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정성이 토의를 바치다.
종정성이 구랑(九郞) 등 9인을 보내 와서 토의를 바치었다.
-
강권선과 금구랑을 일기주에 사신으로 보내고 등구랑으로 하여금 소오예 등을 만나보게 하다.
조서강(趙瑞康)․이승손(李承孫)이 아뢰기를,
“이제 등금구랑(藤金九郞)의 말에 의해서 장차 초무관(招撫官) 강권선(康勸善)을 보내어 등구랑(藤九郞)과 함께 일기도(一岐島)에 가서 적왜(賊倭)를 체포하고, 또 포로 되어 간 인물을 수색하게 하려고 하는데,…
-
중신들의 의견을 따라 대마도에 체찰사를 먼저 보내고 잇달아 강권선을 보내다.
대마도체찰부사(對馬島體察副使) 모순(牟恂)이 아뢰기를,
“이제 장차 강권선(康勸善)을 일기(一岐)로 보내겠사온데, 신과 한때에 함께 가면, 신의 추측으로는 종정성(宗貞盛)이 반드시 말하기를, ‘대국(大國)에서 이미 일기에 사신을 보내어 포로된 사람과 도…
-
김종서가 등구랑에게 도둑질한 왜인을 붙잡아 올 것을 이르다.
예조에서 등구랑(藤九郞)을 전송하는데 김종서(金宗瑞)가 구랑에게 이르기를,
“왜인이 노략질해 간 인물을 찾아서 돌려보내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다만 도둑질한 왜인을 불가불 수색해 잡아 와야 할 것이다.”
하니, 구랑이 …
-
등구랑이 왜적의 성식을 알아내기 위해 대마도로 가다.
경상좌도처치사 정간(丁艮)과 우도도만호 김윤부(金允富)에게 유시하기를,
“지금 등구랑(藤九郞)이 말하기를, ‘한 글자로 된 병부(兵符) 하나와 두 글자로 된 병부 하나를 만들어 반분(半分)하여, 하나는 부산포(富山浦) ․ 염포(鹽浦) ․ 내이포(乃而浦)…
-
투화한 왜인인 호군 등구랑의 조참 수반에 대해 의논하다.
투화(投化)한 왜인인 호군(護軍) 등구랑(藤九郞)이 조참(朝參)에 수반하기를 청하니, 예조와 의정부에서 말하기를,
“구랑의 벼슬은 본시 영직(影職)인데, 영직으로써 수반함은 본디 전례가 없습니다. 그러하오나, 바로 물리칠 수 없으니, 우선 권사(權辭)로…
-
왜 사직 차랑 ․ 구랑 등이 조회하다.
왜의 사직(司直) 차랑(次郞)․구랑(仇郞) 등 두 사람이 와서 조회하였다.
-
예조에서 종정국에게 답한 글.
예조에서 종정국(宗貞國)에게 답한 글에 이르기를,
“글을 받아 평안함을 알게 되어 위로됩니다. 바친 예물은 삼가 계달하여 잘 수납하였습니다. 그런데 전에 삼포(三浦) 사람을 쇄환하는 일로 여러 번 좌우에게 청하여 두 번 허락함을 받았는데, 마침내 재처함…