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경에 주문사 공조참판 정분을 보내어 왜구의 침략행위에 대해 알리다.
주문사(奏聞使) 공조참판 정분(鄭苯)을 보내어 북경에 갔다. 그 주본에 말하기를,
“공경히 배신 이주판관(義州判官) 홍유강(洪有江)이, 요동천호(遼東千戶) 혁연(赫連)이 받들고 온 칙유(勅諭)를 전해 받아 가지고 온 것을 받잡고, 신이 감격함을 이기...
-
일본국 사자 유영이 임성 태자가 일본에 들어간 기록을 찾아 주기를 청하다.
일본국 대내전(大內殿) 사자 유영(有榮)이 예조에 글을 올리기를,
“다다량씨(多多良氏)가 일본국에 들어갔는데, 그 까닭은 일본에서 일찍이 대련(大連) 등이 군사를 일으켜 불법을 멸하고자 하였고, 우리나라 왕자 성덕태자(聖德太子)는 불법을 높이고 공경...
-
집현전직제학 양성지가 경상도는 왜인을 지대하는 방법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상소하다.
집현전직제학(集賢殿直提學) 양성지(梁誠之)가 상소하기를,
“공경히 생각하건대, 우리 주상 전하께서 그 문무의 비상하신 자질로써 새로 보위에 오르시어 공경히 종묘에 알현하시니, 이는 정히 정신을 가다듬고 다스림을 도모하여 서정을 일신하게 하실 때입니다...
-
사인 원숙의 서간을 보고 후추의 종자를 구하는 일에 대해 의논하도록 전교하다.
예조정랑 정광세(鄭光世)가 대내전(大內殿)의 사인 중[僧] 원숙(元肅)의 서간(書簡) 수폭(數幅)을 가지고 와서 아뢰었는데, 그 하나에 이르기를,
“온조백제국왕여장(溫祚百濟國王餘璋)의 셋째 아들이 일본국에 내조하였음이 수(隋)나라의 대업 7년 신미년...
-
대내전 사송 원숙 등이 하직하고 후추의 종자를 구해 바치겠다고 하다.
대내전(大內殿) 사송(使送) 원숙(元肅) 등이 하직하였다. 도승지 권건(權健)이 명을 받고 후추 종자를 찾아서 보낼 일을 말하니, 원숙이 대답하기를,
“우리 주인은 바로 백제의 계통을 받은 까닭으로 마음을 다하여 대국을 사모합니다. 후추의 종자가 비...
-
전라도에 왜복에 왜어를 하는 수적이 있음을 아뢰다.
경연에 나아갔다. 강하기를 마치니, 장령 김미(金楣)가 아뢰기를,
…… 김미가 또 소매 속에서 글을 내어 올리니, 그 글에 이르기를,
“전라 1도는 옛 백제(百濟)의 터이니, 그 유풍이 아직도 남아 있어서 완한(頑悍)한 풍속이 다른 도에 ...
-
좌의정 심연원 등이 일본의 전산전에 소부를 주는 것이 불가함을 아뢰다.
좌의정 심연원(沈連源), 우의정 상진(尙震), 예조판서 정사룡(鄭士龍), 참판 심통원(沈通源), 참의 임열(任說)이 의논드렸다.
“지난번 성화(成化) 10년에 부험(簿驗) 10부를 만들어 일본국왕과 거추들에게 보냈는데 통신할 때 국왕에게 부험을 받아...
-
일본풍속의 검박함을 비교하여 근검하고 절용할 것을 의정부에 전지하다.
의정부에 전지하기를,
“재물을 생산하는 것은 근본을 힘쓰는 데에 있고, 재물을 넉넉하게 하는 것은 절용하는 데 있다. 만일 절용을 하고자 하면 반드시 먼저 검약해야 하는 것이다. 대개 사치를 하게 되면 쓰는 것이 넓어지고, 쓰는...
-
윤자운과 이승소가 일본국왕의 사신 성춘과 서로 문답한 사조를 아뢰다.
예조겸판서 윤자운(尹子雲)과 판서 이승소(李承召)가 일본국왕의 사신 성춘(性春)과 서로 문답한 사조를 가지고 와서 아뢰었는데, 내용은 이러하였다.
“1. 본국에서 길을 떠난 일시를 물으니, 성춘(性春)이 대답하기를, ‘지난 갑오년 정월에 대우전(大友...
-
조강에서 표류인 쇄환과 황해도 수령 파직에 대해 의논하다.
조강에 나아갔다. 상이 이르기를,
“어제 본 예조가 아뢴 표류인의 쇄환에 관한 일은 예조가 본디 정부에 이보하여 공사를 만들어야 할 것이며, 우리나라 사람뿐이 아니라 중국인도 쇄환하면, 이것은 사대하는 아름다운 일일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