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변사가 왕자 등을 풀어주면 용서하겠다는 격문을 이제독이 보내도록 청하자고 아뢰다.
비변사가 아뢰기를,
“두 왕자가 오랫동안 포로로 잡혀있고 왜적의 성질이 지독하니 불측한 걱정은 숨돌릴 틈이 없어, 생각이 여기에 이르자 간담이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지금 중국군의 포수는 설한령을 넘어 북으로 진격하려고 하는데, 중…
-
구성이 장기고가 왜적과의 싸움을 그치라고 했다고 아뢰다.
동부승지(同副承旨) 구성(具宬)이 의주(義州)에서 돌아와 아뢰기를,
“신이 의주에 도착하니 장기고(張旗鼓)가 역관 홍수언(洪秀彦) 등을 시켜 송시랑(宋侍郞)의 말을 전하기를 ‘국왕은 돌아가도록 하십시오.’ 하고, 또 ‘당신네 나라의 자문 중에 「장수가 …
-
대신이 경성 수복을 맞아 이제독을 치사하라고 청하다.
대신이 아뢰기를,
“어제 성상의 비답을 받드니 ‘치사할 것 없다.’ 고 하교하였습니다. 제독이 천자의 명을 받고서도 왜구를 초멸하여 하나라도 돌아가지 못하게 하지 못하고, 황제의 위엄을 굽혀 강화를 도모해서 그대로 호송하여 보내어 …
-
백관이 삼경을 회복한 데 대해 사은표를 올리다.
상은 곤룡포를 입고 백관은 모두 길복을 입고서 객사로 행차하여 친히 사은표를 올리었는데, 바로 삼경을 회복한 일 때문이었다. 상사(上使)는 인성부원군(寅城府院君) 정철(鄭澈)이고 부사(副使)는 한성판윤(漢城判尹) 유근(柳根)이었다. 상은 즉위한 이래로 대국을 …
-
이시언 등이 언로 ․ 기강 ․ 상벌 ․ 검약 ․ 내치 ․ 수령 임명 등을 아뢴 차자.
사간 이시언(李時彦), 헌납 황낙(黃洛), 정언 이상신(李尙信) 등이 차자를 올렸는데, 그 내용에,
“삼가 생각하건대 나라의 일이 이 지경에 이르렀으니 무슨 말을 할 수 있겠습니까. 지극한 정성은 신명을 감동시켜서 아무리 먼 곳이라도 이르지 못하는 곳이…
-
비변사가 경략의 말에 따라 사은사 정철을 일단 멈추게 하라고 아뢰다.
비변사가 아뢰었다.
“경략이 보낸 소첩을 보니 그 뜻은 왜적을 완전히 섬멸하여 안전 무사한 연후에 사은하는 것이 옳다고 하는 것으로 매우 다행한 일입니다. 다만 사은이 늦어지는 데 대하여 중국 조정에서 일찍이 말했거니와 삼경도 수복…
-
비변사가 사은사로 가는 행차를 잠시 머물도록 정철에게 하유하라고 청하다.
비변사가 아뢰기를,
“지금 사은사가 가는 것은 당초에 삼경을 이미 회복하였으므로 수사(修謝)를 서둘러 황상의 은혜를 밝히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이나, 근래 부산에 적이 아직 주둔하고 있으므로 경략이 처음에는 사은사 보내기를 허락하였…
-
경략에게 왜적에 대한 토벌 작전을 그만 둘 수 없는 이유를 자문으로 보내다.
경략에게 이자하였는데, 대략 다음과 같다.
“당직이 생각해 보건대, 외람되어 용렬한 자질로서 천총을 입고 조상의 대업을 이어받아 민사의 주인이 되었으니, 그동안 태평을 누리던 여파로 물려받은 업적에 의해 무사히 지내왔습니다. 그런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