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강관 김흔이 폐비를 당할 때 일본에 있었다고 아뢰다.
경연에 나아갔다. 강하기를 마치자, …… 시강관(侍講官) 김흔(金訢)이 아뢰기를,
“폐비를 당할 때에 신은 일본국에 있었기 때문에 그 자세한 내막을 알지 못하였다가 본국에 돌아와서야 들었습니다. 신의 생각으로는, 옛날이나 지금의 제왕으로서 폐비하는 ...
-
김흔이 왜인에게 후추 종자를 구하는 것이 부당하다고 아뢰었으나 받아들이지 않다.
경연에 나아갔다. 강하기를 마치자, 시강관 김흔(金訢)이 아뢰기를,
“이제 들으니, 국가에서 후추 종자를 왜사(倭使)에게 구하였다고 합니다. 대저 먼데 사람을 대우함에 있어 오는 자는 막지 말며 가는 자는 쫓지 말 따름이니 저들에게 무엇을 요구하는 ...
-
성윤문이 아군 각 군현 수령 및 장수들의 전투상황 및 전과를 보고하다.
경상좌도 성윤문(成允文)이 치계하기를,
“흉적이 바다를 건너갈 생각을 하지 않고 울산과 양산 등지에 즐비하게 점거하여 소굴을 만들고 성을 쌓으며 더러는 산을 나와 배를 타고 곳곳에 하륙하여 노략질을 자행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정예병을 뽑아 요로 각처...
-
일본국 통신사 이형원과 부사 이계동 ․ 서장관 김흔 등과 사목에 대해 논의하다.
선정전에 나아가서, 일본국 통신사 이형원(李亨元)과 부사 이계동(李季仝), 서장관 김흔(金訢) 및 군관·통사 등을 인견하였는데, 경연관과 승지가 입시하였다. 임금이 이형원에게 이르기를,
“잘 갔다가 오도록 하라.”
하니,...
-
일본국 통신부사 이계동과 서장관 김흔이 복명하다.
일본국통신부사(日本國通信副使) 이계동(李季仝)과 서장관(書狀官) 김흔(金訢)이 와서 복명하니, 임금이 인견하고 말하기를,
“노고가 막심하였다. 그대들이 위험을 겪으면서 잘 돌아왔으니, 이 행사는 다시 거행할 수 없다.”
...
-
석강에서 배가 튼튼하지 않음을 문제삼아 아뢰다.
석강에 나아갔다. 시독관 김흔(金訢)이 아뢰기를,
“신이 일본에 갈 때에 보건대 선척 가운데 튼튼한 것이 대개 적으니, 이는 국가에서 태평한 데에 길들여진 소치입니다. 만일 뜻밖의 변이 있으면 장차 어떻게 쓰겠습니까?”
하니, 임금이 우부승지...
-
일본통신사 서장관 김흔이 폐위사실을 말하다.
경연에 나아갔다. 강하기를 마치자, …… 시독관(侍讀官) 김흔(金訢)이 아뢰기를,
“신이 지난번 일본통신사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대마도(對馬島)에 있었으므로, 처음에는 왕비를 폐위시킨 일을 알지 못했으나, 돌아온 후 삼가 교서를 본 후에 비로소 알게...
-
몽한군 등이 전함 9백여 척으로 일본을 정벌하여 일기도에서 1천여 명의 적을 죽이다.
도독사 김방경(金方慶)으로 하여금 중군을 통솔하게 하고 박지량(朴之亮), 김흔(金忻)을 지병마사로, 임개(任愷)를 부사로 임명하고 김선(金侁)을 좌군사로, 위득유(韋得儒)를 지병마사로, 손세정(孫世貞)을 부사로 임명하고 김문비(金文庇)를 우군사로, 나유(羅...
-
김방경
15년에 황제는 일본을 정벌코자 글을 보내 김방경(金方慶)과 홍다구(洪茶丘)에게 전함을 만드는 것을 감독하게 하였다. 이 전함 건조를 중국 남방에서 하는 방식대로 진행한다면 비용이 많이 들 뿐더러 장차 제 기한 내에 완공하기가 어려울 것이므로 온 나라 사람...
-
김흔
문음(門蔭)으로 산정도감(刪定都監)산정도감(刪定都監)고려시대 율령을 제정하는 일을 맡은 관청이다. 문종 때 제도를 정비하여 갑과권무직(甲科權務職)으로 운영된 판관(判官) 4명과 이속으로 기사(記事) 6명, 기관(記官) 1명, 산사(算士) 1명 등을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