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지충추원사 이사검이 비변책을 올리다.
동지중추원사 이사검(李思儉)이 비변책을 올리기를,
“1. 왜인들은 잠깐 신복(臣服)하다가 바로 배반한다 하는데, 우리의 해변에 섞여 살면서 우리의 허실을 엿보니 진실로 염려됩니다. 이제부터는 밀양(密陽) ․ 영산(靈山) 두 고을 중에서 마땅한 곳을 ...
-
의정부에서 동래진의 병마를 동평으로 옮기고, 내이포 불법 체류 왜인을 심핵하여 돌려 보낼 것을 아뢰다.
의정부에서 예조의 정문에 의하여 아뢰기를,
“동래(東萊)의 속현인 동평(東平)은 부산포(富山浦)와의 거리가 4, 5리이온데, 웅신진(熊神鎭)의 예에 의하여 진(鎭)을 설치하고, 동래진(東萊鎭)의 병마를 옮겨서 부산포의 외원(外援...
-
경상도 관찰사 황수신이 연해 제읍에 방수할만한 곳을 갖추어 기록하여 아뢰다.
처음에 경상도관찰사 황수신(黃守身)이 아뢰기를,
“지금 제읍의 군사 여정(餘丁)이 모두 3명이니, 만약 1명씩 뽑아내면 1,400명을 얻을 수 있습니다. 신이 연해 제읍을 살펴보고 군사를 두어 방수할 만한 곳을 뒤에 갖추어 기록합니다. ...
-
병조에서 각도의 내지에도 거진을 설치하고 인근 고을을 익에 분속시킬 것을 청하다.
병조에서 아뢰기를,
“각도 연해의 요해지에는 진을 설치하고 진장(鎭將)을 두어 그 방어를 견고히 하고 있으나, 내륙의 주현에는 아직 진을 설치하지 않아서 만약 구적(寇賊)이 발생하여 변진이 감히 이를 막지 못하게 되면, 반드시 ...
-
하삼도 도순찰사 박강 등에게 행해야 할 일들의 조목을 아뢰게 하다.
충청도·전라도·경상도의 도순찰사 박강(朴薑)과 부사 구치관(具致寬) 등이 경상도·전라도·충청도의 여러 진과 여러 포를 순심하고, 당연히 행할 사건을 아뢰어, 하나씩 하나씩 조목조목을 열기 하였다.
“1. 이보다 앞서 남쪽 변방에서는 수군은 많이 설치...
-
병조에서 포이포 ․ 해운포 ․ 부산포 등지의 변비를 실하게 할 것을 아뢰다.
병조에서 경상도도순찰사의 계본에 의거하여 아뢰기를,
“이 앞서 포이포(包伊浦)에는 장기진(長鬐鎭)이 있고, 해운포(海雲浦)에는 동래진(東萊鎭)이 있으며, 개운포(開雲浦)는 도절제사영에서 가깝다고 하여 모두 혁파하였습니다. 그러나...
-
병조의 건의로 각도 진군의 정액을 마감하고 3번으로 나누어 교대케 하다.
병조에서 아뢰기를,
“제도(諸道)의 진군은 긴요하고 더딘 것을 분간하지 아니하여 혹은 많고 혹은 적으니, 이제 다시 정액을 마감하고 3번으로 나누어 2달에 서로 갈마들게 하소서. 뒤에 갖추 기록합니다. 충청도 내상 정군은 5백,...
-
이정암을 동래부사로 삼다.
이정암(李廷馣)을 동래부사(東萊府使)로 삼았다. 이정암은 호걸스럽고 지모가 있었다. 스스로 서생이어서 활쏘기와 말달리기를 익히지 않았다 하여 사양하였으나 허락하지 않았다. 동래진(東萊鎭)에 부임하자 왜사가 잇따라 이르렀다. 의지(義智)가 더욱 거만하여 연석...
-
대마도의 왜 귤지정이 관백의 서계를 가지고 와서 수호를 요청하고 사신을 보내주기를 청하다.
대마도의 왜 귤지정(橘智正)이 관백(關白)의 서계를 가지고 와서 우리에게 수호를 요청하고 또 사신을 보내주기를 요청하였다. 이에 오윤겸(吳允謙) 등을 회답사로 보내었으며, 인하여 천조에 주문하였다. 그 자문은 다음과 같다.
“조선국왕은 왜정에 관계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