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현전직제학 양성지가 경상도는 왜인을 지대하는 방법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상소하다.
집현전직제학(集賢殿直提學) 양성지(梁誠之)가 상소하기를,
“공경히 생각하건대, 우리 주상 전하께서 그 문무의 비상하신 자질로써 새로 보위에 오르시어 공경히 종묘에 알현하시니, 이는 정히 정신을 가다듬고 다스림을 도모하여 서정을 일신하게 하실 때입니다...
-
도원수 유순정이 하직인사를 하니 형세를 잘 보고 군사를 다스리라고 하다.
도원수 유순정(柳順汀)이 배사하니, 대략 다음과 같이 교서하였다.
“사나운 것을 금하고 난을 제거하는 것은 진실로 성현이 먼저 힘쓸 일이고, 군사를 일으키는 것은 제왕이 부득이해서 하는 것이다. 조그만 왜노가 멀리 해도에 있어 그 선대로부터 정성을 ...
-
조강에서 붕중의 화친에 대해 의견을 말하다.
조강에 나아갔다. 시독관(侍讀官) 권벌(權撥)이 아뢰기를,
“나라에 큰 일이 있으면 마땅히 대신들에게 명하여 의논하는 것이로되, 우의정 성희안(成希顔)이 먼저 섬 오랑캐[島夷]와 화친해야 한다고 주창하니, 자리에 있던 모든 사람들이 처음에는 더러 안...
-
좌의정 김응남이 공물 작미 ․ 훈련도감 군사의 요미 ․ 변방 방어 등에 대하여 차자하다.
좌의정 김응남(金應南)이 차자를 올려 아뢰기를,
“삼가 아룁니다. 신은 천한 병이 심중하므로 정사하여 면직을 청하였으나 미충을 제대로 아뢰지 못하여 천청은 더욱 아득하니, 신은 참으로 황공하여 어찌할 바를 모르겠습니다. 근자에 상께서 염려해주시는 특...
-
비변사에서 영국윤이 가져온 병민 ․ 지리 ․ 양향 등에 관한 자문을 아뢰다.
비변사가 아뢰기를,
“삼가 영국윤(寗國胤)이 가지고 온 자문 다섯 통【자문은 곧 시랑(侍郞) 손광(孫鑛)의 자문인데, 첫번의 것은 대략,
“군사의 계획은 세우지 않을 수 없으니, 반드시 나의 사견을 버리고 나의 공심을 열...
-
고급사가 왜적의 정세에 대한 제본들을 아뢰다.
병부서인좌시랑(兵部署印左侍郞) 이정(李楨)의 제본에,
“삼가 왜적의 정세가 긴급한 데 대한 제주입니다. 직방사(職方司)의 안정(案呈)과 관련, 본부가 병과에 보내 병과에서 다시 초출한 것을 받으니 ‘조선국왕이 전의 안건에 대해 주문하기를, 왜적의 세...
-
형군문을 보고 수군파병 등 앞날의 전략 등에 대해 논의하다.
상이 형군문(邢軍門)을 가서 보고 말하기를,
“근래에 병으로 인하여 오랫동안 문안하지 못하였으므로 항상 두려운 마음을 품고 있었습니다.”
하니, 군문이 말하기를,
“국왕의 몸이 매우 좋습니다....
-
사헌부가 상에게 자리에서 물러나서는 안 될 것으로 차자를 올리다.
6382. 사헌부가 상에게 자리에서 물러나서는 안 될 것으로 차자를 올리다.
사헌부가 상차하기를,
“신들이 삼가 듣건대, 어첩을 대신들에게 봉하여 내렸다 하니 놀랍고 민망스러움을 견딜 수 없...
-
우승지 임몽정이 비변사가 제기능을 다하고 있지 못함에 대하여 아뢰다.
우승지 임몽정(任蒙正)이 아뢰기를,
“비변사는 군국의 대소사를 장악하고 있는 곳으로 사소한 일은 유사제조가 담당하지만 조금 중대한 일은 대신에게 문의해서 논의한 연후에야 결정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요즘 들어 의정이 갈리기도 하고 병이 들기도 하고 ...
-
사헌부가 유성룡 ․ 남이공 ․ 김신국 ․ 이필형 등에게 엄한 벌을 내릴 것을 청하다.
6662. 사헌부가 유성룡·남이공·김신국·이필형 등에게 엄한 벌을 내릴 것을 청하다.
사헌부가 아뢰기를,
“김신국(金藎國)과 남이공(南以恭)이 아이들 장난처럼 벌인 못된 행위에 대해서 성감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