종이 #대모 #창원공 #김기손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평장사 #이세재 #문하시랑평장사 #이장용 #중서시랑평장사 #김순 #수태위 #판예부사 #태자빈객 #수사도 #지문하성사 #태자소부 #최온 #판공부사 #김전 #이응소 #지추밀원사 #좌산기상시 #최윤개 #병부상서 #동지추밀원사 #우산기상시 #김윤후 #추밀원부사 #예부상서 #이지위 #최영 #상서좌․우복야 #박성재 #참지정사
-
원종원종 4년(1263) 계해년원종 4년(1263) 계해년4년 봄 2월 갑인일. 사면령을 내렸다. 임신일. 대관전(大觀殿) 대관전 고려시대 강화경(江華京)(지금의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새로 창건한 제2의 정전(正殿)이다. 원래 개경(開京)의 궁궐에도 제2 정전으로 창건된 천덕전(天德殿)․건덕전(乾德…#사면령 #대관전 #소재도량 #왜구 #금주 #웅신현 #물도 #현성사 #고예 #몽고 #중서성 #역우 #호적 #건성사 #복령사 #보제사 #예빈경 #주영량 #낭장 #정경보 #수달가죽 #명주 #흰 모시 #표지 #주지 #육군 #대관서승 #홍저 #첨사부녹사 #곽왕부 #일본국 #연도 #정자경 #재상 #손정렬 #가노 #양수 #서균 #초제 #묘통사 #왕륜사 #외원 #가뭄 #좌정언 #곽여필 #새매 #봉은사 #일본 #관선대사 #여진 #송나라 #개야소도 #군산도 #추자도 #태재부 #선주 #가차도 #전라도 안찰사 #귀주 #애도 #대마도 #귀밀 #소가죽 #왕태 #검교태위 #수사공 #시양군 개국후 #왕종 #검교수사도 #순안군 개국후 #양 #제왕 #재추 #승선 #치사 #현관 #근시 #성대 #대사성 #한취 #태백성 #영안공 #중서시랑평장사 #이장용 #지문하성사 #유경 #이부시랑 #김구 #장경보 #유배 #은병 #진사 #수태부 #판병부사 #태자태부 #수태보 #참지정사 #태자태보 #김준 #수태위 #판어사대사 #태자소사 #김전 #수사도 #태자소부 #박송비 #좌복야 #태자소보 #이응소 #추밀원사 #최윤개 #지추밀원사 #이지위 #최영 #동지추밀원사 #태자빈객 #나득황 #추밀원부사 #채정 #어사대부 #송의 #홍진 #상서좌우복야 #신사전 #병부상서 #유천우 #박륜 #추밀원좌우승선 #김충 #우부승선 #김방경 #지어사대사 #이송진 #좌우간의대부 #이세재 #문하시랑평장사 #김순 #최온 #김윤후 #우복야 #봉희 #공부상서
-
충렬왕충렬왕 20년(1294) 갑오년충렬왕 20년(1294) 갑오년봄 정월 초하루 임자일. 왕이 원나라에 계속 머물렀다. 왕이 공주와 함께 (황태자비) 쿠케진[闊闊眞]의 궁전을 찾아가 백마(白馬) 아홉 필을 선물했다. 계유일. 세조(世祖) 황제가 죽었다. 왕이 공주와 함께 양(羊) 열 마리와 말 한 필로 빈전…#원나라 #쿠케진 #백마 #세조 #빈전 #찬성사 #정가신 #상례 #입조 #일본 정벌 #홍군상 #승상 #울제이 #일본정벌 #나윤재 #동지밀직사사 #안향 #동남도 병마사 #합포 #상도 #성종 #금잔 #은루규화잔 #금병 #금루은존 #호 #탕병 #주병 #반루은준 #호병 #은우 #은종 #자라 #모시 #표범가죽 #수달가죽 #제왕 #부마 #표문 #하 #우 #문왕 #태임 #진 #한 #서리 #우박 #은 #쿠투카이 #밍케 #사면령 #태백성 #탐라 #쿠케다이 #뭉쿠다이 #타쿠바투 #사신 #요양행성 #한림학사 #사라만 #태조성무황제 #대세국 #금나라 #금산왕자 #대요 #중도 #강동성 #카치운 #차라 #고왕 #조충 #김취려 #태조 #경도호사 #일식 #심주 #안평공주 #대장군 #오인영 #전라도 지휘사 #유석 #그제스파바가스 #숙릉사 #그제스파 #번승 #바가스 #번사 #진도군 #삼별초 #서림현 #교동현 #유승 #직사관 #권한공 #유종 #다루가치 #케시리 #육십 #조서 #장군 #민보 #윤안비 #급제 #의주 #호천궁 #도사 #현진대사 #이도실 #이도화 #윤도명 #개경 #원명통도동현진인 #정지현명강경대사 #수강궁 #왕자 #문창유 #성주 #고인단 #붉은 가죽띠 #상아로 만든 홀 #관모 #일산 #뇌방 #우승지 #유비 #직보문서 #유인명 #묘련사 #중서사인 #아야치 #일본 #강남 #강화도 #요양 #심양 #좌복야 #박의 #서북면 도지휘사 #낭장 #백견 #고니 고기 #하양 #영주 #연호 #원정 #쿠두카이 #홍자번 #첨의중찬 #인후 #첨의찬성사 #김지숙 #판밀직사사 #차신 #밀직사 #지밀직사사 #장순룡
-
충렬왕충렬왕 22년(1296) 병신년충렬왕 22년(1296) 병신년봄 정월 임신일. 부지밀직사(副知密直事) 유비(柳庇)를 원나라에 보내 세자의 혼인을 요청하였다. 갑신일. 참형과 교수형 이하의 죄수를 사면하는 한편 다음과 같은 교지를 내렸다. “왕실 선조(先祖)의 후손에게는 초입사(初入仕)를…#부지밀직사 #유비 #참형 #교수형 #사면 #초입사 #공신 #외공 #경사교수도감 #진사 #생도 #방수 #신료 #남반 #내료 #카다안 #속전 #환갑 #태백성 #세조 #충렬왕 #신효사 #묘련사 #환관 #장군 #도성기 #채붕 #어가 #김지숙 #지도첨의사사 #안향 #삼사좌사 #김군 #이덕손 #부지밀직사사 #동지밀직사사 #이혼 #연등회 #봉은사 #탐라 #단사관 #무르치 #국사승 #사신 #관 #역 #김광취 #직금단 #홍견 #포도주 #역서 #중서성 #선릉 #홍초 #최우 #대장군 #유복화 #향각 #대학사 #정가신 #전법사 #민시 #자연도 #유배 #도첨의사사 #낭사 #금내육관 #학관 #원경 #당현종야연도 #홍자번 #상의도첨의사사 #국신고 #나견 #순마소 #가뭄 #금주령 #우중찬 #조인규 #좌중찬 #이연송 #원나라 #우부승지 #오인영 #저포 #주옥 #등롱 #부랄기뚤루 #남정 #탐라마 #상장군 #최세연 #중찬 #김의광 #김지경 #광명사 #우란분재 #이무 #김연수 #입조 #티무르 #쌍성 #정동행성 #중랑장 #변신 #외원 #영주 #요양행성 #압록강 #심주 #총관 #박인재 #지사 #박순량 #영두아채 #연경 #홍군상 #제왕 #공주 #공경 #사부 #금병 #금종 #누은호 #은탕병 #은잔 #은호병 #은대준 #반루은호병 #은대종 #은우 #호랑이 가죽 #표범 가죽 #수달가죽 #자라 #백저포 #대모초자 #장조전 #융복궁 #궁궐 #백마 #진왕 #유밀과 #악관 #양모피 #백관 #금단 #견 #은 #수단 #능소단 #목면
-
고종고종 11년(1224) 갑신년고종 11년(1224) 갑신년十一年 春正月 戊戌朔 放朝賀. 丙午 蒙古使札古也等十人來. 戊申 東眞國遣使, 賫牒二道來, 其一曰, “蒙古成吉思師老絶域, 不知所存, 訛赤忻, 貪暴不仁, 己絶舊好.” 其一曰, “本國於靑州, 貴國於定州, 各置榷場, 依前買賣.” 癸丑 宰樞會崔瑀第, 議接蒙眞兩國使之禮. …
-
고종 11년(1224) 갑신년11년 봄 정월 초하루 무술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병오일. 몽고사신 저고여[札古也] 등 10명이 왔다. 무신일. 동진국(東眞國)에서 사신을 보내 공문 두 통을 전달했는데 그 내용은 각각 다음과 같다. “몽고의 칭기스[…
-
고종 18년(1231) 신묘년18년 여름 4월. ○ 가뭄이 들었다. 5월 초하루 병술일. 가뭄이 계속되자 전국의 죄수들을 사면했다. 무자일. 다시 기우제를 지냈다. 6월 초하…
-
고종 19년(1232) 임진년19년 봄 정월 임오일. 몽고의 사신이 도착했다. 계미일. 내전에서 사신을 위해 잔치를 베풀었다. 임진일. 몽고군이 철수하자 회안공(淮安公) 왕정(王侹), 수재(首宰) 김취려(金就礪), 대장군 기윤숙(奇允肅) 기윤숙(?~?) 본관은 …
-
고종 40년(1253) 계축년40년 봄 정월 초하루 경진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2월 ○ 최항(崔沆)을 문하시중․판이부․어사대사로 임명했다. ○ 왕이 대궐로 돌아 왔다. 경신일. 안경후…
-
고종 44년(1257) 정사년44년 봄 정월 초하루 정해일. 신년 하례행사를 생략했다. 병진일. 재추(宰樞)들이, 몽고가 해마다 전란을 일으키니 아무리 힘껏 섬겨도 이득이 없다고 의견을 모은 후, 봄철마다 정기적으로 보내는 공납을 중지하기로 결정했다. …
-
원종 3년(1262) 임술년3년 여름 4월 ○ 판비서성사(判秘書省事) 박륜(朴倫) 박륜(?~1268) 고종 때 과거에 급제한 이후 원종 때까지 판비서성사(判秘書省事)․추밀원우승선(樞密院右承宣)․수사공(守司空)․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를 역임한 문신관료이다. 그에 대해서는 『고려사』…
-
원종 4년(1263) 계해년4년 봄 2월 갑인일. 사면령을 내렸다. 임신일. 대관전(大觀殿) 대관전 고려시대 강화경(江華京)(지금의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새로 창건한 제2의 정전(正殿)이다. 원래 개경(開京)의 궁궐에도 제2 정전으로 창건된 천덕전(天德殿)․건덕전(乾德…
-
충렬왕 20년(1294) 갑오년봄 정월 초하루 임자일. 왕이 원나라에 계속 머물렀다. 왕이 공주와 함께 (황태자비) 쿠케진[闊闊眞]의 궁전을 찾아가 백마(白馬) 아홉 필을 선물했다. 계유일. 세조(世祖) 황제가 죽었다. 왕이 공주와 함께 양(羊) 열 마리와 말 한 필로 빈전…
-
충렬왕 22년(1296) 병신년봄 정월 임신일. 부지밀직사(副知密直事) 유비(柳庇)를 원나라에 보내 세자의 혼인을 요청하였다. 갑신일. 참형과 교수형 이하의 죄수를 사면하는 한편 다음과 같은 교지를 내렸다. “왕실 선조(先祖)의 후손에게는 초입사(初入仕)를…
-
고종 11년(1224) 갑신년十一年 春正月 戊戌朔 放朝賀. 丙午 蒙古使札古也等十人來. 戊申 東眞國遣使, 賫牒二道來, 其一曰, “蒙古成吉思師老絶域, 不知所存, 訛赤忻, 貪暴不仁, 己絶舊好.” 其一曰, “本國於靑州, 貴國於定州, 各置榷場, 依前買賣.” 癸丑 宰樞會崔瑀第, 議接蒙眞兩國使之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